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현대정신분석"(으)로 25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현대 정신분석 (최근 주도적인 30인의 주요 논문)

현대 정신분석 (최근 주도적인 30인의 주요 논문)

아놀드 쿠퍼  | 지혜와사랑
45,000원  | 20190910  | 9791195739240
『현대 정신분석』은 최근까지 생존했거나 현재도 생존해서 왕성하게 활동하며 미국 정신분석계를 주도하는 30인의 주요 논문을 모은 것이다. 프로이트 이후 자아심리학, 대상관계이론, 자기심리학 등의 흐름으로 발달해온 정신분석은 최근에 와서 이 책에서 소개하듯이 상호주관성이론, 관계 정신분석, 현대 클라인주의, 그리고 영미 정신분석과는다른 결을 보이는 프랑스 정신분석 등의 복잡한 변화를 겪고 있다. 이와 동시에 해석학, 현상학, 언어학 등 주변 학문들과의 활발한 대화를 통해서 정신분석은 더욱 풍성해지고 보다 다양한 스펙트럼을 형성하고 있다. 이 책은 가장 위대한 북미 정신분석가들의 최근 사고로 가는 관문을 열어준다. 이 책은 새로운 생각들을 찾아내고, 감동적이고 도전을 주는 통합을 발전시키면서, 동요하고 있고, 급격한 변화의 과정에 있는 생생한 학문에 대한 흥미진진한 그림을 제시한다.
현대정신분석의 임상기법 (하인즈 코헛의 자기치료 해설)

현대정신분석의 임상기법 (하인즈 코헛의 자기치료 해설)

김병훈  | 하나의학사
26,550원  | 20221221  | 9791191658217
본서는 정신분석학자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을 심도 있게 설명하는 해설서이다. 저자는 코헛의 『정신분석은 어떻게 치료하는가?How Does Analysis Cure?』의 핵심이론을 81가지 질문으로 해석하면서, 코헛의 자기심리학과 고전 정신분석, 자아심리학, 대상관계이론 및 줄리아 크리스테바 등 다양한 이론적 관계를 명쾌하게 설명한다. 또한, 정신분석학과 더불어 인문학, 예술문화가 임상현장과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섬세하게 전달하고 있다. 정신분석학적인 맥락과 코헛의 자기심리학을 해설하는 김병훈 박사의 이론적 정수는, 건강과 행복, 정서적 아픔에 대해 질문하고 고민하는 상담전문가, 교육자 그리고 대중에게 치유의 과정 및 자기(Self)가 어떻게 발달하고 성숙해 나가는지 그 방향을 안내하며, 삶의 여러 문제해결에 현실적인 지침이 될 것이다.
현대 정신분석과 기독교 영성

현대 정신분석과 기독교 영성

이만홍, 김윤희, 김미희, 유현주  | 로뎀포레스트
14,400원  | 20221015  | 9791197866739
우리 시대의 대표적인 키워드인 치유와 영성은 같은 연장 선상에 있다. 심리적인 차원과 영적인 차원, 이 두 차원의 지혜들이 통합되어야 온전한 치유와 성숙이 가능하다고 본다. 이제까지 이론적으로는 여러 시도가 있어 왔지만, 실천적인 방법에 있어서는 아직도 그 길은 멀고 요원해 보인다. 저자들은 그 동안 정신분석적 심리치료의 현장에서 노력하여 왔지만, 정신분석의 한계를 통감하고, 온전한 치유/성숙을 위한 통합의 방법론적인 카운터파트로서 기독교 전통의 영성지도를 선택하여, 양 자 간의 실천적 이론을 비교 적용하는, 일견 무모해 보이는 시도의 첫 걸음을 내어 디뎠다. 이 책은 현대 정신분석의 주요 흐름인 오대 학파들, 대상관계 이론, 자기심리학, 애착이론, 상호주관주의, 그리고 정신화, 각각의 기본적인 이론들을 알기 쉽게 요약 제시함과 더불어, 이들의 실천적 이론들을 현대 기독교 영성의 주요 흐름인 묵상적 (또는 관상적; contemplative) 영성의 성찰적 지혜들과 그 치유/성숙의 실천적 방법인 영성지도와 비교 내지는 상호 적용을 시도해 보았다. 오래된 기독교 역사에서 전통적이면서도, 한 때 잊혀졌다가 최근 들어 기독교 영성의 새로운 흐름으로 대표되는 묵상적 영성과 영성지도를 상세히 소개하고, 이들의 치유적 성격과 지혜가 현대 정신분석의 지혜, 특히 상호주관주의와 정신화 개념과 상호 매우 가깝게 접근하고 있음을 주목하였다. 이 책은 일차적으로 실제 현장 작업에서 땀을 흘리고 있는 기독교 상담자, 심리치료자들과 영성 동반자들, 목회적 돌봄의 사역을 하는 그리스도인들을 위하여, 기독교 공동체 안에서의 온전한 치유/성숙이란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실천적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하나의 틀을 제공하려고 시도이다.
현대 정신분석학과 종교 (전이와 초월)

현대 정신분석학과 종교 (전이와 초월)

제임스 죤스  | 한국심리치료연구소
9,000원  | 20020820  | 9788987279138
정신분석가요 목회자인 존스는 전통적인 종교적 언어를 사용하는 대신에 현대 정신 분석학, 특히 대상관계이론의 용어를 사용하여 인간의 영성과 초월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기독교 신앙과 현대 정신분석학이 어떻게 새롭게 만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정신역동 코칭: 30가지 고유한 특징 (현대 정신분석 코칭의 기초 2, 호모코치쿠스 41)

정신역동 코칭: 30가지 고유한 특징 (현대 정신분석 코칭의 기초 2, 호모코치쿠스 41)

클라우디아 나겔  | 한국코칭수퍼비전아카데미
22,500원  | 20230614  | 9791189736569
정신역동 코칭: 30가지 고유한 특징』은 클라우디아 나겔Claudia Nagel이 정신역동 코칭이 가진 고유한 기능에 관해 포괄적 개요를 제공한다. 리더와 관리자들은 의사결정을 개선하기 위해 언제나 자신의 표면 아래, 내면을 살펴봄으로써 자기와 전체 맥락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정신역동 접근은 이 점과 관련한 고유한 통찰을 제공한다. 이 책은 이론뿐만 아니라 〈코칭-실천〉, 〈코칭-관계〉, 〈시작-종결〉을 다룬다. 현대 세계가 지닌 복잡성 안에서 인간 행동을 이해하는 힘을 보여주고, 무의식의 역동과 영향을 구성적이고 전체론적 입장에서 접근할 수 있게 정리하고 있다. 조직에서 받는 도전 과제에 적응해야 하는 현대 리더를 위해 〈정서〉와 〈관계〉에 초점을 맞추며, 다양한 배경을 가진 코치, 학계, 코칭과 조직행동을 배우는 훈련생, 임상 활동가들에게 귀중한 도구를 제공한다. 이 저서는 고위 리더들의 개인 성장을 위한 핵심 자원이 될 것이다. 특히 역자가 각 장 뒤에 덧붙인 30개의 부록과 239개의 각주는 정신역동 코칭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뿐만 아니라, 코치-됨과 코칭-함의 역량을 한층 강화하는 데 더없이 소중한 자원이 될 것이다.
정신역동과 임원코칭 (현대정신분석 코칭의 기초. 1, 호모코치쿠스 10)

정신역동과 임원코칭 (현대정신분석 코칭의 기초. 1, 호모코치쿠스 10)

캐서린 샌들러  | 한국코칭수퍼비전아카데미
22,500원  | 20190620  | 9791189736088
기업과 공공기관 임원, 정치인, 법조인, 의료인, 창작자 등 전문직과 타인에게 영향을 주는 모든 이들이 자신을 알도록 안내하는 책. 이 책은 자기가 알고 있는 능력이나 역량을 편안하게 드러내고 싶은 모든 이들을 위한 책이다. 노력해도 안 된다고 느낌이 들거나, 자기가 왜 이런지 모르고 궁금해한다면 이 책에서 해결을 위한 영감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조직에서 사람들과 관계 맺으며 생활하는 사람들은 한번 읽어 봐야 할 책이다. 나 자신은 물론 함께 일하는 사람들과 마음을 맞추고 한 방향으로 가려는 리더들이라면 이 책은 상당한 도움을 줄 것이다. 함께 하는 이들이 가진 역량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거나 영향력을 확대해야 한다고 느낀다면 이 책에서 리더가 해야 할 노력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현장 리더 53명의 생생한 사례와 함께, 셀프코칭을 통해 자신을 돌아보며 깊은 통찰을 얻을 수 있다. 코치의 전문성을 더 높이고, 코치이의 지속적 변화와 성숙을 원하는 코치라면 이 책은 꼭 읽어 봐야 할 필독서이다. 53명의 등장인물과 상황은 바로 ‘나는 어떻게 하고 있으며,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질문으로 안내한다.
나르시시즘

나르시시즘

박영진, 김경태, 박계원  | 현대정신분석연구소
8,550원  | 20250210  | 9788997465651
〈한국사회정신분석연구소: 가면과 거울 시리즈〉는 여러 정신분석 학자들과 함께 정신분석의 관점에서 현대 한국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마음의 문제를 주제별로 진단해보고 새로운 이해와 치유의 방향을 모색해보는 소중한 자료이다. 그 두번째 주제인 〈나르시시즘〉에서는 프로이트가 정신분석을 창안했던 ‘히스테리’의 시대와 달리 현대 사회에서 대두되고 있는 ‘나르시시즘’의 문제에 대해 정신분석 범주 안에서의 개념과 역사, 사회문화적, 임상적 관점에서 이해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정신분석이 나르시시즘의 문제에 어떤 것을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해본다.
공간의 발견 (위니캇, 신, 그리고 정신적 현실)

공간의 발견 (위니캇, 신, 그리고 정신적 현실)

앤 벨포드 율라노프  | 현대정신분석연구소
24,300원  | 20250501  | 9788997465668
앤 벨포드 율라노프는 『공간의 발견』에서 심층 심리학 전반과 특히 도널드 위니캇의 작업이 종교적 삶, 특히 기독교적 종교적 삶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새로운 방식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이 작업은 위니캇이 분석가로서의 그녀의 작업에 미친 영향과 그의 아이디어가 그녀 자신의 기독교 신앙과 종교적 이해를 어떻게 풍요롭게 했는지에 뿌리를 두고 있다. 또한, 율라노프는 위니캇이 생명력의 강렬함에 초점을 맞춘 것이 현대 종교의 곤경, 즉 그것이 열정 없거나 기계적일 수 있어 많은 사람들에게 무의미하게 느껴질 수 있는 문제에 대한 해독제라고 느낀다. 그녀는 위니캇의 자기와 타자 사이의 중간 공간transitional space 개념을 확장하여 인간과 신성 사이의 공간에 적용한다. 그녀는 신에 대한 창의적 접근에서 신 이미지의 “환상적 요소”의 중요성을 탐구한다. 다른 주제로는 중간 현실이 기독교인들이 신에 대해 갖는 주관적이고 객관적인 개념들과 함께 지니는 역설, 신과의 관계를 찾는 과정에서 신체-특히 섹슈얼리티와 공격성, 그리고 자기 내에서의 통합을 위한 투쟁-의 포함, 그리고 여성성의 중요성이 있다.
불안

불안

김석, 김소연, 이준호  | 현대정신분석연구소
8,550원  | 20241114  | 9788997465644
〈한국사회정신분석연구소: 가면과 거울 시리즈〉는 국내 여러 정신분석 학자들과 함께 현대 한국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마음의 문제를 정신분석의 관점에서 주제별로 진단해 보고 새로운 이해와 치유의 방향을 모색하려는 노력의 소산이다. 그 첫번째 주제는 ‘불안’이다. 흔히 질병이나 치료의 대상으로 이해하기 쉬우나 정신분석은 어떻게 불안과 함께 살아갈지를 더욱 중시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책은 동시대 한국사회의 불안 현상을 철학적, 사회문화적, 임상적 관점에서 횡단한다.
주관성의 구조 (정신분석적 현상학과 맥락주의의 탐구)

주관성의 구조 (정신분석적 현상학과 맥락주의의 탐구)

George E. Atwood, Robert D. Stolorow  | 현대정신분석연구소
22,500원  | 20240527  | 9788997465620
「주관성의 구조: 정신분석적 현상학과 맥락주의의 탐구」는 1984년에 처음 출판된 작품을 수정, 확장한 두 번째 판으로, 정신분석학에서 최초로 조지 앳우드와 로버트 스톨로로우가 정신분석적 현상학이라고 불렀던 상호주관적 관점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 이 판에는 이후 수십 년 동안 그들 사고의 발전을 추적하는 새로운 장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들의 가장 중요한 아이디어의 개인적인 기원을 탐구한다. 이 신판에서, 앳우드와 스톨로로우는 정신분석학의 철학적, 이론적 가정들을 다루고 있으며, 현상학적 맥락주의라고 명명한 광범위한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이 접근 방식은 모든 풍부함과 특이성을 지닌 개인의 주관적 세계를 다루고, 그것들의 기원과 치료적 변형의 관계적 맥락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주관성의 구조」는 저자의 관점에서 정신분석적 치료의 실행을 이끄는 원리를 다루며, 다수의 상세한 임상 사례 연구를 포함하고 있다. 이 책은 정신분석학자, 심리치료사, 정신과 의사, 심리학자, 상담자, 그리고 사회 복지사들의 필독서가 될 것이다. 또한 정신분석학의 이론과 실제, 그리고 그 철학적 전제에 관심이 있는 학자들과 학생들에게도 흥미로울 것이다.
존재의 맥락 (심리적 삶의 상호주관적 토대)

존재의 맥락 (심리적 삶의 상호주관적 토대)

Robert D. Stolorow, George E. Atwood  | 현대정신분석연구소
21,600원  | 20240801  | 9788997465637
이 책에서, 저자들은 「구름 속의 얼굴들Faces in a Cloud」(1979)을 시작으로 「주관성의 구조Structures of Subjectivity」(1984)와 「정신분석적 치료: 상호주관적 접근Psychoanalytic Treatment: An Intersubjective Approach」(1987, 브랜샤프트Brandchaft 공저)으로 이어진 여정을 완성한다. 그들은 이미 심리학 이론이 심리학 이론가의 주관적 세계에 의해 얼마나 영향을 받는지 입증했고, 주관적 세계를 조직하는 다양한 “주관성의 구조”를 탐구했으며, 광범위한 임상 문제에 상호주관적 관점을 적용했기 때문에, 이제는 상호주관성 이론을 확장하여 정신분석 이론의 기본 토대에 대하여 재고하기에 이르렀다. 고립된 개인의 정신 개념에 대한 심층적인 비판을 시작으로, 스톨로로우와 앳우드Stolorow and Atwood는 이 신화가 심리적 삶의 상호주관적 토대에 대한 인식을 오랫동안 방해해 왔다고 주장한다. 그런 다음 저자들은 상호주관성 이론의 관점에서 정신생활에 대한 정신분석 이론의 기본 가정을 재구성하는 일련의 장으로 나아간다. “치료 동맹의 다양성”과 “치료적 교착상태의 다양성”에 관한 마지막 장에서는 정신분석 치료자의 방향을 바꾸는 상호주관성 이론의 능력을 더욱 예시하여, 가장 도전적인 임상적 우발 사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을 제공한다. 「존재의 맥락Contexts of Being」은 스톨로로우와 앳우드의 초기 연구의 개념적 정점으로, 상호주관성의 관점이 기존의 정신분석 이론에 접목될 수 있는 임상적 감수성으로 축소될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하는 장을 제공한다. 오히려 저자들은 상호주관적 관점이 정신분석적 사고의 모든 측면들을 급진적으로 수정하도록 요구하는 방법론적, 인식론적 함의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 책은 이러한 함의를 설득력 있게 설명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전면적인 개정을 수행하는 중요한 첫 걸음이기도 하다.
미래의 비망록

미래의 비망록

윌프레드 R. 비온  | 현대정신분석연구소
40,500원  | 20240422  | 9788997465613
정신분석적 성찰을 소설의 형태로 제시하는 비온의 비정통적인 시도, 〈미래의 비망록〉은 세 개의 소설로 구성되었다: '꿈(1975)', '제시된 과거(1977)', '망각의 새벽(1979)'. 독자들은 오랜 세월 동안 비온을 깊이있게 연구해온 번역자의 주석과 함께 비온의 정신분석과 그의 환상 세계를 탐험하게 될 것이다.
로욜라의 이냐시오 (성인의 심리)

로욜라의 이냐시오 (성인의 심리)

윌리엄 마이스너  | 현대정신분석연구소
38,250원  | 20230925  | 9788997465606
로욜라의 이냐시오-기사이자 성인, 신비가이자 고행의 수도자, 예수회의 설립자-는 서방 그리스도교에 있어 가장 영향력 있고 가장 복합적인 성격의 인물 중 하나이다. 예수회 신부이기도 한 정신분석학자에 의해 쓰여진 이 책은 이냐시오의 내면의 삶과 그의 영성과 그의 신비주의가 취한 구체적인 형태들에 대한 심리적 동기를 탐구한 첫 번째 저작이다.
안아주기와 해석 (정신분석 축어록)

안아주기와 해석 (정신분석 축어록)

도널드 위니코트  | 현대정신분석연구소
27,000원  | 20220822  | 9788997465569
위니캇이 한 정신증 환자를 만나면서 기록해 놓은 축어록을 〈안아주기와 해석(Holding and Interpretation)〉이라는 제목의 책으로 엮은 것이다. 이는 단순한 축어록이 아니라 정신분석의 거인 중 한사람인 위니캇이 실제로 한 환자를 만나면서 어떤 생각들을 했고 환자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관찰할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담는 것/담기는 것 안에서의 성장과 격랑 (비온의 유산)

담는 것/담기는 것 안에서의 성장과 격랑 (비온의 유산)

하워드 B. 레빈, 로렌스 J. 브라운  | 현대정신분석연구소
29,700원  | 20230810  | 9788997465590
윌프레드 비온은 지그문트 프로이트 이후 가장 많이 인용되는 저자이다. 알파 기능, 깨어있는 꿈 사고에 대한 그의 공식화와 생각하기 및 담는 것/담기는 것에 대한 이론은 정신적 기능과 근원적 마음에 관한 탐구에 뿐만 아니라, 정신분석적 이론과 임상의 정교화에도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해왔다. 『담는 것/담기는 것 안에서의 성장과 격랑: 비온의 유산』은 2009년 보스턴에서 열린 국제 비온 학회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기초로 한 것이며, 뛰어난 국제 비온 학자들과 전문가 그룹의 가장 최근 생각들을 보여준다. 이 책은 역사적/자전적 주제부터 임상, 이론, 발달론, 문화, 미학적 주제에 이르는 비온의 지적 체계에 관한 가장 최근 트렌드를 담고 있다. 『담는 것/담기는 것 안에서의 성장과 격랑: 비온의 유산』은 정신분석 분야에서 추가적인 창조적 탐구를 위한 필수적인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정신분석 임상가, 정신분석 졸업생, 정신분석 훈련생, 정신분석 심리치료사, 그리고 모든 학파의 학자들에게 특별한 흥미를 불러일으킬 것이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