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존재의 맥락

존재의 맥락

로버트 D. 스톨로로우, 조지 E. 앳우드 (지은이), 임선미 (옮긴이)
현대정신분석연구소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800원 -5% 0원
1,200원
21,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22,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존재의 맥락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존재의 맥락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정신분석학
· ISBN : 9788997465637
· 쪽수 : 171쪽
· 출판일 : 2024-08-01

책 소개

스톨로로우와 앳우드의 초기 연구의 개념적 정점으로, 상호주관성의 관점이 기존의 정신분석 이론에 접목될 수 있는 임상적 감수성으로 축소될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하는 장을 제공한다.

목차

서문
소개의 글

이론적 토대(Theoretical Foundations)
1. 고립된 정신의 신화(The Myth of the Isolated Mind)
2. 무의식의 세 영역(Three Realms of the Unconscious)
3. 정신과 신체(The Mind and the Body)
4. 외상과 병인(Trauma and Pathogenesis)
5. 환상 형성(Fantasy Formation)

임상적 적용(Clinical Applications)
6. 치료 동맹의 다양성(Varieties of Therapeutic Alliance)
7. 치료적 교착 상태의 다양성(Varieties of Therapeutic Impasse)

후기
참고문헌
색인

저자소개

로버트 D. 스톨로로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로스앤젤레스의 “현대 정신분석 연구소(Institute of Contempo rary Psychoanalysis)”와 뉴욕의 “주관성 정신분석 연구소(Institute for the Psycho analytic Study of Subjectivity)”의 창립 교수이다. 그는 「세계, 감정, 트라우마: 하이데거와 데카르트 이후의 정신분석학(World, Affectivity, Trauma: Heidegger and Post-Cartesian Psychoanalysis)」과「트라우마와 인간 존재: 자서전적, 정신분석학적, 철학적 성찰(Trauma and Human Existence: Autobiographical, Psychoanalytic, and Philosophical Reflections)」의 저자이며, 조지 앳우드와 함께 다섯 권의 책을 공동 집필하였다.
펼치기
조지 E. 앳우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럿거스 대학의 임상 심리학 교수(명예)이자, 뉴욕의 “주관성 정신분석 연구소(Institute for the Psychoanalytic Study of Subjectivity)”의 창립 교수이다. 그는 「광기의 심연(The Abyss of Madness)」의 저자이자, 「정신분석 치료(Psychoanalytic Treatment)」, 「존재의 맥락(Contexts of Being)」, 「구름 속의 얼굴들(Faces in a Cloud)」 및 「상호주관적으로 작업하기(Working Intersubjectively)」의 공동 저자이다.
펼치기
임선미 (옮긴이)    정보 더보기
- 호서대학교 목회상담학 석사 -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석사 - 한세대학교 상담학 박사 - A.L.L.정신분석심리상담연구소장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이사 - 한국정신분석협회 준회원
펼치기

책속에서

상호주관성 이론Intersubjectivity theory은 심리적 현상을 고립된 정신 내부 메커니즘의 산물이 아니라, 호혜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주관성의 접점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장 이론field theory 또는 시스템 이론systems theory입니다. 심리적 현상은 “그것들이 형성되는 상호주관적인 맥락을 제외하고는 이해할 수 없다”라고 우리는 반복적으로 강조해왔습니다(Atwood and Stolorow, 1984, p. 64). 우리는 그것이 고립된 개인의 정신이 아니라, 정신분석적 탐구의 적절한 영역을 구성하는 환자와 분석가, 또는 아이와 돌보는 사람의 주관적 세계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만들어진 더 큰 시스템이라고 주장해왔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앞으로 우리가 살펴보겠지만, 개인의 정신이나 마음 개념 자체는 상호주관적인 관련성의 연계 안에서 결정화되고 특정한 심리적 기능을 제공하는 심리적 산물입니다. -본문 ‘소개의’ 글 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