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마음, 두 개의 문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별기

한마음, 두 개의 문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별기

김제란 (지은이)
삼성출판사
7,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65개 25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마음, 두 개의 문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별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마음, 두 개의 문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별기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철학
· ISBN : 9788915052734
· 쪽수 : 112쪽
· 출판일 : 2007-12-01

목차

- 책을 펴 내며
- 머리글

첫째 이야기 : 붓다와 그가 말한 진리
1. 불교 사상이 나타난 배경
2. 붓다가 말한 세 가지 진리
3.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다

둘째 이야기 : 동아시아 불교와 원효의 사상
1. 동아시아 불교의 특징
2. 원효와 그의 사상

셋째 이야기 : <<대승기신론 소·별기>>속으로
1. 한 마음에 두 개의 문이 있다
2. 통합의 방법론 : 세 가지 깨달음
3. 통합의 실천과 그 의미

- 마무리글
- 연보

저자소개

김제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高麗大學校 철학과 박사 泰東古典硏究所 한문연수과정 수료 高麗大學校 철학연구소 연구교수 역임 東國大學校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역임 高麗大學校 철학과 강의교수(현) 論著 및 譯書 論文 <熊十力 哲學思想 硏究>(박사학위 논문), <한․중․일 근대불교의 사회진화론에 대한 대응양식 비교>, <송대유학에 미친 불교의 영향>, <당군의 철학에 나타난 동 서융합의 논리- 유학, 헤겔철학과 화엄불교의 융합> 등 著書 ≪한마음, 두 개의 문,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별기≫, ≪쉽게 읽히는 동양철학 이야기≫ 譯書 ≪신유식론(新唯識論)≫(上․下), ≪심체와 성체≫(공역)
펼치기

책속에서

불교에서 ‘참 그대로’라는 뜻의 진여(眞如)나 ‘부처의 성품’이라는 뜻의 불성(佛性)이라고도 부르는 ‘한마음’은 철학의 ‘본체’ 또는 ‘실체’라는 개념에 해당해. 그런데 본체 또는 실체가 뭘까?
영화 한 편을 예로 들어 볼게. <빨간 모자의 비밀>이라는 영화가 있어. 그 영화 장면 가운데에 할머니가 스키를 타고 높은 산에서 신나게 내려오는 장면이 있단다. 그런데 과연 누가 이 할머니로 하여금 스키를 타고 내려오게 만든 걸까? 할머니가 스키를 타고 싶어서 스스로 그런 걸까, 아니면 다른 무엇이 할머니를 그렇게 만든 것일까? 관객들은 할머니가 진짜로 스키를 타고 내려오는 것처럼 느껴져서 마음을 졸이며 화면을 보지만, 그것은 실제 세계가 아니라 영화 속 세계일 뿐이야. 할머니로 하여금 스키를 타게 한 것은 사실 영화를 만든 감독이나 영화 대본이라고 할 수 있지. 감독이 영화의 어떤 부분에 스키 타는 장면을 넣어야겠다고 생각하거나 영화 대본에 스키 타는 장면이 들어 있으면, 거기에 따라 스키 타는 장면이 들어 있는 영화가 만들어지는 거야. 따라서 감독이나 대본이야말로 영화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지. 철학에서는 그러한 근본을 본체 또는 실체라고 부른단다.
서양에서는 이 세상의 뒤에서 명령하는 영화 감독과 같은 존재를 ‘신(神, God)’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이 세계를 그렇게 움직이게 만드는 영화 대본과 같은 것을 사상이나 개념이라는 뜻인 ‘이데아(Idea)’라고 부른단다. 서양 철학은 대부분 이 신과 이데아를 찾으려는 시도였다고 보면 돼. 이에 반해 원효는 마치 영화 감독처럼 이 세상이라는 영화를 만들어 내는 것이 바로 우리 마음이라고 보았어. 그것은 개개인의 마음이 아니라 이 세계에 둘도 없는 절대적인 마음이기 때문에 ‘한마음’이라고 부르는데, 그렇다고 해서 한마음과 우리 개인의 마음이 다른 것은 아니야. 우리의 마음이 깨끗할 때는 한마음과 하나가 될 수 있는 거지.
(본문 83~85쪽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