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교육사 교육철학 입문

교육사 교육철학 입문

(교직과정 기본서, 2차 개정판)

조정호, 정영희, 조순영, 송수진 (지은이)
교육과학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000원 -0% 0원
450원
14,550원 >
15,000원 -0% 0원
0원
1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교육사 교육철학 입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교육사 교육철학 입문 (교직과정 기본서, 2차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사/교육철학
· ISBN : 9788925412719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8-02-26

책 소개

이번 2차 개정에서는 현행 교과서 집필 시 강조된 역량 항목을 각 영역에서 보완했고, 이와 관련하여 교사임용시험에서 강조되는 인성 계발, 윤리 의식, 도덕성 등 관련 사항을 보완하였다.

목차

2차 개정판을 내며 ⅲ
개정판을 내며 ⅳ
안내의 글 ⅵ
추천사 ⅷ

제1부 교육사 교육철학 개관
1장 지식과 교육에 대한 반성 15
1. 지식과 교육의 관계 / 16
2. 다양한 지식관 / 17
2장 인간과 교육에 대한 다양한 이해 25
1. 교육의 의미 / 26
2. 인간관에 상응하는 교육 / 26
3. 교육관에 상응하는 교육 / 28
3장 교육사와 교육철학의 관계 31
1. 교육사와 교육철학의 영역 / 32
2. 교육사에 근거한 교육철학 / 32

제2부 한국교육의 역사적 이해
4장 고조선의 교육 39
1. 단군신화의 교육적 의의 / 40
2. 고조선과 삼국시대 이전의 교육 / 45
5장 삼국과 고려의 교육 47
1. 삼국의 교육 / 48
2. 고려의 교육 / 61
6장 조선과 개화기의 교육 75
1. 조선의 교육 / 76
2. 개화기의 교육 / 126
7장 일제와 남북한의 교육 137
1. 일본 제국주의 시대의 교육 / 138
2. 미군정기의 교육 / 145
3. 남북한 교육 / 147

제3부 교육의 철학적 이해
8장 유교, 불교, 도교의 교육사상 159
1. 유교의 교육사상 / 160
2. 불교의 교육사상 / 166
3. 도교의 교육사상 / 169
9장 희랍, 근대, 탈근대 교육사상 177
1. 희랍의 교육사상 / 178
2. 근대의 교육 / 187
3. 탈근대의 교육 / 192
10장 주지주의, 진보주의 사상 199
1. 주지주의 / 200
2. 진보주의 / 203
11장 교육평등, 교육자치, 평생교육 이념 213
1. 교육평등 이념 / 214
2. 교육자치 이념 / 218
3. 평생교육 이념 / 225

부록1 교육문제에 대한 다양한 연구방법과 연구초점 235
부록2 연구 자료, 방법, 관점의 다양성: 교육인류학과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245
참고문헌 259
찾아보기 273

저자소개

조정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체육대학교 교양교직과정부 교수.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교육학을 공부하여 철학박사를 수여 받았고, 한국문화를 질적연구(質的硏究)로 연구하여 인격교육을 탐구하고 있다. 서울보건대(현 을지대) 교육학 교수로 재직하였고, 서울대 아시아태평양교육발전연구단 특별연구원으로 연구했으며, 고려대, 단국대, 서울대, 연세대, 항공대에 출강하였다. 한국교육인류학회 학회장과 고문 및 Journal of Moral Education의 논문심사위원 등을 역임하였고, 한국인격교육학회 학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무속 현지조사방법과 연구사례: 한국 문화와 교육의 원형을 찾아서』(민속원) 등이 있고, 공저로는 『현대 사회와 철학』(교육과학사), 『지혜, 동서 패러다임의 협연』(청계), 『근대와 교육 사이의 파열음』(아이필드)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홍익인간의 통일이념화 과제」, A Dilemma in Moral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등이 있다. (연락처: jade@knsu.ac.kr)
펼치기
정영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동양교육사상을 공부하여 철학박사 학위를 수여 받았다. 현재 교육생태학과 인격교육에 관한 연구에 전념하고 있으며, 한국체육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노장사상의 교육생태학적 함의」, 「교육생태학의 구성 방향에 대한 연구」, 「악기에 나타난 예교와 악교의 의미」 등이 있다. (연락처: jadesheep@hanmail.net)
펼치기
송수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연구원 경북대학교 사범대학을 비롯한 여러 대학에서 교직 과목을 강의해왔다. 현재는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한국연구재단 과제(조선시대 ‘부형(父兄)’의 교육적 책무와 권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교사의 권위에 대한 역사적 전개와 전망](공저), [교육사 교육철학 입문](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The context of Songdok: Two purposes of traditional Korean education, 「조선 전기 부형(父兄)의 위상과 교육적 책무」, 「조선 전기 태조-중종대 ‘존사(尊師)’: 유교 이념과 현실 사이에서」, 「한국 전통 교육에서 ‘학우(學友)’ 개념 검토: 유가(儒家) 교유관을 중심으로」, 「늙음의 교육적 성찰: [논어]를 중심으로」, 「최남선의 [산수격몽요결] 검토: 입지(立志)가 아닌 입지전(立志傳)을 위한 공부」 등이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