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학회/무크/계간지
· ISBN : 9772093472002
· 쪽수 : 1102쪽
· 출판일 : 2022-12-20
목차
華峰 呂丞九 先生 追念號
발간사-책을 사랑한 자에 대한 경의와 책을 사랑하는 자의 탄식|조영복
화보-『새별』 外
呂丞九先生 追慕
華峰 呂丞九 先生 尊影
華峰 呂丞九 先生 年譜
『한국문학작품산책』(화봉문고 창립50주년기념전시도록) 서문|(故)여승구
화봉 여승구 선생을 기리며|최철환
화봉 여승구 회장님을 추억하며|김종태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이끌어오신 功德|오영식
文苑
詩-발굴 나의 노래는 우리들의 피ㅅ속에-七月二十九日에 부른 노래|吳章煥
詩-신작시 발칸대장|박덕규
詩 소영진 종점|박태일
詩 변강이라는 말|박태일
詩 길마다 나무들이 있는 게 참 다행이다|박형준
詩 귀|손택수
詩 돌탑|이도윤
散文-발굴 [봄.窓을 열고] 怨望|김용준
散文 코로나 덕분에 비엣남을 배운다:비엣남 일기③|전경수
書誌와 媒體
한국소설 100년과 서지학 만상 : <100편의 소설 100편의 마음-‘혈의 누’에서 ‘광장’까지>에 부쳐|임헌영
식민지시기 주요 신문 소재 “新刊 紹介” 현황 (1)|유석환
『차상찬 전집』(4~7권, 차상찬전집편찬위원회, 2022) 발간에 부쳐|이승은
해방 이후 의학 분야 잡지(2)|정용서
김춘수 시인의 앞 시기 시집들|김종태
『목마』 제2호, 3호 목차|김광식
|자료|『목마』(제2호 및 제3호) 소재 주요 일본어 작품의 번역
文學 書誌
김우철 문학의 실증적 접근|박태일
|자료|「김우철 작품 해적이」
‘불허가’로 미수록 된 방정환의 글 두 편을 찾다 : 『어린이』 1929년 5월호 ‘어린이독본’ 글과 「어린이날을 당하여」|염희경
윤복진 동요 동시 선집 『아름다운 우리나라』|류덕제
박세영의 동시 창작과 그 의미 : 『박세영 동시 선집』을 중심으로|이경수
북한 종군작가의 거제도 포로수용소 기록 : 전재경, 『별은 살아있다(거제도 수기)』 해제|김성수
나손(羅孫) 김동욱(金東旭) 선생의 삶과 학문세계|정하영
藝術ㆍ歷史 書誌
유성기 음반 소책자의 이모저모(3)|장유정
경기도시도등록문화재 일제강점기 금지창가집 『槿花唱歌』|최세은
서울교향악단 기관지 『필하아모니』 통권 7호의 해제|이경분
홍난파의 『특선가요곡집』(1936년) 해제|장유정
이도영, “이것이 웬 세상이야, 시원도 하다!” : 병탄 전야의 용사가 만세 후 다시 일어나다|최석태
표지화와 삽화로 보는 장욱진의 예술세계|신수경
김태형의 『흥부와 놀부』 만화로 본 해방기 만화 단행본 출판의 출발점|백정숙
장진광과 사진화보 『승리를 위하여』|홍성후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새로운 복제본의 등장|이정남ㆍ미즈타니 사야카(水谷淸佳)
論文
企劃論文나손(羅孫) 김동욱 선생 탄신 100주년 기념, 나손의 삶과 학문, 나손학의 조명
나손 김동욱 선생의 향가 및 고려속요 연구, 그 행보와 족적|김명준
나손(羅孫) 김동욱(金東旭)의 『국문학사』|김준형
나손 김동욱 선생의 기녀사 : ‘기녀/기생/창기’ 개념의 정의|신현규
나손 김동욱 선생의 춘향전 연구|전상욱
나손 김동욱 교수의 방각본 연구|이윤석
|부록|스킬랜드 교수가 김동욱 교수에게 보낸 경판본 관련 편지 및 파리, 레닌그라드, 런던에 있는 경판본 목록(1973년 1월 12일)
一般論文
김정일의 『영화예술론』과 북한영화|한상언
해방 후 임순득의 ‘여성해방 의식’과 북한의 ‘장르문학’ 창작 : 오체르크와 뿌블리찌스찌까에 대하여|이슬아
卷末資料
해방기1945-1950 간행 잡지 정리 ③ ‘미음’ 부분|오영식
|자료|‘미음’ 부분 잡지 목차
|자료|‘미음’ 부분 잡지 필자명 색인
나손 김동욱 선생 논저 목록|오영식
나손 선생 글 모음 : 신문 게재 칼럼을 중심으로|정리ㆍ입력: 오영식
卷末影印
신문관 잡지와 『새별』|오영식
『새별』 15-16호
근대서지학회 규정
『근대서지』 투고 규정
근대서지학회 논문 심사 규정
『근대서지』 연구 윤리 규정
편집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