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88919205938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2-01-10
책 소개
목차
편집자의 말…………………………………………………………………………4
프롤로그 ………………………………………………………………………… 12
제 1 장 새롭게 출현할 가능성이 있는 동물계의 바이러스
신종 바이러스성 감염증은 예상치 못한 곳에서 시작된다…………………… 19
백혈병 원인 바이러스를 발견한 일본인………………………………………… 23
새로운 바이러스 출현에 대비하는 예측 바이러스학 ………………………… 26
코로나19보다 더 무서운 바이러스가 나타난다 ……………………………… 31
갑자기 피를 흘리며 죽어간 일본원숭이들 …………………………………… 33
왜 일본 원숭이만 죽었는가 …………………………………………………… 37
몸 속에 숨어 있는 바이러스 …………………………………………………… 38
동물은 안전하지만 인간은 위험한 바이러스 ………………………………… 40
동물계의 무서운 바이러스들 …………………………………………………… 42
치사율이 높은 진드기 매개 바이러스는 이미 확산 중 ……………………… 45
감염되면 물을 무서워하는 광견병 바이러스 …………………………………48
암이 공기로 전염되는 공포의 바이러스 ………………………………………50
위험한 바이러스인데도 연구는 전멸 …………………………………………52
이제는 ‘3차원 바이러스학(다차원 네오바이러스학)’의 시대…………………55
바이러스학의 차원을 바꾸는 기술 혁명 ………………………………………58
제2장 인간은 바이러스와 함께 살아간다
인간은 바이러스를 지닌 야생동물과 함께 살아간다 …………………………63
해마다 몇 개씩 발견되는 인간 신종 바이러스…………………………………65
바이러스는 왜 퍼지는 걸까? …………………………………………………67
바이러스가 발생하고 확산되는 13가지 요인 …………………………………70
암에 대항하면서 인간에게 도움을 주는 ‘유용한 바이러스’는 무엇인가 …75
현재 알려진 바이러스는 빙산의 일각 …………………………………………77
제3장 도대체 ‘바이러스’란 무엇인가
센트럴 도그마(단백질 합성 메커니즘)란 ……………………………………83
‘바이러스’란 무엇인가 …………………………………………………………86
DNA형 바이러스’와 ‘RNA형 바이러스’ ………………………………………88
바이러스는 세포보다 압도적으로 크기가 작다 ………………………………90
변화하는 바이러스의 정의 ……………………………………………………92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어떤 바이러스인가 …………………………………95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다수의 유전자를 가진 긴 게놈 배열의 바이러스…97
동물 세계의 메이저 바이러스, 코로나 …………………………………………99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원래 숙주는 관박쥐 ………………………………101
개발도상국에 코로나 감염이 적은 이유-’의외의 가설’ ……………………104
인류는 12~14세기부터 ‘코로나와 함께(with Corona)’였다 ……………106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미지의 바이러스가 아니다? ………………………108
바이러스의 재조합이란? ……………………………………………………112
코로나19의 변이……………………………………………………………………114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쉽게 변이한다 ……………………………………117
재조합을 밥 먹듯 하는 레트로바이러스 ……………………………………120
제4장 바이러스와 백신
생백신과 사백신(불활성 백신) ………………………………………………127
아데노바이러스를 재조합한 백신……………………………………………129
핵산 백신 ……………………………………………………………………131
백신으로 막지 못하는 케이스 ………………………………………………133
백신의 장기적 리스크 ………………………………………………………136
제5장 생물의 유전자를 바꿔 버리는 ‘레트로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란 무엇인가 ……………………………………………………141
레트로바이러스의 종류 - 고대 바이러스, 슬로우 바이러스 ………………144
인간의 모든 세포에는 레트로바이러스 유전자에서 온 배열이 포함돼 있다…148
포유류가 적극적으로 레트로바이러스의 유전자 정보를 취한 시기가 있다 ……150
레트로바이러스는 진화의 요인인 ‘스플라이싱’에 관여한다? ……………………153
태어날 때와 죽을 때 유전자가 달라진다 …………………………………………155
레트로바이러스에 의해 암의 발생기전이 밝혀졌다 ………………………………156
인간게놈 DNA에는 레트로바이러스 유래 유전자 배열이 9% ……………………158
DNA의 ‘복사 & 붙임’을 행하는 레트로 트랜스포존 ………………………………161
레트로바이러스의 존재 의의 …………………………………………………………165
바이러스는 유전자 배열을 서로 주고 받는다 ………………………………………167
인간의 몸 속에 숨어 있는 고대 바이러스의 단편이 깨어난다 ……………………168
약병원성 바이러스도 질병으로 발전한다 ……… …………………………………170
살아남기 위해 남의 유전자를 훔치는 바이러스 ……………………………………172
제6장 인간의 태반은 레트로바이러스에 의해 생겨났다
태반 형성에 관여한 레트로바이러스 ………………………………………177
착상 시 면역 억제에도 레트로바이러스가 사용된다………………………181
소의 태반 형성에 사용되는 ‘페마트린1’을 발견……………………………184
호주에 유대류 동물이 많은 이유 ……………………………………………188
세포의 초기화에도 레트로바이러스가 관여한다……………………………192
복제양 돌리가 던진 충격 ……………………………………………………195
복제인간이 태어날 가능성 ……………………………………………………199
생명기술은 이미 상식을 뛰어넘는 수준 ……………………………………200
돼지 췌도 세포의 인간 이식은 이미 실용화 단계…………………………203
레트로바이러스는 암에도 효과가 있는가 …………………………………206
제7장 생물의 진화에 공헌해온 레트로바이러스
진화에는 게놈 콘텐츠 증대가 필요하다…………………………………213
피부 진화에 사용된 레트로바이러스………………………………………215
초기 포유류는 알을 낳았다…………………………………………………219
‘공룡의 멸종에도 레트로바이러스가 관여했다’는 가설…………………221
현생 인류도 언젠가는 멸종되고 다음 진화가 이루어진다……………224
우주선이 레트로 트랜스포존을 활성화한다………………………………228
앞으로도 생물은 지구환경의 변화에 맞춰 계속 진화한다……………232
맺음말 …………………………………………………………………………236
참고문헌 ………………………………………………………………………240
리뷰
책속에서
'레트로바이러스'라는 말을 처음 듣는 사람이 많을 겁니다. 레트로바이러스에 관해 알게 되면 바이러스에 관한 생각이 완전히 바뀔 것입니다. 레트로바이러스는 에이즈(AIDS. 후천성 면역결핍증후군)나 백혈병 같은 심각한 질환을 일으키기도 하지만 우리는 레트로바이러스 덕에 어머니 배 속에 있다가 태어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 레트로바이러스는 생물, 그중에서도 특히 포유류의 진화를 촉진하기도 합니다. 즉 생명체의 탄생과 진화에 관여하는 매우 재미난 바이러스입니다. ----본문
'바이러스(virus)'라는 단어의 어원은 라틴어로 '질병이나 죽음을 초래하는 독'이라는 뜻입니다. 한자로 바이러스는 '병독(病毒)'이라고 표현합니다. 역사적으로 보면 바이러스는 질병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발견됐습니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는 질병을 일으키는 것'이기 때문에 바이러스 연구는 질병과 한 세트로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이죠.
하지만 인간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SARS 코로나바이러스나 MERS 코로나바이러스는 원래 숙주인 박쥐같은 동물에게는 비병원성이라 질병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바로 이 점이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자연계에는 동물이 숙주일 때는 아무런 질병을 발생시키지 않다가 인간에게 감염되는 순간 무서운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많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런데도 그런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
사람 몸에서 혈액이나 배설물을 채취하여 조사하면 여러 가지 바이러스에서 유래한 염기서열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것들은 거의 대부분 질병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동물의 몸에도 다양한 바이러스가 숨어 있지만 비병원성이라는 이유로 거의 연구의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이것은 즉 자연계에는 연구의 대상이 되지 않은 미지의 바이러스가 엄청나게 많다는 의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