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01239866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0-02-2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_ 상대의 마음을 장악하는 최고의 관계 전략, 유혹
PART 1. 관계를 주도하는 9가지 유형
TYPE 1. 세이렌 _ 원초적인 욕망의 지배자
TYPE 2. 레이크 _ 억눌린 욕구를 해방시키는 정열가
TYPE 3. 아이디얼 러버 _ 마음속 이상을 실현시켜주는 구원자
TYPE 4. 댄디 _ 추종자를 불러 모으는 중성의 마력
TYPE 5. 내추럴 _ 향수를 자극하는 천진한 어린아이
TYPE 6. 코케트 _ 무심함이라는 차가운 무기
TYPE 7. 차머 _ 기쁨과 편안함을 주는 무한한 긍정성
TYPE 8. 카리스마 _ 본능적으로 타고난 강렬한 호소력
TYPE 9. 스타 _ 대중의 동경을 읽는 눈
FILE 1. 관계를 주도할 수 없는 사람들
FILE 2. 관계의 희생자가 되기 쉬운 사람들
PART 2. 관계를 주도하는 24가지 전략
CHAPTER 1. 상대의 숨은 욕망을 겨냥하라
STRATEGY 1. 목표 선정 _ 자신에게 없는 것을 가진 사람을 선택한다
STRATEGY 2. 거리 두기 _ 전진을 위한 일보 후퇴
STRATEGY 3. 태도 연출 _ 상반된 태도로 진의를 숨긴다
STRATEGY 4. 경쟁 유발 _ 경쟁심을 자극하여 대비 효과를 극대화한다
STRATEGY 5. 자극 _ 내면의 공허와 불안을 자극하라
STRATEGY 6. 암시 _ 미묘한 암시로 상대의 무의식을 파고들어라
STRATEGY 7. 거울 _ 상대의 부서진 꿈을 비추는 거울이 되어라
STRATEGY 8. 집중 _ 억눌린 욕망을 찾아내 미끼를 던져라
CHAPTER 2. 혼란과 고립 속으로 몰아넣어라
STRATEGY 9. 태도 _ 예측 불가의 행동으로 호기심을 끌어낸다
STRATEGY 10. 언어 _ 환상을 자극하는 최면술사의 언어를 사용하라
STRATEGY 11. 표현 _ 사소한 표현들을 쌓아 감동적인 장관을 연출하라
STRATEGY 12. 이상화 _ 자신을 이상화시킬 시간적 여유를 둔다
STRATEGY 13. 무장해제 _ 대중은 희생자의 편에 서게 되어 있다
STRATEGY 14. 환상 _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에 놓인 백일몽을 보여주어라
STRATEGY 15. 고립 _ 세상에 단 둘뿐인 것처럼 상대방을 고립시켜라
CHAPTER 3. 빠져나갈 틈을 주지 마라
STRATEGY 16. 기사도 _ 진심을 입증하여 의심을 지워라
STRATEGY 17. 의존 _ 무조건적인 애정으로 유아기적 심리를 건드린다
STRATEGY 18. 유대감 _ 함께 금기를 넘어 죄책감을 공유하라
STRATEGY 19. 승화 _ 고결한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는 만족감을 주어라
STRATEGY 20. 공포 조장 _ 공포와 불안을 적절히 제공하라
CHAPTER 4. 최후의 일격을 던져라
STRATEGY 21. 역전 _ 유혹하되 유혹당하는 것처럼 행동하라
STRATEGY 22. 미끼 _ 단 하나의 감각에 집중시켜라
STRATEGY 23. 기습 _ 기회가 다가오면 과감하게 돌진하라
STRATEGY 24. 정리 _ 이별의 순간 두 번째 유혹을 준비하라
FILE 3. 관계 전략을 실행하기 좋은 상황
FILE 4. 대중을 사로잡는 법
리뷰
책속에서
레이크는 사회가 금기로 여기는 극단적인 행동을 한다. 그 때문에 그는 종종 위험하고 잔인한 존재로 인식된다. 바이런은 인습에 얽매이기를 싫어했다. 그는 이복동생과 사랑에 빠져 아이를 낳고, 그 사실을 온 잉글랜드 사람들에게 알렸다. 그는 자기 아내를 비롯해 누구에게나 잔인했지만, 그럴수록 여성들은 그를 사모했다. 교양 있고 얌전한 여성상을 요구하는 문화 속에 살던 여성들은 사회적인 금기를 깨고 위험한 행동을 일삼던 그의 모습을 보며 그들의 마음에 억압되어 있던 욕망을 풀어놓았다.
워홀은 어렸을 때부터 모순된 감정들 때문에 괴로워했다. 그는 명성을 원했지만, 소극적이고 수줍은 성격을 타고났다. 처음에 워홀은 다른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효과가 없었다. 10년 동안의 노력이 아무 소용이 없자 그는 본래의 소극적인 모습으로 돌아갔다. 그랬더니 놀랍게도 사람들이 주목하기 시작했다. 워홀은 그와 같은 경험에서 얻은 교훈을 1960년대 초부터 자신의 작품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그는 수프 깡통이나 속도위반 딱지처럼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품들을 그렸다. 그의 그림에는 이렇다 할 의미가 담겨 있지 않았으므로 감상자들은 전혀 강요받는 느낌 없이 그림을 감상할 수 있었다. 사람들은 각자 나름대로 그림에 담긴 의미를 생각하면서 호기심을 가졌다. 즉각적인 표현, 시각적인 효과, 차분하고 냉담한 분위기 등은 그의 그림이 가진 특징이었다. 워홀은 그림뿐만 아니라 그런 식으로 자기 자신도 바꿔나가기 시작했다. 그는 더 이상 자신을 주장하려 하지 않았다.
정치 지도자들은 대개 코케트의 전술을 사용해 대중을 사로잡는다. 이들은 대중을 잔뜩 흥분시킨 다음, 갑자기 대중과 거리를 유지한다. 독일의 정치학자인 로베르트 미헬스(Robert Michels)는 그런 정치가들을 가리켜 차가운 코케트라고 불렀다. 나폴레옹은 프랑스를 상대로 ‘코케트 전술’을 구사했다. 이탈리아 원정을 성공적으로 마친 뒤 그는 일약 국가적 영웅으로 부상했다. 하지만 그는 곧 프랑스를 떠나 이집트 원정길에 나섰다. 자기가 없으면 정부가 사분오열될 테고, 그렇게 되면 국민들이 자신이 되돌아오기를 애타게 갈망할 것이라는 속셈에서였다. 그는 그런 식으로 자신의 권력을 키워나갔다. 마오쩌둥도 선동적인 연설로 대중의 감정을 자극한 뒤 며칠 동안 갑자기 모습을 감춤으로써 자신을 우상화시켰다. 이런 정치인들은 모두 확실한 나르시시스트였다. 질투와 애정과 격렬한 감정을 자극하는 ‘코케트 전술’은 특히 집단을 상대로 할 때 효과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