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김신일 외)

(제6판)

김신일, 강대중 (지은이)
교육과학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780원 -1% 0원
0원
21,780원 >
21,780원 -1% 0원
카드할인 10%
2,178원
19,602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2,000원 -10% 1100원 18,700원 >

책 이미지

교육사회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교육사회학 (김신일 외) (제6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사회/심리학
· ISBN : 9788925416731
· 쪽수 : 604쪽
· 출판일 : 2022-02-28

책 소개

교육학을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고찰하고 있는 책이다. 역사와 사회적 맥락 속에서 만들어지는 교육학에 대해 여러 관점들을 비교 검토하고 있으며, 교육현실, 교육학의 과제, 학생선발 등 다양한 교육문제들을 분석하고 있다.

목차

◈ 제6판 머리말 3


제1부 교육과 사회
서 론 교육의 사회성…………………………………………………21

제1장 교육사회학의 발달……………………………………………27
1. 한국 교육사회학의 전개 31
1) ‘교육사회학’의 출발 _ 31
2) ‘학교와 지역사회’ _ 34
3) ‘교육사회학’의 부활 _ 37
2. 미국과 유럽에서의 발전 43
1) 초창기 _ 43
2) 학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확대 _ 46
3) 교육내용에 관한 연구의 등장 _ 52

제2장 경쟁하는 이론들………………………………………………61
1. 기능주의 교육이론 67
1) 기능주의 _ 67
2) 뒤르켐의 교육 설명 _ 70
3) 파슨스의 교육 설명 _ 75
4) 기능이론의 계승 _ 79
2. 갈등론적 교육이론 81
1) 갈등이론 _ 81
2) 마르크스의 교육 설명 _ 91
3) 보울즈와 진티스의 재생산 이론 _ 93
4) 재생산 이론의 계승 _ 96
5)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비교 _ 100
3. 교육에 대한 해석적 접근 102
1) 해석적 이론 _ 102
2) 교육에 대한 설명 _ 106
3) 해석적 접근의 한계 _ 113
4. 새로운 이론을 향하여 117


제2부 교육제도의 변천
제3장 교육제도의 형성과 확대………………………………… 125
1. 국민교육제도의 등장과 그 특징 129
1) 근대국가와 국민교육제도 _ 129
2) 국민교육제도의 성격: 보편성과 통일성 _ 136
2. 학교 본위 교육제도의 동요 139
1) 학교제도 내부의 혁신 _ 139
2) 학교 본위 제도의 개혁운동 _ 141
3. 평생교육의 등장 147
1) 평생교육의 개념 _ 147
2) 평생교육의 지향 _ 150

제4장 한국교육제도의 변천… ………………………………… 157
1. 근대적 학교제도의 도입 161
1) 개화기 이전의 교육 _ 161
2) 개화기의 교육 _ 164
2. 일제(日帝) 강점기 167
1) 식민지교육 _ 167
2) 교육 독립투쟁 _ 170
3. 분단하의 교육제도 173
1) 미 군정기의 교육 _ 174
2) 국민교육제도의 수립과 전개 _ 175
3) 몇 가지 특징과 변화 _ 181
4) 교육개혁 _ 186

제5장 학교교육의 확대와 원인………………………………… 193
1. 학교교육의 확대 197
1) 국제적 동향 _ 197
2) 한국의 학교팽창 _ 202
2. 학력상승의 원인 205
1) 학습욕구이론 _ 206
2) 기술기능이론 _ 211
3) 마르크스이론 _ 216
4) 지위경쟁이론 _ 220
5) 국민통합이론 _ 228
3. 논의 231


제3부 교육의 사회적 기능
제6장 사회평등과 교육…………………………………………… 243
1. 사회계층과 사회이동 247
2. 교육의 기능 252
1) 평등화론 _ 253
2) 불평등재생산론 _ 259
3) 무관계론 _ 264
3. 논의 269

제7장 교육평등론… ……………………………………………… 273
1. 교육기회 분배와 결정요인 277
1) 교육기회 분배상황의 측정 _ 278
2) 분배구조 _ 283
3) 교육기회 분배의 결정요인 _ 290
2. 교육평등론의 전개 294
1) 교육기회의 허용적 평등 _ 298
2) 교육기회의 보장적 평등 _ 301
3) 교육조건의 평등 _ 303
4) 교육결과의 평등 _ 304
5) 사회개혁에 의한 교육평등 _ 306
3. 교육평등정책 307
1) 교육평등 정책의 단계적 성격 _ 307
2) 교육의 사회평등화 논쟁 종합 _ 310

제8장 교육선발과 시험…………………………………………… 315
1. 학생흐름과 선발 319
1) 학생흐름 319
2) 교육단계와 선발 322
2. 입학선발 329
1) 초·중등학교 _ 329
2) 대학 _ 332
3) 한국 교육선발의 특성 _ 337
3. 시험의 기능 345
1) 시험의 교육적 기능 _ 347
2) 시험의 사회적 기능 _ 353

제9장 학업성취와 격차…………………………………………… 361
1. 학업성취의 구성요소 365
2. 학업성취 결정요인 369
1) 개인적 요인 _ 369
2) 학교 요인 _ 371
3) 가정 요인 _ 373
4) 지역사회 _ 374
5) 사교육 _ 376
3. 학교의 학업성취 향상 효과 380
1) 학급과 학교 규모 _ 381
2) 학교의 교육여건 _ 385
3) 집단편성 _ 387
4) 교사 능력과 활동 _ 389
5) 학교문화 _ 391
4. 학업성취의 격차와 원인 393
1) 지능 _ 394
2) 가정배경 _ 396
3) 지역 _ 399
4) 남녀 간 격차 _ 402

제10장 교육과정의 사회적 성격…………………………………407
1. 교육과정사회학 411
2. 사회화와 표준교육과정 이론 417
1) 사회화 기능 _ 417
2) 경제체제 유지기능 _ 421
3. 지배구조와 재생산이론 424
1) 지배문화 _ 424
2) 문화제국주의 _ 429
3) 재생산이론 _ 432
4. 문화갈등과 탈재생산이론 439
1) 저항이론 _ 441
2) 상대적 자율이론 _ 446


제4부 교육사회학의 과제와 전망
제11장 교육사회학 담론의 확장………………………………… 455
1. 세계화 459
1) 세계화의 특징 _ 460
2) 교육의 변화와 과제 _ 462
2. 여성주의 467
1) 여성주의 관점들 _ 468
2) 교육상황과 과제 _ 473
3. 학습사회 478
1) 평생학습활동의 확장 _ 479
2) 학습활동 관리의 변화 _ 482
3) 교육제도와 사회의 변화 _ 487

제12장 교육현실과 교육학의 과제………………………………493
1. 성찰과 반성 497
1) 식민지 교육의 잔재 _ 497
2) 발전교육론 _ 507
3) 분단의 교육현실 _ 511
2. 교육의 새로운 현실 515
1) 교육의 본질 _ 517
2) 교육권 _ 519
3) 학습권 _ 520
4) 교육민주화: 민주화의 완성 _ 523
3. 새로운 교육학 패러다임 모색 526
1) 교육학의 성격 _ 526
2) 교육학의 새 패러다임 _ 531

◈ 참고문헌 541
◈ 찾아보기 591

저자소개

김신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에서 교육학 석사, 미 피츠버그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교수, 한국평생교육학회 회장, 한국교육학회 회장, 미 노던일리노이대학교 방문교수,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백석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 『학습사회』(학이시습, 2020), 『교육사회학』(교육과학사, 2022), 『나의 학문, 나의 삶 6』(서울대학교 명예교수협의회,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강대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평생교육 석사, 미 조지아대학교에서 성인교육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한국평생교육학회 학술위원장이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원장(2021~2023),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교육분과위원장(2021~2023), 한국학부모학회 회장(2020~2024), 법무부 교정정책자문단 위원(2013~2022), 교육인적자원부 부총리정책보좌관(2006~2008)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총장의 뉴 리더십: 평생교육체제 기반 대학 경영』(교육과학사, 2024),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2판)』(교육과학사, 2024), 『미래사회와 평생교육』(교육과학사, 2022), 『질적 연구: 전통별 접근』(학지사, 2022), 『대한민국 학부모』(학이시습, 2022), 『교육사회학(6판)』(교육과학사, 2022), 『Powering a Learning Society During an Age of Disruption』(Springer, 2021), 『코로나19, 한국 교육의 잠을 깨우다』(지식공작소,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25420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