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88975996115
· 쪽수 : 346쪽
· 출판일 : 2017-01-31
책 소개
목차
발간사 006
서 언 008
01_ 공유로 보는 교통분야의 신성장동력 사업 발굴 012
대전세종연구원 도시기반연구실 책임연구위원 이 정 범
02_ 과학기술 대중화를 통한 신성장동력 산업 발굴 024
충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안 기 돈
03_ 과학기술 생태도시 대전 052
|‘스마트 시티’ 만들기|
카이스트 기술경영학과 교수 이 덕 희
04_ 대전광역시와 세종특별자치시 : 경쟁과 상생을 통한 발전전략 070
고려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박 종 찬
05_ 대전, 도시개편전략 084
대전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전 영 훈
06_ 대전시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전략 112
대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신 창 식
07_ “상상(想像) 산업”을 위한 과학문화 산업의 기반조성을 위한 제언 124
대전대학교 글로벌융합창의학부 교수 김 종 법
08_ 시니어-빌리지(Senior-Village) 구축을 통한
대전시의 ‘플레이스-마케팅(Place-Marketing)’ 전략 146
충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염 명 배
09_ 신성장동력으로서 혁신클러스터 조성 172
한남대학교 도시부동산학과 교수 김 진
10_ 지방정부의 신성장동력 추진 전략에 관한 비교연구 192
|대전시 자매도시의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권 선 필
11_ 지역문화에 바탕을 둔 신성장동력으로 대전을 찾고 싶은 도시로 214
배재대학교 기업컨설팅학과 교수 김 진 국
12_ 창조적 소상공인이 살아나는 창조문화도시 대전 228
충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정 세 은
13_ Utah 산업분석 및 지원정책 중심으로 248
한남대학교 무역학과 교수 은 웅
저자소개
책속에서
[ 저자서문 ]
우리 대전은 참으로 다채로운 지역적 장점을 많이 가진 도시입니다. 대도시의 편리성과 전원풍 자연환경을 동시에 가진 한국에서 보기 드문 주거지역, 첨단 과학기술을 선도하는 세계적 화학도시, 사통팔달 교통의 중심도시, 고학력 지식기반도시, 안전하고 깨끗한 이미지의 도시, 물가가 저렴하고 경제적 행복지수가 높은 도시 등 장점을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입니다. 지방화 시대를 맞아 이제는 이러한 지역적 장점을 극대화하여 우리만의 독특한 미래 신성장동력을 발굴하고 육성해야 할 때입니다.
이에 대전이 가진 보물상자로부터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무궁무진하게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취지에서 대전세종연구원이 「대전 미래 신성장동력 발굴 연구팀」을 구성하여 운영하였습니다. 연구팀은 전환기에 놓여 있는 대전광역시의 현재를 진단하고, 지역경제 성장 및 일자리 · 소득 창출의 미래전략으로서 대전지역의 대학 교수님들과 대전세종연구원 연구원들이 함께 참여하여 공동연구를 추진하였습니다. 특히 집필에 참여하신 교수님들과 연구원은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 서방 선진국에서 수년간 체류하셨던 분들로 자신들이 체험했던 선진국의 다양한 지역 경험과 사례, 선진 시스템 및 제도 등을 생생하게 반영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 대전이 나아갈 미래 발전방향을 성공적으로 벤치마킹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대전의 특화자원은 세계적으로 자랑할만한 대덕특구이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는 과학기술 혁신문화 창출은 대전 혁신생태계 구축을 우한 필수 조건이다. 대덕특구의 연구분야는 6T관련 연구 분야로서 총 1,045분야의 최첨단 분야이기 때문에 국제과학술행사 및 기타 과학기술 행사를 추진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대전의 핵심자원인 연구기능을 통한 기술개발의 사업화를 위해서는 테스트베드 구축이 필요하며, 시민의 체험을 통한 테스트가 이루어지면 대전을 테스트베드의 메카로 발전시킬 수 있다. 인체에 해롭지 않은 기술개발의 시민 체험은 대전을 테스트베드의 메카로 발전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특히, 시민 체험공원 조성은 대전의 연구기능을 홍 보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으며, 대전의 관광자원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신기술 체험 시민공원은 대전의 우수한 벤처기업들의 역량을 시민들이 직접 느낄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인력공급 및 투자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