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자본을 읽자

자본을 읽자

루이 알튀세르, 에티엔 발리바르, 로제 에스타블레, 피에르 마슈레, 자크 랑시에르 (지은이), 배세진, 김은주, 안준범, 진태원 (옮긴이), 진태원 (해제)
그린비
7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68,400원 -5% 0원
2,160원
66,240원 >
64,800원 -10% 0원
0원
64,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자본을 읽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자본을 읽자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94513025
· 쪽수 : 1152쪽
· 출판일 : 2025-01-07

책 소개

마르크스주의 철학 없이 『자본』을 읽는다면, 과거의 독자들처럼 잘못된 길로 빠질 수 있다. 교조화라는 잘못된 길 말이다. 자연과학이 과학철학의 도움을 통해 이해되듯, 마르크스의 『자본』 또한 마르크스주의 철학을 통해 더욱 적합한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고 그래야만 한다. 이 책은 그래서 필요하다.

목차

3판 편자 서문 _ 에티엔 발리바르 외/ 배세진 옮김 ·9
『“자본”을 읽자』를 읽자 _ 에티엔 발리바르/ 배세진 옮김 ·26
동료시민 모리스 라 샤트르 씨에게/ 칼 마르크스 ·57

서장 『자본』에서 마르크스의 철학으로 ·59
루이 알튀세르/ 진태원 옮김

1장 1844년의 『경제학-철학 수고』에서 『자본』까지의
비판 개념과 정치경제학 비판 ·177

자크 랑시에르/ 김은주 옮김
I. 1844년의 『경제학-철학 수고』에서의 정치경제학 비판 ·183
II. 『자본』에서의 비판과 과학 ·219
III. 결론을 대신할 비고 ·334

2장 『자본』의 서술방식에 대하여(개념의 노동) ·343
피에르 마슈레/ 김은주 옮김
I. 출발점과 부의 분석 ·360
II. 상품 분석과 모순의 현상 ·371
III. 가치 분석 ·381

3장 『자본』의 대상 ·409
루이 알튀세르/ 배세진 옮김
Ⅰ. 머리말 ·411
Ⅱ. 마르크스와 그의 발견들 ·426
Ⅲ. 고전파 경제학의 이점 ·436
Ⅳ. 고전파 경제학의 결점: 역사적 시간 개념 개요 ·457
Ⅴ. 마르크스주의는 역사주의가 아니다 ·527
Ⅵ. 『자본』의 인식론적 명제들(마르크스와 엥겔스) ·591
Ⅶ. ‘정치경제학’의 대상 ·622
Ⅷ. 마르크스의 비판 ·640
Ⅸ. 마르크스의 거대한 이론적 혁명 ·676
부록. ‘이상적 평균’과 이행의 형태에 관하여 ·705

4장 역사유물론의 기본 개념들에 대하여 ·717
에티엔 발리바르/ 안준범 옮김
I. 시기구분으로부터 생산양식으로 ·734
II. 구조의 요소들과 이 요소들의 역사 ·764
III. 재생산에 대하여 ·816
Ⅳ. 이행이론을 위한 요소들 ·851

5장 『자본』의 플란에 대한 시론 ·915
로제 에스타블레/안준범 옮김
I. 『자본』에 대한 마르크스 자신의 제시 ·933
II. 『자본』의 절합들 ·939
III. 1권과 2권의, 세공되지는 않지만 정확히 측정되는
이론적 장과 그 이름: “경쟁” ·972
IV. 절합 2의 두 번째 부분의 대상에 대한 정의,
이 대상에 대한 선취들과 이 대상이 맺는 관계 ·979
V. 절합 2의 두 번째 부분의 하위절합들에 대한 연구 ·981
VI. 절합 2의 정의 ·994
VII. 결론 ·996

해제 『“자본”을 읽자』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1001
진태원
1. 미지의 책, 『 “자본”을 읽자』 ·1002
2. 알튀세르의 이론적 슬로건
: 마르크스를 위하여 『자본』을 읽자 ·1005
3. 『자본』을 철학적으로 읽는다는 것 ·1009
4. 『자본』에 대한 철학적 독서의 네 가지 범주 ·1020
5. 『 “자본”을 읽자』 이후 또는 『 “자본”을 읽자』에 대한
증상적 독서를 위하여 ·1063
6. 증상적 독서의 몇 가지 쟁점 ·1072

감사의 말 ·1147

저자소개

루이 알튀세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18년 알제리에서 태어났지만 어머니의 약혼자였던 죽은 삼촌의 이름을 물려받은 익명의 대리인. 가톨릭학생청년회에서 정치적 조직 활동을 시작했고 1948년 프랑스 공산당에 입당해 평생을 조직에 비판적으로 헌신했으나 당의 응답을 듣지 못한 비운의 조직 활동가. 1939년 파리고등사범학교에 합격했으나 징집 후 포로가 되어, 수용소에서 벗어나기 위해 포로인 채로 남아 사라지는 방법을 상상한 행방불명된 자유로운 포로. 1946년 뒤늦게 학교로 돌아와 헤겔에 관한 우수한 논문을 쓰고 졸업했으나 출판은 거부한 노숙한 학생. 제자들의 독특한 이론적 욕망과 능력을 고취시키는 데 탁월한 재능을 가진, 하지만 모든 제자들에게 공개적으로 비판받은 교육자. 1965년 《마르크스를 위하여》와 제자들과 함께 쓴 《‘자본’을 읽자》를 연이어 출간함으로써 비-마르크스주의의 이론적 자원을 갖고 현대 마르크스주의 이론에 지워질 수 없는 그 이름을 기입한 이단적인 마르크스주의 이론가. 개념의 물질성을 마음에 새기고 구조와 정세 사이를 갈지자로 나아가며 개념의 역학관계를 구부리길 멈추지 않았던 자기비판가. 68년 5월을 자신의 눈에 담지 못하고 오직 담벼락에 새겨진 비-존재의 모습으로만 함께하다 뒤늦게 <이데올로기와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들>로 개입했던 유예된 시대의 증인. 마키아벨리의 고독 속에 자신을 겹쳐 본, 다른 사람들과 생각을 공유하지 않을 수 없는 사상가. 평생 우울증의 재발과 회복의 사이클에 따라 격리되길 반복하다 1980년 정신착란 속에서 아내를 교살하고서는 자신의 자리를 완전히 금지당한 광인. 자기 이야기를 늘어놓지 않는 것을 유물론의 유일한 정의라고 생각하면서도 자서전을 남긴, 하지만 글을 타인의 말로 끝맺고 있는 작가. 항구적인 철학적 전쟁을 벌였던 전술가. 철학의 원환 속에 남아 철학 바깥을 보려고 했던 철학자. 비-존재의 조건들에서 출발해 존재의 조건들을 사고한 공산주의자. 단 몇 권의 책만을 출판했지만 수많은 단행본 원고 뭉치를 서랍 속에 묻어두었던 저술가. 이 수많은 호명들과 함께, 또 그에 반하여 알튀세르는 삶, 철학, 정치, 과학, 이론, 실천을 사유하며 살아갔다.
펼치기
에티엔 발리바르 ()    정보 더보기
프랑스 파리 고등사범학교에 입학해 스승인 루이 알튀세르와 조르주 캉길렘에게 철학을 배웠고, 동료이자 선생인 자크 데리다와 미셸 푸코에게도 큰 영향을 받았다. 알튀세르의 충실한 제자로서 그의 마르크스주의 개조 작업을 추수하며 1965년에는 알튀세르, 자크 랑시에르, 피에르 마슈레, 로제 에스타블레와 함께 『“자본”을 읽자』를 공동 저술했다. 이후에도 알튀세르의 영향하에 마르크스주의 개조 작업을 이어 나가 1974년 『역사유물론 5연구』와 1976년 『프롤레타리아독재에 관하여』를 저술했다. 하지만 1980년 알튀세르가 아내 엘렌 리트만을 교살하고 정신병원에 유폐된 뒤에는 독자적인 마르크스주의 해체 작업에 착수해 그 결과물을 1997년 『대중들의 공포』 등으로 출간했으며, 1990년대 이후 세계화 및 유럽 건설이라는 이중의 정세 속에서 대중운동의 확장 및 시민권 헌정의 민주주의적 전화를 모색하려는 이론적 작업을 수행해 그 결과물을 2001년 『우리, 유럽의 시민들』 등으로 출간했다. 파리 낭테르 10대학 철학과 교수와 명예교수를 지낸 뒤 미국으로 이주해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어바인) 특훈교수를 지냈으며, 코로나19 감염증 사태를 전후로 파리로 돌아와 자신의 지적 여정 전체를 여섯 권의 ‘에크리’로 정리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본서인 『개념의 정념들』(에크리 2권)을 포함해 『끝날 수 없는 역사』(에크리 1권)와 『세계정치』(에크리 3권)가 현재 출간되었으며, ‘공산주의’, ‘인종주의’, ‘정치경제학 비판’에 관한 나머지 에크리의 출간을 준비 중이다.
펼치기
피에르 마슈레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8년생. 스피노자 철학과 문학적 철학을 집중적으로 사유했다. 알튀세르의 ‘구조적 마르크스주의’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해 『“자본”을 읽자』를 공저했다. 1980년대 이후에는 스피노자 철학에 관한 연구에 전념하여 『스피노자와 함께』(1992), 『스피노자 “윤리학” 입문』(전 5권, 1994~1998) 등을 집필했다. 이와 함께 문학적 철학에 관한 연구에도 몰두하여 『문학 생산의 이론을 위하여』(1966)와 『문학은 무엇을 사유하는가?』(1990) 등을 집필했다. 현재 릴 3대학 명예교수.
펼치기
피에르 마슈레의 다른 책 >
자크 랑시에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파리 고등사범학교를 졸업하고, 파리 8대학에서 1969년부터 2000년까지 미학과 철학을 가르쳤다. 고고학을 공부하고 싶어 고등사범학교에 들어갔으나 무엇을 해야 할지 몰라 헤맸다. 그러던 중 루이 알튀세르의 영향 아래 인간주의적 마르크스 해석과 단절하고 마르크스를 과학적으로 읽으면서 「비판 개념 그리고 『1844년 수고』에서 『자본』까지 정치경제학 비판」이라는 논문을 썼다(『『자본』을 읽자』(1965)에 수록). 그러나 68운동을 경험하면서 알튀세르주의자들이 주장하는 이론적 실천이 내포한 ‘앎과 대중의 분리’, 그들의 이데올로기론이 함축하는 ‘자리/몫의 배분’에 반대하며 『알튀세르의 교훈』(1974)을 작성하였다. 1970년대 초반부터 19세기 노동자들의 문서고를 살피기 시작했고, 1975년부터 1985년까지 잡지 《논리적 반란》을 통해 그 결과물들을 내놓았다. 노동자들이 직접 내뱉는 말과 사유를 추적하여 『노동자의 말, 1830/1851』(1975)과 『평민 철학자』(1985)를 편집했고, 그간의 문제틀을 역사 연구를 통해 발전시키면서 국가 박사학위 논문인 『프롤레타리아들의 밤』(1981) 및 『철학자와 그의 빈자들』(1983), 『무지한 스승』(1987) 등을 연이어 발표하였다. 구소련의 붕괴와 더불어 선포된 정치의 몰락/회귀에 맞서 정치와 평등 그리고 민주주의에 대해 고민하면서, 그로부터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1990, 1998/한국어판; 도서출판 길〔개정판/2013〕)와 『불화』(1995/한국어판; 도서출판 길〔2015〕)를 발표하여 이름을 날렸다. 1990년대 중반부터는 미학 혹은 감성론과 정치의 관계를 사유하는 데 집중하면서, 『무언의 말』(1998), 『말의 살』(1998), 『감성의 분할』(2000/한국어판; 도서출판b〔2008〕), 『미학적 무의식』(2001), 『영화 우화』(2001/한국어판; 인간사랑〔2012〕), 『해방된 관객』(2008/한국어판; 현실문화〔2016〕), 『역사의 형상들』(2012/한국어판; 글항아리〔2016〕) 등을 집필했다. 그는 잠시도 어느 한 분과학문의 틀에 얽매이지 않고 경계를 넘나들며 아직도 우리에게 독특한 생각들을 던져주고 있다.
펼치기
로제 에스타블레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8년생. 사회학자로서 학교와 교육에 관한 사회학적 분석에 집중했다. 알튀세르의 ‘구조적 마르크스주의’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해 『“자본”을 읽자』를 공저했다. 그 뒤 사회학 분과 연구에 집중해 1984년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70년 이래로 동료 연구자 크리스티앙 보들로(Christian Baudelot)와 함께 학교와 교육에 관한 여러 사회학적 저서를 집필했다. 현재 프로방스대학교 명예교수.
펼치기
김은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국어교육과와 같은 대학 철학과 졸업. 프랑스 리옹고등사범학교에서 스피노자 연구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 철학과 부교수로 있다. 대표 저서로 『스피노자의 형이상학』, 옮긴 책으로 스피노자의 『지성교정론』과 알렉상드르 마트롱의 『스피노자 철학에서 개인과 공동체』(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안준범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사학과에서 박사학위 취득. 성균관대학교 사학과에서 강의했다. 옮긴 책으로 가야트리 차크라보르티 스피박의 『읽기』, 자크 랑시에르의 『프롤레타리아의 밤』과 『역사의 이름들』, 토마 피케티의 『자본과 이데올로기』, 루이 알튀세르의 『비철학자들을 위한 철학 입문』, 폴 긴스버그의 『이탈리아 현대사』, 디페시 차크라바르티의 『유럽을 지방화하기』(공역)가 있다.
펼치기
배세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8년 서울 출생. 정치철학자이자 문화연구자.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미디어문화연구 전공에서 『마르크스주의 이데올로기론의 재구성: 알튀세르와 발리바르의 논의를 중심으로』라는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프랑스 파리-시테 대학교(구舊 파리-디드로 7대학) 사회과학대학의 ‘사회학 및 정치철학’ 학과에서 푸코와 마르크스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같은 대학원 같은 학과 정치철학 전공에서 이를 발전시킨 논문 Monnaie et foucaldo-marxisme: Valeur-travail, fetichisme, relation de pouvoir et subjectivation(푸코-마르크스주의와 화폐: 노동-가치, 물신숭배, 권력관계 그리고 주체화)으로 정치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매체와예술 연구소 연구원이자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미디어문화연구 전공 강사이다. 미셸 푸코, 루이 알튀세르, 에티엔 발리바르, 자크 비데, 피에르 마슈레, 피에르 부르디외, 주디스 버틀러의 현대 프랑스 정치철학을 사회과학 내 문화연구의 틀에서 연구·번역하고 있다. 알튀세르의 『무엇을 할 것인가?』, 『검은 소』, 『역사에 관한 글들』(공역), 발리바르의 『마르크스의 철학』, 『역사유물론 연구』, 『개념의 정념들』, 알튀세르와 발리바르 등의 『『자본』을 읽자』(공역), 제라르 뒤메닐·엠마뉘엘 르노·미카엘 뢰비의 『마르크스주의 100단어』와 『마르크스를 읽자』(공역), 비데의 『마르크스의 생명정치학』과 『마르크스와 함께 푸코를』, 푸코의 『바깥의 사유』(근간), 피에르 부르디외·로제 샤르티에의 『사회학자와 역사학자』(공역), 프레데릭 그로의 『미셸 푸코』, 폴린 그로장의 『가부장 자본주의』 등을 옮겼다. 마르크스의 『자본』을 평생 읽을 생각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마르크스가 인식생산 과정에 대해, 곧 인식이 인식의 ‘양식’에 따라 정확히 전유하려고 하는 현실대상과 구별되는 인식대상에 대해 그것은 전적으로 인식 안에서, ‘머릿속’에서 또는 사고 속에서 이루어진다고 우리에게 말할 때, 그는 단 한순간도 의식, 정신 또는 사고의 관념론에 빠지지 않는데, 왜냐하면 여기에서 문제가 되는 ‘사고’는 초월론적 주체 내지 절대적 의식이 지닌 직능, 현실세계가 물질로서 그것에 대면하게 될 그러한 직능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고는 또한 심리적 주체의 직능도 아닌데, 비록 인간 개체들이 이러한 사고의 행위자라고 해도 그렇다. 이러한 사고는 자연적이고 사회적인 현실 속에서 정초되고 분절되는, 역사적으로 구성된 사고장치의 체계다. 이러한 사고는 이 사고를, 이러한 정식을 감히 사용하자면, 인식의 규정된 생산양식으로 만드는 현실조건들의 체계에 의해 정의된다. 이러한 사고는, 그것이 작업하는 대상 유형(원재료)과, 그것이 보유하고 있는 이론적 생산수단(그것이 지닌 이론, 방법 및 실험 기술이나 다른 기술), 그리고 그것이 그 속에서 생산하는 역사적 관계(이론적이고 이데올로기적이면서 동시에 사회적인)를 결합하는(Verbindung) 어떤 구조에 의해 그 자체로 구성된다. 이런저런 사고하는 주체(개인)에게 인식들의 생산에서 그의 위치와 기능을 지정하는 것은 바로 이론적 실천 조건들에 의해 정의되는 이러한 체계다.


더 이상 『경제학-철학 수고』와 유사한 주체-대상의 쌍을 만날 수 없다. 『경제학-철학 수고』에서 ‘Gegenstand’[대상]라는 용어는 감각주의적 의미로 받아들여졌다. 반면 여기 『자본』에서 그것은 유령에 불과하다. 즉 구조가 갖는 어떤 성격의 발현일 뿐이다. 사물의 형태를 띠는 것은 주체의 활동으로서의 노동이 아니라 노동의 사회적 성격이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인간 노동은 어떤 구성적 주체의 노동이 아니다. 그것은 규정된 사회구조의 표식을 지니고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모순에 직면한다. 노동은 결코 상품일 수 없는데도 상품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우리가 이미 밝혀냈던 구조와 마주하게 된다. 곧 불가능한 어떤 것이 Wirklichkeit[현실성] 안에 실존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불가능성의 가능성은 우리로 하여금 부재하는 원인을, 생산관계를 참조하게 한다. 직접생산자를 생산수단에서 분리한 원시적 축적 이후, 직접생산자는 자기 노동력을 상품으로 판매하도록 강제된다. 그들의 노동은 임금노동이 되며, 그리고 자본가는 그들의 노동력이 아닌 노동에 대가를 지불한다는 겉모습이 생겨난다. 노동가치라는 범주 뒤에 감춰진 노동력의 가치라는 범주를 드러내는 일은 자본주의적 생산관계의 결정적 성격을 드러내는 일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