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협상/설득/화술 > 화술
· ISBN : 9788901213057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16-07-0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 타고난 말솜씨가 없어도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고 싶은 사람들에게
1장. 사소한 말 한마디가 모든 것을 바꾼다
-인생을 바꾸는 사소한 말 한마디의 힘
-때로는 진심을 숨겨야 한다
-마음이 꼬이면 말도 꼬인다
-말을 할수록 다툼이 길어지는 이유
-차라리 입을 다물어라
2장. 듣고 싶지 않은 말, 하지 말아야 할 말
-관심과 무례는 한 끗 차이다
-적어도 평범한 말에 상처받는 사람은 없다
-나를 어필하고 싶다면 상대를 열 번 칭찬하라
-영혼 없는 대답이 진짜 위험한 이유
-비판을 위한 비판은 적을 만든다
-험담은 아예 시작도 하지 마라
-당신은 금방 잊어도 상대방은 절대 잊지 못하는 말
3장. 누구에게나 호감을 주는 유쾌한 대화의 기술
-기분이 상하지 않게 반대 의견을 이야기하는 법
-분명한 말은 오해를 남기지 않는다
-관계를 망치지 않고 잘 거절하는 법
-듣는 이가 충고로 받아들일 수 있어야 진짜 충고다
-흥미가 없어도 일단 긍정하라
-지나친 겸손은 독이다
-무책임한 격려는 안 하는 게 낫다
4장. 세상을 내 편으로 만드는 비즈니스 대화법
-상사가 좋아하는 업무 보고법
-짧게 이야기할수록 주목받는다
-잘 모르는 분야에 대해 이야기하는 법
-가장 적게 말하면서 회의를 주도하고 싶다면
-엉터리 높임말은 고객의 마음을 떠나게 한다
-영어를 많이 쓰면 똑똑해 보인다는 착각
-인터넷 세상에서 더욱 신중해야 하는 이유
5장.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말의 힘
-두고두고 후회하지 말고 지금 사과하라
-말에는 책임이 따른다
-사람의 마음을 얻는 기술: 칭찬
-화려한 백 마디보다 진솔한 한마디가 더 강력하다
-당신의 대화도 즐거워질 수 있다
리뷰
책속에서
어떤 사람을 평가하고 관계를 지속할지 결정하는 것은 아주 사소한 말에서 시작한다. 똑같은 일에도 “수고했어, 네 덕분에 일이 잘 풀렸다”라고 말하는 사람과 “내가 안 도와줬으면 어쩔 뻔했어?”라고 말하는 사람 중 어떤 사람과 더 일하고 싶은가? 실제로 도와준 부분이 많다고 할지라도 후자의 말을 들었다면 고맙다는 생각보다는 다음에 도움받는 일은 만들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드는 게 인지상정이다. _「인생을 바꾸는 사소한 말 한마디의 힘」 중에서
상대방에게 잘 보여야 한다는 불안이 필요 없는 말을 많이 하게 만든다. 즉 대화를 나누는 동안 상대방에게 호감을 사고 좋은 인상을 남기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다 보니 상대방에게 해도 되는 이야기인지, 어디까지 이야기해야 적절한지 등을 제대로 판단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래서 제일 잘 보이고 싶은 사람에게 말실수를 하거나 입이 가벼운 사람으로 보이는 패착을 저지르게 된다. _「차라리 입을 다물어라」 중에서
“그럴 리 없어.”, “그건 네가 잘 몰라서 하는 말이야.”, “경험이 부족해서 그런가 본데……” 이렇게 상대방의 말을 반대하고 부정하는 말은 누가 들어도 기분이 나쁘다. 듣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의견에 대한 반대가 아니라 나라는 사람에 대한 무시, 곧 ‘너는 틀렸다’라는 말로 들리기 때문이다. _「기분이 상하지 않게 반대 의견을 이야기하는 법」 중에서
무작정 보고를 하기 전에 머릿속에서 말할 내용을 미리 정리하고, 전체 내용 중 우선순위를 정해 그 순서에 따라 이야기를 해야 한다. 머릿속에서 정리가 잘 되지 않는다면 보고할 내용을 종이 한 장으로 정리하는 연습을 반복하는 것이 좋다. 문장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일련번호를 붙여 가면서 요점을 정리해 보라. 그 과정에서 우선순위가 조정될 수도 있고, 논리적으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도 있다. _「상사가 좋아하는 업무 보고법」 중에서
누군가를 칭찬하려 할 때 계산을 해서는 안 된다. ‘내가 이런 말을 하면 나를 잘 봐주겠지?’ 하는 마음으로 칭찬을 하면 자연스럽지도 않고 상대의 마음에도 닿을 수 없다. (…) 현재 그 사람의 관심사나 주 업무에 대해, 그리고 구체적으로 칭찬하면 효과는 더 커진다. 그만큼 상대방에게 관심이 있어야 할 수 있는 칭찬이니 상대도 그 진심을 느끼고 마음을 연다.
_「사람의 마음을 얻는 기술: 칭찬」 중에서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은 화려한 말이 아니다. 단 한마디를 하더라도 그 속에 진심이 느껴지면 사람의 마음은 그쪽으로 기울 수밖에 없다. 즉 우리가 진정으로 고민할 것은 ‘어떻게 해야 말을 잘할까’가 아니라 ‘어떻게 해야 진심을 담아 말할 수 있을까’이다. _「화려한 백 마디보다 진솔한 한마디가 더 강력하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