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20992445
· 쪽수 : 412쪽
· 출판일 : 2019-08-05
책 소개
목차
1장 들어가는 글 7
2장 왜 연대하는 인간, 호모 솔리다리우스인가? 19
1. 사회적 연대관계를 단절하는 모나드형 인간론의 극복?20
2. 새로운 사회학적 인간상의 요청?27
3. 반연대적인 인간 현실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극복?38
3장 호모 솔리다리우스론의 뿌리와 역사 47
1. 인간 본성론?49
2. 호혜적 인간, 호모 레시프로칸스?68
3. 공감적 인간, 호모 엠파티쿠스?75
4장 연대하는 인간, 호모 솔리다리우스란 누구인가? 87
1. 연대적 인간상에 대한 선구적 논의?88
2. 호모 솔리다리우스의 특징?93
3. 호모 솔리다리우스의 다양성과 유형?124
5장 현대 서구사회의 변화와 연대하는 인간 29
1. 근대 서구사회와 연대하는 인간의 탄생?130
2. 연대하는 인간의 1차 성장통: 계급주의, 민족주의, 파시즘의 도전?133
3. 연대하는 인간의 성숙?138
4. 연대하는 인간의 2차 성장통: 신자유주의의 도전과 극복?143
5. 연대하는 인간과 밀레니엄 세대?153
6. 연대하는 인간의 당면 과제와 글로벌 호모 솔리다리우스?157
6장 현대 한국사회의 변화와 연대하는 인간 161
1. 한국사회에서 연대하는 인간의 탄생과 일본 제국에 의한 1차 성장통?162
2. 대한민국의 국가권력과 시장에 의한 성장통과 극복?165
3. 한국사회에서 연대하는 인간의 현실과 과제?178
4. 전망?190
7장 사회적 인간 지수와 연대하는 인간 분포의 국제 비교 197
1. 사회적 인간 유형의 분포?198
2. 사회적 인간 유형 지수 및 분포의 국제 비교?200
3. 한국인의 연대적 인간상이 취약한 배경 : 자아상과 인간적 덕목?215
4. 연대적 인간 지표의 다른 구성 요소들에 대한 국제 비교?229
5. 인간적 연대성의 강화를 위한 시사점?241
8장 연대하는 인간과 사회발전 249
1. 삶에 대한 만족도, 행복감, 그리고 연대하는 인간?251
2. 연대하는 인간과 시민사회의 발전?256
3. 연대하는 인간과 정치·경제의 발전?268
4. 경제적 탈연대 인간형 국가 및 연대적 탈경제 인간형 국가와 사회발전의 차이?273
5. 한국사회의 발전과 연대하는 인간?280
9장 호모 솔리다리우스를 위한 교육 287
1. 교육의 본질과 연대?289
2. 연대와 학교교육?304
3. 한국의 교육현실에 제공하는 시사점?318
10장 책을 마무리하며 327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연대하는 인간에 관한 논의는 복합적인 성격을 띤다. 관심의 초점은 현대 한국사회의 구성원이 어떤 유형의 인간에 해당하고, 연대하는 인간 유형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인간 유형론에 있다. 하지만 이 책에서 살펴보려는 인간 유형론은 인간 본성을 다루는 순수 철학적인 논의라기보다는 기본적으로 인간 유형의 사회 분포를 다루는 사회학적인 논의의 성격을 띤다. 그렇기 때문에 ‘현대 사회 혹은 한국사회에서 특정한 유형의 인간이 득세하는 사회적인 배경은 무엇인가?’, ‘연대하는 인간 유형의 분포가 사회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는 사회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등의 질문이 제기된다. 물론 ‘특정한 인간 유형, 특히 연대하는 인간 유형의 분포가 사회 에서 근대 이후에 어떻게 변했으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역사적 혹은 사회변동론적 질문도 제기된다.
- “1장 들어가는 글”
여기서는 상호작용하는 인간상에서 더 나아간 사회적 인간상으로서 “연대적 행위자”를 제안하려고 한다. 연대적 행위자란 타인이나 다른 집단과의 자율적인 연대관계를 추구하는 행위자를 뜻한다. 이 행위의 과정은 상호작용하는 인간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아처가 강조한 감정적 요소가 상호작용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처는 연대에서 오는 사회적 안정성과, 집합적 저항으로 발생하는 사회적 불안정성을 설명하기 위해 감정적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 감정적 요소의 정체에 관해서는 더 자세히 고찰할 필요가 있지만 어쨌든 자율적인 행위자들이 합리적·규범적·감정적인 근거 위에서 사회적 결속과 그 결과로서의 질서를 형성하거나 이에 대한 변화를 꾀하는 행위가 연대적 행위이다. 그러므로 연대적 행위자는 모나드형 인간과 구별되는 사회적 인간이자 사회학적 인간으로서 자율적인 존재일 뿐 아니라 사회적 결속의 형성과 변화의 공동 주체이기도 하다.
- “2장 왜 연대하는 인간, 호모 솔리다리우스인가?”
어쨌든 호모 레시프로칸스와 호모 엠파티쿠스는 함께 인간의 사회성을 이해하는 데 의미 있는 기여를 함으로써 그동안 인간 협력의 원리를 해명한 대표적인 모델로 간주되어 왔다. 그래서 저자가 연대하는 인간상인 호모 솔리다리우스를 제시하는 데도 이들이 중요한 통찰을 많이 제공한다. 그렇지만 호혜적 협력과 연대 사이에는 공통점과 함께 뚜렷한 차이도 존재한다. 또한 공감도 협력이나 연대의 중요한 근거가 되기는 하지만 그 자체만으로 협력이나 연대가 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연대적 인간에 관한 논의는 호혜적 인간론과 공감적 인간론을 기초로 하면서도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야 한다.
- “3장 호모 솔리다리우스론의 뿌리와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