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술교육학

미술교육학

(4판)

이규선, 김동영, 류재만, 전성수, 최윤재, 권준범, 김정선, 손지현, 류지영, 강병직, 김정효, 이지연, 강주희, 최명숙, 고홍규, 이은적 (지은이)
교육과학사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000원 -0% 0원
720원
23,280원 >
24,000원 -0% 0원
0원
24,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미술교육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술교육학 (4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예체능교육 전공
· ISBN : 9788925413662
· 쪽수 : 438쪽
· 출판일 : 2019-03-15

책 소개

미술이 사회 변화에 따라 새로워지고 있는 것처럼 미술교육도 시대의 흐름에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대응하는 연구와 이론 확립이 요구된다. 미술교육을 처음으로 접하는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미술교육의 기초 이론을 알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교재 내용을 15장으로 구성하였다.

목차

제4판 머리말 ···························································3
제3판 머리말 ···························································6
제2판 머리말 ···························································9
제1판 머리말 ··························································13
제1장 미술교육의 필요성과 목적(이규선, 김정선) / 21
1. 미술교육학의 개념 ·················································23
2. 미술교육의 필요성 ·················································25
3. 미술교육의 목적 ···················································35
제2장 미술교육의 역사(전성수, 김정선) / 47
1. 표현기능 중심 미술교육 ···········································49
2. 창의성 중심 미술교육 ··············································56
3. 이해 중심 미술교육 ················································63
4. 시각문화 미술교육 ·················································69
제3장 어린이 미술표현 발달단계(최윤재, 전성수) / 79
1. 어린이 미술에 대한 관점 ··········································81
2. 어린이 미술의 특징 ···············································100
3. 어린이 미술의 발달단계 ··········································104
제4장 미학 교육의 가치와 방향(손지현) / 121
1. 미학의 가치와 미술교육 ··········································123
2. 미와 예술에 관한 이론 ···········································128
3. 미적 경험과 미학 교육 ···········································139
제5장 미술감상교육과 미술비평(류지영) / 147
1. 미술감상교육의 의미 ··············································149
2. 미술감상교육의 목적과 의의 ······································154
3. 미술감상교육과 미술비평의 방법 ··································158
제6장 미술과 교육과정과 평가(권준범) / 175
1. 미술과 교육과정 ··················································177
2. 미술과 평가 ······················································195
제7장 미술교육과 창의성(강병직) / 207
1. 창의성의 개요 ····················································209
2. 미술교육과 창의성 ················································224
제8장 미술교육에서 융합교육의 의미와 방법(김정효) / 237
1. 역량 함양과 융합교육 ·············································239
2. 한국의 융합교육 정책 ·············································241
3. 융합교육에서 미술 교과의 가치 ···································244
4. 교과 융합의 방법으로서 핵심성과 융통성의 원리 ·················249
5. 교수ㆍ학습 사례 분석을 통한 융합교육의 원리 탐색 ·············254
제9장 디지털 시대의 미술교육(이지연) / 267
1. 디지털 시대, 디지털 문화, 디지털 세대 ··························269
2. 디지털 시대의 미술교육 ··········································272
3. 디지털 매체로 창작하기 ··········································277
4. 디지털 미술교육의 방향 ··········································282
제10장 사회참여 미술교육(강주희) / 287
1. 동시대 미술에 나타난 사회참여 양상 ·····························289
2. 사회참여 미술교육의 이해 ········································293
3. 사회참여 미술교육의 실천 사례 ···································300
제11장 다문화 미술교육(최명숙) / 307
1. 다문화 미술교육의 이해 ···································································309
2. 다문화 미술교육 관점에서 바라본 시선들 ·························317
3. 다문화 미술교육 실천사례 ········································330
제12장 전통미술의 의미와 교육의 필요성(고홍규) / 337
1. 전통미술의 의미와 특징 ··········································340
2. 현대와 전통적 세계관, 전통미술 ··································341
3. 전통미술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358
제13장 삼절주의 미술교육(류재만) / 367
1. 삼절주의의 의미 ··················································369
2. 삼절주의의 배경 ··················································373
3. 삼절주의 미술교육 ················································377
4. 삼절주의 미술교육의 시사점 ······································386
제14장 미술교사론(김동영) / 391
1. 바람직한 미술교사상 ··············································393
2. 미술교사의 유형과 표준 ··········································395
3. 미술교사의 자질 ··················································397
4. 미술교사의 역할 ··················································401
5. 미술교사 교육 ····················································403
제15장 미래 미술교육의 방향(이은적) / 409
1. 제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휴먼 시대 ·······························412
2. 미래 사회를 위한 교육의 방향 ···································417
3. 미래의 미술교육, 콘텐츠의 변화 ··································420
찾아보기 ·····························································431

저자소개

이규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교육대학교 명예교수
펼치기
전성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前 부천대 유아교육과 교수 서울교육대학교 교육학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석사, 홍익 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유아교육전문가인 전 부천대학교 전성수 교수는 행복과 성공을 동시에 성취하는 비결을 유대인 가정의 하브루타에서 찾는다. 한 발 더 나아 가서 전교수는 유대인의 노벨상과 아이비리그 30%의 비밀, 하브루타를 더 심도있게 파헤친다. 이스라엘까지 건너가서 연구하는 열정을 보이고 이 분야에 관련된 논문 및 서적 3,000권을 독파한다. 이 연장선상에서 교육부 개정 2015 교육과정까지 반영시켜 지금 유치원 초·중·고에 토론문화가 활발하게 형성하도록 하는데 지대한 공을 세운 바 있다.
펼치기
강병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서 서양화를 전공하고 미술이론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도쿄예술대학 대학원(일본·동양미술사 전공)과 도쿄대학 대학원(비교문학·비교문화 전공)의 연구생 과정을 수료한 후, 서울대학교에서 미술교육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청주교육대학교에 재직하고 있으며 청주교대미술영재교육원 원장, 장욱진문화재단 이사, 충청북도교육청 교육정책자문위원, 국가교육위원회 국민참여위원, 중앙영재교육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번역서로 『에도시대의 일본미술』(예경, 2004)과 『조지아 오키프』(마로니에북스, 2006) 등이 있으며 『미술교육학』(교육과학사, 2019), 『미술영재교육학』(2011, 학지사) 등의 공저가 있다.
펼치기
이은적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8대학 조형예술학과에서 미술교육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구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문화교육학회 회장,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부회장, 한국조형교육학회 편집위원장 등의 학회 활동을 해왔으며 2018년 한국의 미술교육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김정학술상을 수상했다.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미술 감상 및 비평 교육, 시각문화 미술교육, 인문학으로서의 미술교육, 핵심역량함양을 위한 미술교육,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교육, 미래사회의 미술교육, 미술이론과 문화이론 등을 연구하며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주요 공저로는 『재미있는 미술감상 수업』, 『우리 미술의 감상과 교육』, 『미술교육학』, 『미술과 교수법』 등이 있으며, 공번역으로 『인지중심미술교육론』, 『예술교육론- 미술교과의 재발견』 등이 있다. 2007 개정, 2011 개정, 2015 개정 미술 교과서와 지도서를 집필하였다.
펼치기
이은적의 다른 책 >
류재만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단국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시내 초등학교 교사로 19년 10개월을 근무하면서 초등학교 현장 경험을 쌓았고 미술교육 관련 제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그동안 초등 미술 국정교과서, 검인정 초등미술 교과서, 중등 미술교과서를 집필했다. 『미술교육학』, 『초등미술과 교수법』, 『미술교육이론과 사상』, 『재미있는 미술감상수업』, 『명화로 도덕수업을 바꾸다』, 『선생님, 오늘 미술 뭐해요?』, 『미술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등을 출간하였다.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장, 한국미술교육학회 회장,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중앙교육위원, 서울특별시교육청 문화예술교육자문위원, 국립민속박물관 운영위원을 역임하였다.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교수이다.
펼치기
권준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율현초등학교 교감. 서울교육대학교와 한양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미술교육학>, <미술이론 교육의 탐색>, <유아미술교육학>, <마음을 여는 미술활동> 등이 있다.
펼치기
류지영 (엮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국립 동경학예대학교에서 미술교육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일본 요코하마 국립대학교 강사와 객원연구원,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교환교수와 일본 정부지원 초빙교수 등을 역임했다. 춘천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회장, 한국조형교육학회 부회장 등으로 교사교육과 함께 예술영재교육,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연구재단 연구와 한국과학창의재단 사업 등 미술교육 관련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동해왔다. 미술교육, 미술감상교육, 수업 연구와 방법론을 중심으로 연구하며 저서로 『미술감상교육』, 『커뮤니케이션 미술감상』, 『미술감상』(2019 세종도서 학술부문 우수도서) 외 다수, 역서로 『박물관교육의 기본』, 『미술관교육』(공역), 『미술 수업설계 다시보기』, 다수의 학술논문이 있다. 2017년 미술교육 연구 분야의 업적과 학술연구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김정학술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고홍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에서 학사, 동 대학 대학원에서 미술교육전공 석사, 그리고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에서 미술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우리미술의 감상과 교육」, 「현대미술교육의 이론과 쟁점」, 「전통미술의 감상과 교육」, 「미술교육으로 삶, 사회 가로지르기」 등의 저서를 공동 집필하였다.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부교수이다.
펼치기
손지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에서 미술교육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와 교육전문대학원 박물관미술관교육과 교수이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했으며, 미술관 교육, 감상교육,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관한 논문과 저서를 집필하였다. 학교 연계 미술관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삶 속에서 예술을 가까이하고, 향유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동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원대학교 명예교수
펼치기
최윤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장월초등학교 교감
펼치기
김정효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펼치기
이지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펼치기
강주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목원대학교 교수
펼치기
최명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광주교육대학교 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