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불안

불안

김석, 김소연, 이준호 (지은이)
현대정신분석연구소
9,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030원 -4% 2,500원
470원
11,0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불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불안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97465644
· 쪽수 : 168쪽
· 출판일 : 2024-11-14

책 소개

<한국사회정신분석연구소: 가면과 거울 시리즈>는 국내 여러 정신분석 학자들과 함께 현대 한국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마음의 문제를 정신분석의 관점에서 주제별로 진단해 보고 새로운 이해와 치유의 방향을 모색하려는 노력의 소산이다. 그 첫번째 주제는 ‘불안’이다.

목차

발행사 한국사회정신분석연구소: 가면과 거울 시리즈를 발간하면서 _ 7

1 불안은 병이 아니다 _김 석(건국대학교)_ 13

들어가는 말: 온통 불안장애 _ 13
과도한 병리적 진단 문제 _ 17
불안은 개인과 사회의 긴장 효과 - 신자유주의 사회 _21
사회가 강요하는 이상적 욕망 _ 27
과잉 긍정과 자기계발 신화가 낳는 불안 _31
욕망에 대한 경종이자 존재 실현의 가능성 _ 35
획일화된 욕망이 만드는 불안 _ 41
불안과 더불어 살기 위한 개인의 실천 _ 47
불안과 살기 위한 사회적 대안? _ 51
마치는 말: 불안은 내 삶의 일부 _ 57

2 신자유주의 시대의 한국 대중문화와 불안에 감염된 몸들 _ 63
_김소연(강원대학교)

불안을 ‘안정액’으로 이겨낼 수 있다고? _ 63
<오징어 게임>: 신자유주의 시대 무산자들의 욕망의 궁지 _ 69
‘호모 이코노미쿠스’의 좌절과 자동불안의 폭발 _ 76
(사회적) 불안과 (재난영화의) 공포 사이 _ 85
불안의 기착지로서의 몸 1: 좀비라는 왜상 _ 92
불안의 기착지로서의 몸 2: 초능력자의 초월성 _ 99
염려와 걱정의 시대, 불안하지 않은 몸을 위하여 _ 112

3 불안의 임상적 분석 _이준호(현대정신분석연구소) _ 117

불안한 내담자 A _ 117
불안의 뿌리로서 외상 _ 121
프로이트와 불안의 치료 _ 125
불안을 다루기 위해 두 명이 필요한 비온 _ 128
담아내는 자와 소극적 능력 _ 132
불안의 다른 층위 _ 137
잠재적 불안을 드러내기 _ 140
불안의 전염 _ 143
MBTI를 사랑하는 한국 _ 146
나르시시즘과 담는 것의 부재 _ 154
스마트폰 잠시 내려놓기 _ 158
비대면에서 다시 대면으로 _ 160
서로 담고-담기기 _ 163

저자소개

김소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에서 ‘코리안 뉴 웨이브 영화’를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비판하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다. 주요 번역서로는 『삐딱하게 보기』, 『항상 라캉에 대해 알고 싶었지만 감히 히치콕에게 물어보지 못한 모든 것』, 『여자가 없다고 상상해봐: 윤리와 승화』 외 다수, 주요 저서로는 『실재의 죽음』, 『사랑의 내막』, 『영화비평과 정신분석』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김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파리8대학(Paris-8) 철학과에서 ‘라캉의 욕망하는 주체’를 주제로 2005년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철학아카데미, 고려대, 시립대 등에서 강의했으며 2009년~2017년 건국대학교 자율전공학부를 거쳐, 2018년부터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정신분석 개념과 철학 이론을 접목해 한국 사회의 집단 심리와 사회, 문화 현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면서 공동체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에 관심을 쏟고 있다.
펼치기
이준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보스턴 정신분석대학원에서 ‘관계 유지의 어려움’의 단일사례 연구로 박사학위 및 정신분석가 자격을 받았다. 국내 최초의 정신분석대학원인 한신대 정신분석대학원의 초대 주임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현대정신분석연구소와 광화문심리치료센터의 소장을 맡고 있다. 또한 아주대 의료인문정신분석전공과 건대 정신분석상담학 전공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정신분석 교육, 임상, 연구 및 출판에 종사하고 있으며, 서양의 학문이자 치료기법인 정신분석을 한국적인 방식으로 이해하고 적용하는 데에 관심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정상과 비정상, 그리고 정신장애(mental disorder)와 정신질환(mental illness)을 전제로 증상의 심각성의 유무를 나눌 수밖에 없는 의학적 관점은 약물치료나 인지행동치료 등을 통해 불안을 제거하여 일정 기준으로 회복하는 것을 전제하는데 사실 정상 상태가 도대체 무엇을 말하는지 의학적 시선을 정당화하기는 힘들다.


불안과 함께 살기 위해서는 먼저 의학적 관점에서 치료의 대상으로 불안을 바라보는 것에서 탈피할 필요가 있으며, 불안이 순기능과 역기능을 동시에 지니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무조건 불안을 치료의 대상으로만 보거나, 개인의 의지로 극복할 문제로 보는게 아니라 그 본질을 이해하고, 자기 자신과 관계를 잘 맺으면서 불안을 삶의 동력으로 삼아야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