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Philosophy of Arithmetic: Psychological and Logical Investigations with Supplementary Texts from 1887-1901

Philosophy of Arithmetic: Psychological and Logical Investigations with Supplementary Texts from 1887-1901 (Paperback, Softcover Repri)

에드문트 후설, 달라스 윌라드 (지은이)
Kluwer Academic Pub
748,1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613,440원 -18% 0원
30,680원
582,7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Philosophy of Arithmetic: Psychological and Logical Investigations with Supplementary Texts from 1887-190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Philosophy of Arithmetic: Psychological and Logical Investigations with Supplementary Texts from 1887-1901 (Paperback, Softcover Repri) 
· 분류 : 외국도서 > 인문/사회 > 철학 > 논리
· ISBN : 9781402016035
· 쪽수 : 515쪽
· 출판일 : 2003-09-30

목차

Foreword. First Part: The Authentic Concepts of Multiplicity, Unity and Whole Number. Introduction. I: The Origination of the Concept of Multiplicity through that of the Collective Combination.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the Whole Number Presupposes that of the Concept of Multiplicity. The Concrete Bases of the Abstraction Involved. Independence of the Abstraction from the Nature of the Contents Colligated. The Origination of the Concept of the Multiplicity through Reflexion on the Collective Mode of Combination. II: Critical Developments. The Collective Unification and the Unification of Partial Phenomena in the Total Field of Consciousness at a Given Moment. The Collective 'Together' and the Temporal 'Simultaneously'. Collection and Temporal Succession. The Collective Synthesis and the Spatial Synthesis. A: F.A. Lange's Theory. B: Baumann's Theory. Colligating, Enumerating and Distinguishing. Critical Supplement. III: The Psychological Nature of the Collective Combination. Review. The Collection as a Special Type of Combination. On the Theory of Relations. Psyc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the Collective Combination. IV: Analysis of the Concept of Number in Terms of its Origin and Content. Completion of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Multiplicity. The Concept `Something'. The Cardinal Numbers and the Generic Concept of Number.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s `Cardinal Number' and `Multiplicity'. One and Something. Critical Supplement. V: The Relations 'More' and 'Less'. The Psychological Origin of these Relations. Comparison of Arbitrary Multiplicities, as well as of Numbers, in Terms of More and Less. The Segregation of the Number Species Conditioned upon the Knowledge of More and Less. VI: The Definition of Number-Equality through the Concept of Reciprocal One-to-One Correlation. Leibniz's Definition of the General Concept of Equality. The Definition of Number-Equality. Concerning Definitions of Equality for Special Cases. Application to the Equality of Arbitrary Multiplicities. Comparison of Multiplicities of One Genus. Comparison of Multiplicities with Respect to their Number. The True Sense of the Equality Definition under Discussion. Reciprocal Correlation and Collective Combination. The Independence of Number-Equality from the Type of Linkage. VII: Definitions of Number in Terms of Equivalence. Structure of the Equivalence Theory. Illustrations. Critique. Frege's Attempt. Kerry's Attempt. Concluding Remark. VIII: Discussions Concerning Unity and Multiplicity. The Definition of Number as a Multiplicity of Units. One as an Abstract, Positive Partial Content. One as Mere Sign. One and Zero as Numbers. The Concept of the Unit and the Concept of the Number One. Further Distinctions Concerning One and Unit. Sameness and Distinctness of the Units. Further Misunderstandings. Equivocations of the Name 'Unit'. The Arbitrary Character of the Distinction between Unit and Multiplicity. The Multiplicity Regarded as One Multiplicity, as One Enumerated Unit, as One Whole. Herbartian Arguments. IX: The Sense of the Statement of Number. Contradictory Views. Refutation, and the Position Taken. Appendix to the First Part: The Nominalist Attempts of Helmholtz and Kronecker. Second Part: The Symbolic Number Concepts and the Logical Sources of Cardinal Arithmetic. X: Operations on Numbers and the Authentic Number Concepts. The Numbers in Arithmetic are Not Abstracta. The Fundamental Activities on Numbers. Addition. Partition. Arithmetic Does Not Operate with

저자소개

에드문트 후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옛 오스트리아제국의 작은 도시인 프로스니츠(현재 체코의 프로스테요프)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1883년, 빈대학에서 수학의 변이 이론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나, 프란츠 브렌타노를 사사하면서 철학으로 전향했다. 1887년에 교수 자격을 취득한 뒤 할레대학, 괴팅겐대학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1916년에 하인리히 리케르트의 후임으로 프라이부르크대학의 철학과 정교수로 취임했다. 유대인이었기에 말년에는 나치로부터 박해를 받았다. 초기 저작인 『산술 철학』(1891)에서는 수학적 대상을 심리적 작용으로 환원하는 심리학주의에 경도되었으나, 『논리 연구 1, 2』(1900, 1901)에서 심리학주의를 비판하면서 의식의 지향성에 대한 순수 기술적 방법인 현상학을 창시했다. 이후 후설은 의식에 대한 순수 기술로서의 현상학을 초월론적 환원에 기초한 초월론적 현상학으로 발전시켰는데, 이것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 『순수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의 이념들 1』(1913)이다. 이후 그는 현상학을 발생적 현상학으로 확장했는데, 『형식논리학과 초월론적 논리학』(1928)과 사후에 출간된 『경험과 판단』(1939) 등은 그 탐구의 빼어난 성과다. 또한 『데카르트적 성찰』(1931), 『유럽 학문의 위기와 초월론적 현상학』(1936) 등은 초월론적 현상학을 철저히 정초하려는, 필생에 걸친 노력의 마지막 결실이다. 생전에 출간한 이러한 저서들 외에도 후설은 총 4만 5000여 장에 달하는 방대한 연구 원고를 남겼는데, 이 연구 원고들은 아직도 후설 전집으로 출간 중이다. 후설은 현상학의 엄밀한 방법을 통해 학문의 토대를 철저히 정초함으로써 실증주의에의해 생겨난 현대 학문과 문화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평생 분투했다. 그가 개척한 현상학은 20세기 주요 철학 사조의 하나가 되었으며, 철학에서뿐만 아니라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 등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펼치기
달라스 윌라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신학자이자 인문학자인 그는 오랫동안 우리의 일상생활을 향한 하나님의 관여하심을 대변하는 감동의 목소리 역할을 해왔다. 이미 우리 시대의 기독교 고전이 된 『하나님의 모략』(The Divine Conspiracy)을 비롯해 『마음의 혁신』(Renovation of the Heart), 『잊혀진 제자도』(The Great Omission), 『그리스도를 아는 지식』(Knowing Christ Today), 『영성 훈련』(The Spirit of the Disciplines), 『하나님의 음성』(Hearing God), 『하나님의 모략, 이후』(The Divine Conspiracy Continued) 등 그의 저서들은 수많은 그리스도인들의 신앙 경험 방식을 영원히 바꿔 놓았다. 남캘리포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철학과 교수이자 UCLA와 콜로라도 대학교(University of Colorado)의 객원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또한 신학자이자 목회자로서 설교와 강연을 통해 오늘을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의 제자도와 영성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