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04101153
· 쪽수 : 479쪽
· 출판일 : 2011-11-14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서언
1장. 한국 선교의 역사적 개관 | 박용규
2장. 사무엘: 책무와 청렴함에 관한 구약의 모델 | 크리스토퍼 라이트
3장. 바울, 신약의 모델: 예루살렘의 가난한 자들을 위한 헌금 관리 | 크리스토퍼 라이트
4장. 큰 그림: 한인 선교학자의 관점에서 본 책무 문제 | 박기호
5장. 박기호의“큰 그림”에 대한 논평 | 제프리 W.한
6장. 선교와 선교사, 그리고 교회의 책무에서 중요한 것: 청렴함과 전략, 그리고 역동적 연속성과의 관계 | 스탠리 W. 그린
7장. 스탠리 W. 그린의 “선교와 선교사, 그리고 교회의 책무에서 중요한 것”에 대한 논평 | 성남용
8장. 지역 교회의 선교 사역과 책무: 사랑의교회 사례 연구 | 유승관
9장. 유승관의 “지역 교회의 선교 사역과 책무”에 대한 논평 | 셔우드 링겐펠터
10장. 선교에 있어서 책무: 블랙락회중교회 사례 연구 | 래리 풀러톤
11장. 래리 풀러톤의 “선교에 있어서 책무”에 관한 논평 | 이원상
12장. 한국 선교 단체들 사이의 책무 이슈들 | 이반석
13장. 이반석의 “한국 선교 단체들 사이의 책무 이슈들”에 대한 논평 | 마빈 J. 뉴웰
14장. 깨어진 신뢰: 선교 공동체 안에 나타난 성폭력으로 본 선교적 책무 사례 | 헌터 패렐
15장. 헌터 패렐의 “깨어진 신뢰”에 대한 논평 | 조용중
16장. 선교 책무: 고신 세계선교부의 사례 | 이신철
17장. 이신철의 “선교 책무”에 대한 논평 | 딕 맥클레인
18장. 선교에 있어서 행정적 책무: 미국의 사례 연구 | 제리 A. 랜킨
19장. 제리 A. 랜킨의 “선교에 있어서 행정적 책무”에 대한 논평 | 이영춘, 이성희
20장. 전략적 책무: 하나님의 선교, 하나님의 방법으로 | 정민영
21장. 정민영의 “전략적 책무”에 대한 논평 | 존 맥닐
22장. 선교 협력에서의 책무: 위클리프 글로벌 얼라이언스의 사례 연구 | 커크 프랭클린
23장. 커크 프랭클린의 “선교 협력에서의 책무”에 대한 논평 | 이현모
24장. 선교 책무에 관한 의미론적 통찰들 | A. 스캇 머로우
25장. 한국 글로벌 선교 지도자 포럼의 하이라이트 | 문상철
참고문헌
부록
기고자
색인
책속에서
한국 선교 개시 불과 사반세기 만인 1910년 에딘버러 선교대회 때 한국은 세계가 주목하는 선교지로 발돋움했다. 1884년 9월 20일 호러스 알렌(Horace N. Allen)의 입국으로 시작된 한국 선교가 그토록 짧은 기간 동안 놀라운 성장을 이룩한 것이다.
1885년 4월 5일 한국 북장로교선교회와 미국 감리교선교회를 대변하는 호러스 언더우드(Horace G. Underwood)와 아펜젤러(H. G. Appenzeller)가 입국한 후 한국 선교는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1889년 헨리 데이비스(Henry Davis)와 그의 여동생 메리 데이비스(Mary Davis)의 입국으로 호주 빅토리아선교회가, 1892년 레이놀즈(William D. Reynolds), 존슨(Cameron Johnson), 테이트(L. B. Tate), 전킨(W. M. Junkin)의 입국으로 남장로교선교회가, 1886년 리드(Clarence F. Reid)의 입국으로 남감리교선교회가, 그리고 1898년 캐나다 장로교선교회가 차례로 한국 선교를 개시했다. 1884년 알렌의 입국 이후 불과 14년 만에 한국 개신교 선교를 주도한 4개의 장로교선교회와 2개의 감리교선교회가 한국 선교를 착수한 셈이다. 그 사이에 1889년 동아기독교(침례교)와 1890년 영국 성공회가 한국 선교를 시작했으며, 1907년 성결교의 전신 동양선교회가, 그리고 1908년 구세군이 한국 선교를 개시, 알렌이 입국한 지 불과 24년 만에 다양한 선교회가 한국 선교를 착수했다. 그중에서도 4개 선교회와 2개 선교회를 파송한 장감이 한국 선교를 주도했다.
한국에 파송된 선교사들은 한편으로 본국 교단의 해외선교부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초교파적 영향을 미쳤던 이들 북미 지도자들과 교류를 통해 해외선교운동을 진작하는 일에 협력을 아끼지 않았다. 그 결과 머지않아 한국은 세계가 주목하는 선교지로 발돋움했다. 한국에 파송된 선교사들의 구령의 열정, 선교 정책과 선교 사역, 신앙과 삶은 한국 교회가 선교하는 교회로서 자리를 잡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감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