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25416199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1-08-30
책 소개
목차
■ 2판 머리말 / 3
제1장 | 사회복지행정의 개관 15
1.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_ 17
1) 행정의 개념 _ 17
2)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_ 17
2. 사회복지행정과 일반 행정의 비교 _ 20
1) 공통점 _ 20
2) 차이점 _ 21
3. 사회복지행정의 이념과 실천원칙 _ 22
1) 사회복지행정의 이념 _ 22
2) 사회복지행정의 실천원칙 _ 25
4. 사회복지행정의 영역과 과정 _ 27
1) 사회복지행정의 영역 _ 27
2) 사회복지행정의 과정 _ 29
5. 사회복지행정가의 자질과 역할 _ 31
1) 사회복지행정가의 자질 _ 31
2) 사회복지행정가의 역할과 관리행동 요소 _ 34
제2장 |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37
1. 미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_ 39
1) 인식기(1870년대∼1920년대) _ 39
2) 기초정립기(1930년대∼1950년대) _ 41
3) 정체기(1960년대) _ 43
4) 발달기(1970년대∼1980년대 중반) _ 44
5) 도전과 응전기(1980년대 후반∼현재) _ 45
2.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_ 49
1) 미인식 단계(광복 이후∼1950년대) _ 49
2) 명목상 인정 단계(1960년대∼1970년대) _ 50
3) 실질적 중요성 인식 단계(1980년대 이후) _ 53
제3장 | 사회복지행정이론 59
1. 고전이론 _ 61
1) 관료제이론 _ 61
2) 과학적 관리론 _ 64
2. 신고전이론 _ 66
1) 인간관계이론 _ 66
2) X·Y이론 _ 69
3. 개방체계이론 _ 70
1) 상황이론 _ 71
2) 체계이론 _ 72
3) 정치경제이론 _ 75
4) 제도이론(institutional theory) _ 77
4. 현대조직이론 _ 78
1) 목표관리(Management by Objectives: MBO) _ 78
2) 총체적 품질관리(Total Quality Management: TQM) _ 80
3) 학습조직이론 _ 82
4) 기타 현대조직이론 _ 83
제4장 |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87
1. 전달체계의 개념 _ 89
1) 전달체계의 개념 _ 89
2) 전달체계의 구성요소 _ 91
3) 전달체계의 구분 _ 92
2. 전달체계 구축의 원칙 _ 94
1) 전문성의 원칙 _ 95
2) 충분성(적절성)의 원칙 _ 95
3) 포괄성의 원칙 _ 96
4) 통합성의 원칙 _ 96
5) 연속성(지속성)의 원칙 _ 96
6) 평등성의 원칙 _ 97
7) 책임성의 원칙 _ 97
8) 접근(용이)성의 원칙 _ 97
3. 공공 전달체계 _ 98
1) 공공 전달체계의 현황 _ 98
2) 공공 전달체계 개편 과정 _ 100
3) 공공 전달체계의 문제점 _ 104
4. 민간 전달체계 _ 106
1) 민간 전달체계의 필요성 _ 106
2) 민간 전달체계의 유형 _ 107
3) 민간 전달체계의 문제점 _ 110
5. 전달체계 개선전략 _ 112
1) 의사결정의 권위와 통제의 재구조화 _ 112
2) 특수한 업무 분담 _ 112
3) 전달체계의 구조 변경 _ 113
4) 서비스 통합성 증진 _ 113
제5장 | 사회복지조직 115
1. 조직의 개념과 유형 _ 117
1) 조직의 개념과 원리 _ 117
2) 조직의 유형 _ 119
2. 조직의 구조와 조직화 방법 _ 121
1) 조직의 구조 _ 121
2) 조직구조의 유형 _ 124
3) 조직화 방법 _ 127
3. 사회복지조직 _ 130
1) 사회복지조직의 특성 _ 130
2) 사회복지조직과 환경 _ 133
3) 위원회와 이사회 _ 138
제6장 | 기획과 의사결정 143
1. 기획 _ 145
1) 기획의 개념과 필요성 _ 145
2) 기획의 유형 _ 148
3) 기획과정 _ 150
2. 의사결정 _ 153
1) 의사결정의 개념과 특성 _ 153
2) 의사결정의 중요성 _ 154
3) 의사결정의 유형 _ 155
4) 의사결정의 모형 _ 155
5) 의사결정의 과정 _ 160
제7장 | 리더십 165
1. 리더십의 개념과 필요성 _ 167
1) 리더십의 개념 _ 167
2) 리더십의 필요성 _ 168
2. 리더십 이론 _ 169
1) 전통적 리더십 이론 _ 169
2) 현대적 리더십 이론 _ 177
3. 리더십 유형과 수준 _ 181
1) 리더십 유형 _ 181
2) 조직 위계수준에 따른 리더십 수준 _ 182
제8장 | 의사소통 187
1. 의사소통의 개념과 중요성 _ 189
1) 의사소통의 개념 _ 189
2) 의사소통의 중요성 _ 189
2. 의사소통의 목적과 기능 _ 191
1) 의사소통의 목적 _ 191
2) 의사소통의 기능 _ 192
3. 의사소통의 원칙과 과정 _ 194
1) 의사소통의 원칙 _ 194
2) 의사소통의 과정 _ 195
4. 의사소통의 유형 _ 196
1) 공식적 의사소통과 비공식적 의사소통 _ 196
2) 수직적 의사소통과 수평적 의사소통 _ 197
3)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_ 198
4) 상징적 의사소통 _ 201
5. 의사소통의 장애 요인과 개선 방안 _ 201
1) 의사소통의 장애 요인 _ 201
2) 의사소통의 개선 방안 _ 206
3)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고려사항 _ 208
제9장 | 인적자원관리 211
1. 인적자원관리의 개념과 중요성 _ 213
1) 인적자원관리의 개념 _ 213
2)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 _ 214
2. 인적자원관리 과정 _ 215
1) 인적자원계획 _ 215
2) 모집 _ 215
3) 선발 _ 216
3. 직원개발과 직원 수행력 평가 _ 220
1) 직원개발 _ 220
2) 직원 수행력 평가 _ 227
4. 동기부여 _ 228
1) 동기부여의 개념 _ 228
2) 동기부여이론 _ 228
3) 동기부여의 공통적인 요소 _ 235
4) 동기부여방법 _ 237
5. 슈퍼비전 _ 241
1) 슈퍼비전의 개념 _ 241
2) 슈퍼비전의 분야와 기능 _ 242
3) 슈퍼바이저의 지위 및 조건 _ 244
6. 소진관리와 갈등관리 _ 245
1) 소진관리 _ 245
2) 갈등관리 _ 247
제10장 | 재정관리 251
1. 재정관리의 개념과 중요성 _ 253
1) 재정관리의 개념 _ 253
2) 재정관리의 중요성 _ 253
3) 사회복지조직 재정의 특성 _ 254
2. 예산 편성 _ 255
1) 예산의 개념과 의의 _ 255
2) 예산의 종류 _ 256
3) 예산 편성의 성격과 원칙 _ 258
4) 예산 편성의 과정 및 내용 _ 260
5) 예산수립 유형 _ 263
3. 예산 집행 _ 268
1) 예산 집행의 개념 _ 268
2) 예산 집행 통제의 방법 _ 270
3) 예산 통제의 원칙 _ 271
4) 예산 집행의 신축성을 위한 제도 _ 273
4. 결산 _ 274
1) 결산의 개념 _ 274
2) 결산 절차 _ 275
3) 결산서 작성 요령 _ 276
4) 결산보고서 첨부 서류 _ 279
5. 회계와 감사 _ 280
1) 회계 _ 280
2) 감사 _ 284
3) 후원금 관리 요령 _ 285
제11장 | 마케팅과 홍보 287
1. 사회복지 마케팅 _ 289
1) 사회복지 마케팅의 개념과 필요성 _ 289
2) 사회복지 마케팅의 구성 요소 _ 292
3) 사회복지 마케팅 과정 _ 296
4) 사회복지 마케팅 기법 _ 301
2. 사회복지 홍보 _ 306
1) 홍보의 개념과 기능 _ 306
2) 사회복지 홍보의 필요성과 목적 _ 308
3) 사회복지 홍보의 원칙과 과정 _ 309
4) 사회복지 홍보방법 _ 311
5) 인터넷과 사회복지 홍보 _ 313
6) 대중매체 활용을 통한 홍보 _ 316
제12장 | 정보관리와 문서관리 319
1. 정보관리 _ 321
1) 정보관리의 개념 _ 321
2) 정보관리의 필요성 _ 321
3) 사회복지조직 정보관리체계 _ 323
4) 국가복지정보시스템 _ 325
2. 문서관리 _ 331
1) 문서관리의 개념 _ 331
2) 문서관리의 필요성 _ 332
3) 문서의 종류 _ 333
4) 문서관리의 원칙 _ 336
5) 문서작성 _ 338
제13장 |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343
1. 프로그램 개발 _ 345
1) 프로그램의 개념 _ 345
2) 프로그램의 유형 _ 346
3) 프로그램 개발의 중요성 _ 347
4) 프로그램 개발의 원리와 과정 _ 349
2. 욕구조사 _ 352
1) 욕구의 개념과 유형 _ 352
2) 욕구조사의 접근방법 _ 354
3) 욕구조사의 자료수집방법 _ 355
3. 프로포절 작성 _ 357
1) 프로포절 작성 시 고려사항 _ 357
2) 프로포절 작성 내용 _ 359
4. 프로그램 평가 _ 368
1) 프로그램 평가의 개념과 중요성 _ 368
2) 프로그램 평가의 목적 _ 369
3) 프로그램 평가의 유형 _ 370
4) 프로그램 평가의 기준 _ 372
■ 참고문헌 _ 375
■ 찾아보기 _ 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