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힐링 > 마음 다스리기
· ISBN : 9788901250984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21-05-15
책 소개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람은 좋거나 싫거나 남의 말을 하며 살아가게 된다. 상대가 없는 데서 주고받은 말이라도 대개는 그 사람에게 되돌아가는 법이다. 덕담을 하면 약이 되지만, 헐뜯고 깎아내리는 악담은 독이 되어 내게로 돌아온다. 사람의 짧은 세 치 혀는 비수가 되고 독화살이 되기도 하지만, 잘 쓰면 세상을 이롭게 한다. 남에게 덕담하는 것이 곧 나에게 덕담하는 것이다.
“침 뱉은 우물 다시 먹는다.”라는 말이 있다. 다시는 안 볼 듯 침 뱉고 돌아서지만, 나중에 다시 먹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는 말이다. 또 “발 없는 말이 천리를 간다.”라고 한다. 말은 상처를 치료하는 영약(靈藥)이 되기도 하고 사랑을 일구는 묘약(妙藥)이 되기도 한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남의 좋은 점을 말하기보다는 나쁜 점, 잘못된 점을 화제로 삼곤 한다. 무심코 뱉은 말, 악의 없이 한 말일지라도 당사자에게는 돌이킬 수 없는 상처가 될 수 있다.
-001 ‘덕담하기’
흐린 안경이나 흐린 유리창으로는 사물을 확실히 보지 못한다. 사물을 바라보는 것은 눈이지만 눈으로만 세상을 보는 게 아니다. 생각이 흐리면 눈이 밝아도 세상이 어두워 보인다. 세상을 똑바로 제대로 보려면 생각의 창을 닦아야 한다. 농부가 밭을 갈 듯이 생각의 밭을 갈아야 한다. 밤낮없이 생각을 갈고 닦아야 새 곡식과 새 과일을 거둘 수 있다. 생각의 창을 닦으면 세상이 보이고 미래가 보인다. 막힌 길이 뚫리고 절망이 희망으로 변한다. 서정주 시인은 생전에 팔순이 넘도록 아침마다 세계의 산 이름을 1,600여 개나 외웠다. 고도의 정신 운동으로 시를 쓰시는 분이 머리가 녹슬지 않도록 산 이름을 외운 것이다. 우물물은 적당히 길어 주어야 맑은 물이 나온다. 우리의 생각도 쓰지 않으면 녹슬어 버린다. 매일 아침 세수를 하고 이를 닦듯이 생각의 거울도 갈고 닦아야 한다. 무딘 생각의 쟁기로는 가을의 풍년을 기대할 수 없고, 청명한 하늘이 보일 리도 없다.
- 22 ‘생각의 창을 닦아라’
산다는 것, 그냥 이대로 좋은 것. 겨울 가고 봄 오는 것. 꽃 피고 꽃 지는 그냥 이대로. 바람 불고 비 오는 것, 그냥 이대로. 만나고 헤어지는 것 그냥 이대로.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 아니 저 밖의 우주는 거대한 질서를 가지고 있다. 인간은 그 질서 속에서 잠시 머물다 갈 뿐이다. 계절이 돌아가고, 해와 달이 바뀌어 뜨고, 강물은 바다로 흘러갔다가 다시 돌아온다. 그렇다면 인간은 이 우주의 섭리, 신의 섭리 앞에서 무엇을 할 수 있다는 것인가. ‘그냥 이대로 좋은 것’은 신에 대한 순응이며, 자연에 대한 순응이며, 시간에 대한 순응이며, 나에 대한 순응이다. 그게 바로 가장 큰 삶의 지혜임을 나는 늦게 알았다.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면, 세상은 끊임없이 변해 간다는 진실일 것이다. 대자연은 어느 한 순간도 멈춰 서는 일이 없다. 인간은 대자연 앞에서 하나의 미세한 존재에 불과하지만, 그 미세한 존재가 대자연을 알아차리고 우주의 섭리를 사유한다는 점에서 하나님의 자녀로 승격하게 된다. 당신이 잠자는 동안 누가 숨을 쉬게 하는가? 당신 스스로 의식하지 않는 동안에도 누가 당신의 심장을 박동하게 하는가?
- 60 ‘그냥 이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