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역주 관자 3

역주 관자 3

이석명, 김제란 (옮긴이)
전통문화연구회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000원 -0% 0원
960원
31,0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역주 관자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역주 관자 3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57945535
· 쪽수 : 306쪽
· 출판일 : 2022-12-30

책 소개

관중의 이름은 이오(夷吾)이고, 자는 중(仲)이며, 시호는 경(敬)이다. 그의 생애는 ≪춘추좌씨전≫, ≪국어≫, ≪사기≫의 <제태공세가(齊太公世家)> <관안열전(管晏列傳)> 및 ≪관자≫의 <대광(大匡)>, <중광(中匡)>, <소광(小匡)> 등에 실린 자료들을 통해 고찰할 수 있다.

목차

東洋古典譯註叢書를 발간하면서
凡 例

管子 10卷
제30편 군신 상 君臣 上 단어4 短語 四 / 11

管子 11卷
제31편 군신 하 君臣 下 단어5 短語 五 / 38
제32편 군주의 허물을 자잘하게 드러냄 小稱 단어6 短語 六 / 67
제33편 옳고 그른 행위의 네 가지 사례를 드러냄 四稱 단어7 短語 七 / 81
제34편 정언 正言 (결락) 단어8 短語 八 / 91

管子 12卷
제35편 소비를 장려함 侈靡 단어9 短語 九 / 92

管子 13卷
제36편 마음 운용법 상 心術 上 단어10 短語 十 / 178
제37편 마음 운용법 하 心術 下 단어11 短語 十一 / 197
제38편 마음을 깨끗이 함 白心 단어12 短語 十二 / 209

管子 14卷
제39편 물과 땅의 이치 水地 단어13 短語 十三 / 233
제40편 사계절 四時 단어14 短語 十四 / 247
제41편 오행 五行 단어15 短語 十五 / 266

管子 15卷
제42편 형세 勢 단어16 短語 十六 / 284


[附 錄]
1. ≪管子3≫ 參考書目 / 297
2. ≪管子3≫ 參考圖版 目錄 / 301
3. 春秋列國圖(QR) / 302
4. ≪管子≫ 總目次(QR) / 302
5. ≪管子≫ 解題(QR) / 302

저자소개

김제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高麗大學校 철학과 박사 泰東古典硏究所 한문연수과정 수료 高麗大學校 철학연구소 연구교수 역임 東國大學校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역임 高麗大學校 철학과 강의교수(현) 論著 및 譯書 論文 <熊十力 哲學思想 硏究>(박사학위 논문), <한․중․일 근대불교의 사회진화론에 대한 대응양식 비교>, <송대유학에 미친 불교의 영향>, <당군의 철학에 나타난 동 서융합의 논리- 유학, 헤겔철학과 화엄불교의 융합> 등 著書 ≪한마음, 두 개의 문,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별기≫, ≪쉽게 읽히는 동양철학 이야기≫ 譯書 ≪신유식론(新唯識論)≫(上․下), ≪심체와 성체≫(공역)
펼치기
이석명 (옮긴이)    정보 더보기
高麗大學校 철학과 박사 泰東古典硏究所 한문연수과정 수료 中國 北京大學校 박사후과정 수료 全北大學校 HK교수 역임 江原大學校 철학과 초빙교수(현) 論著 및 譯書 論文 <淮南子의 無爲論 硏究>(박사학위논문), <吳澄의 ≪道德眞經注≫에 나타난 ‘以儒解老’의 해석경향과 그 철학적 특징>, <蘇轍의 ≪老子解≫에 나타난 ‘以儒解老’의 해석과 그 정치철학적 의미>, <王安石의 ≪老子注≫ 및 論老子 에 나타난 ‘以儒解老’의 해석경향과 그 정치철학적 의미에 관한 연구>, <杜光庭의 “心寂忘境”의 수양론>, <解老․喩老>의 황로학적 성격과 그 사상사적 의미>, <≪抱朴子外篇≫에 나타난 葛洪의 사회정치사상> 등 著書 ≪노자와 황로학≫, ≪회남자-한대지식의 집대성≫, ≪노자, 비움과 낮춤의 철학≫, ≪장자, 나를 깨우다≫ 등 譯書 ≪文子≫, ≪노자도덕경사상공장구≫, ≪회남자≫, ≪노자≫ 등
펼치기

책속에서

군주는 백성들의 표준이 되어야 한다
군주는 군주의 道를 닦을 뿐 관리들의 구체적인 일들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고, 신하는 자신이 맡은 관직의 일을 자세히 살필 뿐 직책 외의 일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는다. 군주의 도가 분명하지 않으면 명령을 받는 자들이 의심하게 되고, 표준이 일정하지 않으면 義를 위해 죽는 자가 의혹하게 된다. 백성에게 의혹하고 의심하며 주저하는 마음이 있는데 군주가 바로잡을 수 없다면 백성과 군주 사이에 막힘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마치 푯대를 세워 널리 공지하고서, 그것을 중지하라고 명령하는 것과 같다.
- 제30편 <군신 상 君臣 上> 중에서 -


소비를 장려하는 것이 백성들을 잘 살게 하는 법이다
음식은 백성들이 바라는 것이요 사치스러운 음악은 백성들이 원하는 것입니다. 그 바라는 것을 충족시켜주고 그 원하는 것을 넉넉히 해주면 백성들을 부릴 수 있습니다. 지금 짐승 가죽을 입고 짐승 뿔을 머리에 쓰게 하고, 야생풀을 먹고 들판의 물을 마시게 한다면, 그 누가 백성들을 부릴 수 있겠습니까. 마음이 상한 자는 공을 이루게 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지극히 맛있는 음식을 먹게 하고, 지극히 즐거운 음악을 실컷 듣게 하고, 새알에 무늬를 새긴 이후에 삶아 먹게 하고, 땔감에 조각을 한 이후에 불을 때도록 합니다. 丹沙가 나는 광산의 동굴을 막지 않으면 상인들이 한곳에 머물지 않을 것입니다. 부자들이 사치스럽게 소비를 하면 가난한 사람들은 그 덕에 일하게 됩니다. 저 백성들이 편안히 살아가는 것은 여러 사람이 도와주어서 먹고 사는 것이지. 백성들 스스로의 힘으로 살아가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백성들을 위해 <사치스러운> 재화를 축적해야 합니다.
- 제35편 <소비를 장려함 侈靡>중에서 -


사사로움은 천하를 어지럽힌다
채우는 것이 아름답지 않으면 마음이 만족하지 못하고, 행위가 바르지 않으면 백성이 복종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성인은 하늘처럼 행하여 사사로이 덮지 않고, 땅처럼 행하여 사사로이 싣지 않는다. 사사로움은 천하를 어지럽히는 것이다.
- 제36편 <마음 운용법 心術> 중에서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