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마르크스주의
· ISBN : 6000029670
· 쪽수 : 230쪽
· 출판일 : 1995-11-25
책 소개
목차
마르크스의 철학
한국어판 서문
1장 마르크스주의적 철학인가 마르크스의 철학인가
철학과 비철학
절단과 단절들
1848년 이후
1871년 이후
연표
2장 세계를 변화시키자 : 프락시스에서 생산으로
「포이어바흐에 대한 테제들」
소외비판
철학에 반한 혁명
프락시스와 계급투쟁
현재의 행위
관념론의 두 얼굴
주체는 실천이다
'인간적 본질'의 현실성
이론적 인간주의
초개인적인 것
관계의 존재론
슈티르너의 반론
『독일 이데올로기』
역사의 전변
보편적 계급으로서의 프롤레타리아
실천의 통일성
3장 이데올로기 또는 물신숭배 : 권력과 주체화
이론과 실천
지배적 이데올로기
의식의 자율성과 제한
허구적 보편성
지적 차이
지식인들과 국가
이데올로기의 아포리아
'상품의 물신숭배'
외양의 필연성
관념성의 발생
마르크스와 관념론(재론)
주체성의 발생
'사물화'
교환과 의무 : 마르크스에게 상징적인 것
'인권'의 문제
자유, 평등, 소유
우상에서 물신으로
국가인가 시장인가
4장 시간과 진보 : 또 다시 역사철학인가?
부정의 부정
변증법의 모호성
마르크스주의적 진보 이데올로기들
역사의 전체성
하나의 진화이론인가?
인과성의 셰마(변증법I)
계급투쟁의 심급
역사의 '나쁜 방향'
현실적 모순(변증법II)
역사성을 향하여
경제주의의 진실(변증법 III)
국가의 소멸
러시아 코뮌
반진화주의?
5장 과학과 혁명
세개의 철학적 경로
작업중인 저작
마르크스를 위하여 또 그에 반하여
문헌안내
마르크스의 저작들
일반적 저작들
보충적 문헌들
마르크스의 정치
1장 반폭력과 '인권의 정치'
폭력의 모호성, 정치의 모호성
비폭력과 대항폭력의 아포리아
혁명적 정치와 '인권의 정치'
'반폭력'의 문제설정 : 마르크스와 스피노자
폭력의 초객관적 형태들과 초주체적 형태들
2장 '인권의 정치'와 정교분리의 경계
정교분리 논쟁의 쟁점들
논쟁의 역설과 딜레마
반정립적 초정교분리
정교분리의 경계
3장 지식인들의 폭력 : 반역과 지성
상징적 폭력과 폭력의 지성
헤게모니와 '총체적 이데올로기'
반역과 지성
책속에서
다른 어떤 사람들보다도 더욱 마르크스는 정세 속에서 집필하였다. 그러한 입장이 헤겔이 말했던 '개념의 인내'나 결론들의 엄밀함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그것은 확실히 결론들의 안정성과는 양립 불가능한 것이었다. 마르크스는 영원한 재출발의 철학자이며 다수의 작업을 미완성인 채로 남겨 놓는다. 그의 사상의 내용은 그 여러 전위들과 분리될 수 없다. 이때문에 마르크스의 사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그 체계를 추상적으로 재구성할 수는 없는 것이다. 단절점과 분기점들을 갖고 있는 그 진화를 추적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