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88901251523
· 쪽수 : 460쪽
· 출판일 : 2021-07-15
책 소개
목차
알아두면 좋은 알쏭달쏭 선거 용어 사전
1948-1960 대한민국 처음 선거하던 날
1 우리가 처음 선거하던 날
2 '우리 힘'으로 치른 최초의 국회의원 선거
3 대한민국 국민, 처음으로 대통령을 직접 뽑다
4 비극의 시작점이 된 선거
5 못 살겠다, 갈아보자!
6 올빼미 개표, 닭죽 개표를 아시나요
7 3·15 부정선거와 이승만 정권의 몰락
[선거 이모저모+] 대한민국 선거 기네스북
1961-1979 권력자의 도구로 전락한 선거들
8 최초의 양원제 국회를 구성하다
9 5·16 군사 정변과 박정희의 등장
10 최초로 비례대표제를 도입한 국회의원 선거
11 한·일 청구권 협정과 역사상 가장 재미없는 대선
12 더 이상 타락할 순 없다
13 '마지막 선거'를 약속한 박정희, 그러나
14 유신 체제 이전 마지막 국회의원 선거
15 '체육관 대통령'의 탄생
16 나눠 먹기식 중선거구제의 도입
17 닭 모가지를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
[선거 이모저모+]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아십니까] 대나무부터 최첨단 잉크까지, 기표용구 변천사
1980-1987 꺼져가는 민주주의의 불씨를 되살린 선거들
18 어두운 시대의 선거들
19 87년 민주화의 싹을 틔운 선거
20 마침내 부활한 대통령 직선제
[선거 이모저모+]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려면 돈이 얼마나 필요할까
1988-1997 정치 거물들이 주도한 선거들
21 대한민국 정치 흐름을 바꾼 3당 합당
22 정주영의 실험, '재벌당'과 연예인 국회의원
23 김영삼 vs 김대중, 마지막 승부를 펼치다
[선거 이모저모+] 출구 조사, 그것이 알고 싶다
24 처음 실시된 전국 동시 지방선거
25 김대중의 정계 복귀와 '3김 정치'의 고착화
26 국가 부도 사태 속에서 치른 대통령 선거
[선거 이모저모+] 선거일, 어떻게 정하는 거야?
[아십니까] 한자와 세로쓰기의 추억, 투표용지 변천사
1998-2007 새로운 시대를 열어젖힌 선거들
27 밀레니엄 시대에도 살아남은 지역감정
28 제16대 총선을 뒤흔든 '낙선 운동'
29 월드컵과 함께 치른 전국 동시 지방선거
[선거 이모저모+] 진짜로 일어날지도 몰라, 한 표의 기적!
30 역사상 가장 극적인 대통령 선거, 새 시대를 열다
31 사상 초유의 대통령 탄핵 사태, 그리고 총선
32 노무현 정권, 지방선거에서도 참패하다
33 네거티브 전략, 선거판을 집어삼키다
[선거 이모저모+] 대체 선거구가 뭐길래?
2008-2016 대립의 시대를 지나온 선거들
34 무관심과 냉소주의, 사상 최저 투표율로 나타나다
35 어서 와, 1인 8표 선거는 처음이지?
36 제18대 대선의 대진표를 미리 작성하다
37 역사는 반복되는가
38 세월호의 아픔 속에서 치러진 선거
39 국정농단 폭풍 전야의 마지막 선거
[선거 이모저모+] 선거의 역사를 가른 투표지 분류기
2017-2020 'K-선거', 세계의 표본이 되다
40 촛불과 광장의 민심, 오롯이 담기다
41 지방 없는 지방선거
42 코로나 팬데믹을 넘어선 K-선거
[선거 이모저모+] 선거가 끝나면 출몰하는 음모론
[아십니까] 철통 보안을 향해, 투표함 변천사
참고 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의 목적은 지난 선거를 통해 우리의 운명을 좌우한 한국 정치사의 결정적 순간을 되돌아보는 것입니다. 우리가 제대로 읽기만 한다면 과거는 단지 ‘죽은 역사’로 머무르지 않을 것이고, 끊임없이 말을 거는 ‘살아 있는 역사’로 다가옵니다. 마찬가지로 지나간 선거를 꼼꼼히 들여다보면, 놀랍게도 대한민국 현대사의 주요 정치적 격변은 직전에 치러진 선거에 예고되어 있었습니다.
1945년 해방부터 2017년 헌정 사상 최초의 대통령 탄핵에 이르기까지, 우리 정치사는 그 어떤 드라마보다 더 극적이고 역동적이었습니다. 그 결정적인 순간에 늘 선거가 함께했습니다. 1948년 5월 제헌의회 선거에서 2020년 4월 제21대 총선에 이르기까지 70여 년 동안 우리는 열아홉 번의 대통령 선거, 스물한 번의 국회의원 선거, 일곱 번의 전국 동시 지방선거를 치렀습니다. 보통 4년이나 5년 주기로 선거가 치러지고 그 사이사이 국민투표나 재·보궐선거가 이루어졌던 점을 생각하면, 거의 매년 선거를 치른 셈입니다.
- ‘들어가는 말’ 중에서
이번 선거의 가장 큰 특징은 엄청난 부정선거였다는 사실입니다. 제4대 총선은 곧 있을 1960년 3·15 부정선거의 예행연습과 다를 바 없었습니다. 공무원과 경찰이 대거 동원되어 노골적으로 선거에 개입했으며 야당 참관인들이 각지에서 구타당했습니다. 또 ‘3인조·9인조 투표’ 등 집단 투표도 난무했습니다. 이것은 보통 경찰관, 공무원, 또는 자유당 당원인 조장의 인솔 아래 9인이 떼를 지어 몰려와 3인이 1개 조로 함께 투표하는 사실상의 공개 투표 방식입니다.
이렇게 조를 짜서 오지 않고 개별적으로 온 선거인에게는 투표용지를 주지 않거나, 이에 항의하는 야당 참관인을 투표소에서 몰아내기 위해 술을 먹고 와서 시비를 걸고 싸우기도 했습니다. 심지어 야당 참관인에게 직계가족이 사망했다는 전보가 오도록 조작해 참관인이 급히 귀가하는 일도 있었지요.
- ‘올빼미 개표, 닭죽 개표를 아시나요?’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