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화학 > 물리화학
· ISBN : 9788901060279
· 쪽수 : 161쪽
· 출판일 : 2006-10-30
책 소개
목차
감수의 글
프롤로그
1 방사선, 누가 처음 발견했는가
베크렐의 우라늄광선
피에르와 마리 퀴리의 방사선
실험대에 선 방사선
인공방사선의 발견
2 방사선이란 무엇인가
고정관념을 깬 러더퍼드
원자핵의 진면목
핵의 안정성 추구
방사능붕괴법칙
3 고고학자가 사용하는 시계
우주에서 온 방사선
탄소연대측정법
탄소시계의 신뢰도
탄소시계의 시간 맞추기
탄소시계가 가리키는 시각
4 암석과 태양계의 나이
지구의 나이
지질학 방사능연대측정 기술
태양계의 로제타석, 운석
5 우주탐사의 에너지원
방사성동위원소 발전기
달에 청진기를 대다
소행성을 넘어
6 추적기인가 표지인가
추적기와 표지
해류 이동 감시
식물의 산소 이동
분자생물학의 시작
방사선 면역 용량 결정
7 핵의학적 진단과 치료
방사능과 유기체
감마선 진단법
양전자를 이용한 촬영법
암 치료
8 예술과 산업
예술품을 새것으로
복원과 위조 판별
가짜 보석 만들기
품질 관리와 검사
안전 관리와 화재 탐지기
에필로그
부록
자연방사능
방사능과 노벨상
활용도 높은 방사성핵종
연표
책속에서
퀴리 연구소에는 파스퇴르 연구소가 운영하는 파스퇴를 실험실이 개설되어 있는데, 이 생물학 실험실에서는 방사능을 의학에 응용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이 실험실의 초대 소장을 지낸 클로디우스 레고 박사는 1923년에 이미 다음과 같은 글을 발표했다.
“X선과 감마선은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들에 대해 두 가지 상반되는 작용을 한다. 극소량만을 사용할 경우 이로울 수 있으나 많은 양을 사용할 경우 생명력을 억제하거나 죽여버릴 수도 있다. (…)이처럼 라듐이 지니는 세포 생명력의 완급을 조정하거나 파괴할 수 있는 특성으로 말미암아, 의학 분야에서의 사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현안으로 부각되는 것이 바로 암 치료에 활용하는 방안이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