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정신분석학
· ISBN : 9788997465637
· 쪽수 : 171쪽
· 출판일 : 2024-08-01
책 소개
목차
서문
소개의 글
이론적 토대(Theoretical Foundations)
1. 고립된 정신의 신화(The Myth of the Isolated Mind)
2. 무의식의 세 영역(Three Realms of the Unconscious)
3. 정신과 신체(The Mind and the Body)
4. 외상과 병인(Trauma and Pathogenesis)
5. 환상 형성(Fantasy Formation)
임상적 적용(Clinical Applications)
6. 치료 동맹의 다양성(Varieties of Therapeutic Alliance)
7. 치료적 교착 상태의 다양성(Varieties of Therapeutic Impasse)
후기
참고문헌
색인
책속에서
상호주관성 이론Intersubjectivity theory은 심리적 현상을 고립된 정신 내부 메커니즘의 산물이 아니라, 호혜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주관성의 접점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장 이론field theory 또는 시스템 이론systems theory입니다. 심리적 현상은 “그것들이 형성되는 상호주관적인 맥락을 제외하고는 이해할 수 없다”라고 우리는 반복적으로 강조해왔습니다(Atwood and Stolorow, 1984, p. 64). 우리는 그것이 고립된 개인의 정신이 아니라, 정신분석적 탐구의 적절한 영역을 구성하는 환자와 분석가, 또는 아이와 돌보는 사람의 주관적 세계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만들어진 더 큰 시스템이라고 주장해왔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앞으로 우리가 살펴보겠지만, 개인의 정신이나 마음 개념 자체는 상호주관적인 관련성의 연계 안에서 결정화되고 특정한 심리적 기능을 제공하는 심리적 산물입니다. -본문 ‘소개의’ 글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