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기획/보고 > 기획
· ISBN : 9788901165189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14-06-09
책 소개
목차
01. 세상의 모든 기획자는 신입부터 시작했다
기획자란 무슨 일을 하는 사람인가?
취업할 수 있는 기획 직무 분야
히트상품 뒤에 숨은 기획자의 헌신
기획자, 데이터를 분석하라
발표는 기획자의 숙명이다
기획의 성공은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달려있다
고급 정보는 새로운 기획을 탄생시킨다
요령을 알아야 좋은 기획서를 만든다
좋은 텃밭에서 능력 있는 기획자가 나온다
좋은일 연구소의 편지 _ 얼음이 녹으면 어떻게 될까요?
02. 나는 기획자다: 분야별 기획자의 세계
회사를 이끄는 힘, 경영 기획자
활자에 생명을 불어넣는 출판 기획자
세상을 편리하게 만드는 사람들, 기술 기획자
인기 상품의 숨은 공신, 상품 기획자
15초의 감동을 전하는 광고 기획자
가상 세계를 설계하는 게임 기획자
디지털 세계를 누비는 그 이름, 웹 기획자
높은 자긍심과 뜨거운 열정으로 일하는 공연 기획자
오감(五感)을 충족시킬 정보를 만들어내는 콘텐츠 기획자
좋은일 연구소의 편지 _ 빛나는 청춘에게 책 읽기를 권함
03. 가장 빨리 기획자가 되는 법
기획직, 이런 인재를 원한다
뜬소문에 가려진 기획직 취업시장의 실체
기획자가 되기 위해 대학 졸업장이 필요할까?
기획자가 되기 위한 준비 운동: 자기소개서편
기획자가 되기 위한 준비 운동: 면접편
기획직 신입사원이 반드시 알아야 할 것들: 실무편
기획직 신입사원이 반드시 알아야 할 것들: 생활편
롱런하는 기획자가 되는 방법
기획자가 그리는 미래 설계도
좋은일 연구소의 편지 _ 기회의 신 카이로스를 잡을 준비가 됐나요?
저자소개
책속에서
오프라인 기획에는 경영(전략) 기획, 상품 기획, 광고 기획, 공연 기획, 출판 기획 등이 포함된다. 오프라인 기획 직무에서 일하는 실무자들은 프로젝트(M&A, 도서 발행, 공연 진행 등)를 진행하기 전에 해당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수익 창출은 물론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인지 등의 타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업무를 수행한다.
―‘취업할 수 있는 기획 직무 분야’ 중에서
경영 기획은 회사의 브레인으로 비유되곤 한다. 경영 기획팀은 회사가 추진해야 할 다양한 사업과 운영계획 등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리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경영/전략 기획 실무자들이 작성한 보고서 및 분석 자료를 토대로 기업의 단기적인 실적은 물론 장기적인 기업의 방향까지 좌우되므로 경영 기획 직군은 기업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중략) 경영 기획자에 대한 항간의 소문들이 있다. ‘고스펙을 선호한다’는 것과 ‘경영/경제 관련 전공만 채용한다’는 것, 그리고 ‘신입 채용이 거의 없다’는 것이 바로 그 소문이다. 우선, 스펙에 관한 소문부터 알아보자.
―‘회사를 이끄는 힘, 경영 기획자’ 중에서
상품 기획자는 좋은 상품을 기획하고 고를 수 있는 ‘제품에 대한 감각’이 필요하다. 하지만 아무리 감각이 뛰어나더라도 제품을 보는 시각은 개인의 취향이 반영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숫자에 대한 감각’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품 기획자는 전년도 상품 판매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어떤 제품 기획에 더욱 집중해야 할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고객들의 성별, 연령별, 소득별 소비성향을 분석해 봄으로써 주요 고객층이 누구인지 알아내고 그들을 공략할 수 있는 제품을 기획할 수 있게 된다.
―‘인기 상품의 숨은 공신, 상품 기획자’ 중에서
그렇다면 광고 기획자가 되기 위해 갖춰야 할 스펙은 무엇인지 살펴보자. 광고업계는 ‘경험’을 가장 값진 스펙으로 우대한다. 공모전 수상 경력, 동아리 활동, 여행, 아르바이트 경험 등이 모두 스펙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기업들은 “공모전 수상 경력만 믿고 자만심에 가득 찬 지원자”는 절대 사절이라고 말한다. 공모전 수상 경력이 뛰어난 이들은 자신만의 아집에 빠져 입사 후 배우려는 자세를 가지기는커녕 일을 그르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업계에서는 화려한 수상 경력을 갖춘 사람보다는 해당 경력이 화려하진 않더라도 광고 기획자가 되려는 ‘진지함’을 갖춘 인재를 선호하는 편이다. 일반적으로 광고 기획자는 광고홍보학과 또는 신문방송학과 출신이 많을 거라고 생각하지만 예상과 달리 AE에게 전공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15초의 감동을 전하는 광고 기획자’ 중에서
미래의 기획자를 꿈꾸는 이들이 가장 궁금한 점은 해당 직무에서 선호하는 인재상일 것이다. 원하는 인재상을 알아야 그에 맞는 준비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기업이 요구하는 인재상은 각 기업 홈페이지를 통해 쉽게 접할 수 있는 정보지만 ‘기획 직무’에 필요한 인재상을 찾기란 쉽지 않다. 잡코리아 좋은일 연구소는 이를 파악하기 위해 현업에 있는 기획자이자 신입 기획자를 뽑기 위해 면접관으로 참여한 경험이 있는 이들에게 ‘선호하는 인재 유형’에 대해 질문했다. 더불어 기획자로 일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역량도 함께 조사했다. 그 결과, 기획직 직장인들은 선호 인재상으로 ‘창조형 인재’를, 기획 업무에 가장 필요한 능력으로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꼽았다. 다음은 뽑고 싶은 기획직 신입사원 유형을 그래프를 통해 알아보겠다.
―‘기획직, 이런 인재를 원한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