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20007484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12-01-01
목차
제1장 원시사회와 고조선
1. 원시사회의 전개
2. 고조선의 형성과 발전
3. 부여와 삼한
제2장 삼국
1. 삼국과 가야의 성장
2. 삼국의 발전과 각축
3. 지배 체제와 사회 경제
4. 삼국의 문화
제3장 통일신라와 발해
1. 신라의 삼국통일과 발해의 건국
2. 통일신라의 지배체제와 사회
3. 발해의 발전과 문화
4. 통일신라의 문화
제4장 고려의 성립과 발전
1. 고려의 건국과 후삼국 통일
2. 고려의 지배체제와 사회
3. 대외 관계와 교역
4. 고려 전기의 사상과 문화
제5장 고려 후기의 사회 변화
1. 귀족사회의 동요와 무인집권
2. 몽골의 침략과 항전
3. 원 간섭기의 고려
4. 고려후기의 사상과 문화
제6장 조선건국과 새로운 기틀
1. 조선의 건국과 국가운영
2. 조선 초기의 사회경제구조
3. 조선 초기 대외관계
4. 새 왕조를 빛낸 문화와 기술
제7장 조선 전기 사회변화와 외세침략
1. 사림훈구의 대립과 사화
2. 도성과 향촌사회
3. 동아시아 정세와 왜란과 호란
4. 조선의 중심사상, 성리학
제8장 조선 후기 경제발전과 사회동향
1. 붕당의 확대와 당쟁
2. 조선 후기 사회경제적 변동
3. 대외관계의 변화
4. 실학과 사회개혁론
제9장 사회모순의 심화와 농민항쟁
1. 세도정권과 지방사회의 실태
2. 사회모순의 심화와 농민생활
3. 농민항쟁의 시대
4. 서민생활과 문화
제10장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과 근대변혁운동
1. 새로운 국제질서의 전개와 문호개방
2. 개화파의 개혁운동과 조선사회의 변화
3. 1894년 농민전쟁과 갑오개혁
4. 척사, 개화 그리고 동학
제11장 대한제국의 좌절과 일제의 한국 강점
1. 대한제국의 수립과 근대국가 건설의 좌절
2. ‘을사조약’과 강제 병합
3. 국권회복운동과 의병전쟁
4. 헌정수용과 사회진화론
제12장 일제의 식민지배와 민족해방운동의 발전
1. 무단통치와 한국사회의 변화
2. 3·1민족해방운동
3. 문화통치와 민족개량주의운동
4. 민족해방운동의 발전
제13장 전시동원체제와 항일무장투쟁
1. 전시동원체제와 친일군상
2. 나라 안의 민족해방운동
3. 나라 밖의 항일무장투쟁
4. 일제의 동화정책과 식민지배 이데올로기
제14장 해방과 분단
1. 해방과 38선 분할
2. 통일정부 수립의 좌절과 분단
3. 한국전쟁, 그 상흔과 분단의 고착화
제15장 민주화와 평화통일을 위한 대장정
1. 개발독재의 시대
2. 민주화를 위한 여정
3. 탈냉전, 평화통일 그리고 세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