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총장의 뉴 리더십

총장의 뉴 리더십

(평생교육체제 기반 대학 경영)

정종철, 권인탁, 강대중, 이희수, 윤선응 (지은이)
교육과학사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0% 0원
570원
18,4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총장의 뉴 리더십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총장의 뉴 리더십 (평생교육체제 기반 대학 경영)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행정학/경영학
· ISBN : 9788925418773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24-03-20

책 소개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기반 경영은 대학의 자체 혁신, 대학과 지역사회와의 연계, 대학의 글로벌화에 역점을 두고 실시되어야 한다. 평생교육과 연계한 대학의 기능 변화를 대학 경영자의 리더십 관점에서 대학 혁신의 한 방향으로 제시하는 책이다.

목차

∙ 머리말 / 3

전략 Ⅰ 위기에 처한 대학(Crisis)

제1장 다중위기 시대의 대학: 원인과 양상 ····································17
정종철(경북대 교수)
1. 대학의 위기 현상과 사회적 인식 ······································17
2. 대학위기의 원인에 대한 다양한 접근 ·································27
3. 대학의 위기와 도전 과제: 심화와 극복의 갈림길 ···················39
4. 결어: 다중위기 극복을 위한 방향 탐색 ·······························43

제2장 대학의 도전과 연결 체제 ·················································47
강대중(서울대 교수)
1. 고등교육의 발전 단계 ···················································47
2. 교육 보편화와 산업혁명 ················································51
3. 4차 산업혁명과 두 번째 교육혁명 ·····································56
4. 두 번째 교육혁명과 5.31 교육개혁 ···································62
5. 두 번째 교육혁명과 대학의 파열(disruption) ························64
6. 대학의 묶음(bundling)과 풀림(unbundling) ··························67
7. 평생학습 시대 고등교육의 연결 체제 ·································71

제3장 대학 평생교육 활성화 정책 환경과 여건 진단 ·······················77
정종철(경북대 교수)
1. 대학위기 문제와 정책의제화 이론적 논의 ····························78
2. 대학기반 평생교육 활성화 정책환경 분석 ····························87
3. 대학과 지역의 위기대응을 위한 정책여건 전망 ·····················93
4. 맺는말 ···································································109

전략 Ⅱ 위기 해결의 기회(Chance)

제4장 총장의 평생교육체제 기반 대학의 혁신 리더십 ····················113
이희수(중앙대 교수)ㆍ윤선응(연구원)
1. 총장, 대학 스스로를 재발명하라. ····································113
2. 총장, 국정철학과 동행하라. ···········································125
3. 총장, 비전으로 리더십을 말하라. ····································140
4. 맺음말: 총장은 전략가다. ·············································144

제5장 총장의 평생교육체제 기반 대학 경영의 실제 ·······················149
권인탁(전북대 교수)
1.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기반 경영은 글로컬 대학의 시작 ···········149
2. 대학평생교육체제 기반 경영의 전제조건 ····························151
3. 대학평생교육체제 경영의 주요 추진과제 ····························162

제6장 지역산업의 플랫폼으로서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177
이희수(중앙대 교수)ㆍ윤선응(연구원)
1. 관ㆍ산ㆍ학 연계 사업의 ‘플랫폼’으로서 대학 ·······················177
2. 정부의 주요 관ㆍ산ㆍ학 연계 사업 ··································185
3. 국내 관ㆍ산ㆍ학 연계 기반 대학의 성공사례 ·······················214
4. 맺음말: 관ㆍ산ㆍ학 연계와 평생교육체제 기반 대학 경영 전략 ···· 218

전략 Ⅲ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기반 변화전략(Change)

제7장 외국의 평생교육체제 기반 대학교육 ··································225
권인탁(전북대 교수)
1. 영국 ······································································226
2. 프랑스 ···································································232
3. 일본 ······································································236
4. 미국 ······································································239
5. 맺음말 ···································································246

제8장 대학기반 평생교육활성화 정책과제 ···································249
정종철(경북대 교수)
1. 대학평생교육 강화를 위한 입법적 과제 ·····························250
2. 성인 학습자 친화형 제도적 장치 마련 ······························255
3. 대학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재정확충방안 ························272
4. 개방과 공유, 협력의 거버넌스와 생태계 조성 ······················277
5. 대학기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제고와 문화 확산 ················280
6. 마무리: 평생학습권 시대의 대학평생교육 활성화 과제 ············283

제9장 특별 대담: 평생교육을 통한 대학교육 플랫폼 전환 ···············285

찾아보기 ·······································································306

저자소개

강대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평생교육 석사, 미 조지아대학교에서 성인교육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한국평생교육학회 학술위원장이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원장(2021~2023),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교육분과위원장(2021~2023), 한국학부모학회 회장(2020~2024), 법무부 교정정책자문단 위원(2013~2022), 교육인적자원부 부총리정책보좌관(2006~2008)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총장의 뉴 리더십: 평생교육체제 기반 대학 경영』(교육과학사, 2024),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2판)』(교육과학사, 2024), 『미래사회와 평생교육』(교육과학사, 2022), 『질적 연구: 전통별 접근』(학지사, 2022), 『대한민국 학부모』(학이시습, 2022), 『교육사회학(6판)』(교육과학사, 2022), 『Powering a Learning Society During an Age of Disruption』(Springer, 2021), 『코로나19, 한국 교육의 잠을 깨우다』(지식공작소,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강대중의 다른 책 >
권인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The University of Georgia에서 Post Doctor(1997~1998),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초빙교수(2007~2009) 및 The University of Oklahoma 객원교수(2015~2016)를 역임하였다. 그리고 주요활동으로는 한국평생교육학회 부회장, 교육부 평생교육정책자문위원, 전북대학교 평생교육원 설립(1996) 및 교학부장, 교육연수원장 및 교원양성지원센터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부회장, 한국평생교육/HRD진흥협회 이사장, 전북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있다. 주요 연구 및 저서로는 『예비퇴직자의 은퇴 후 재무설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콘텐츠 탐색(열린교육연구, 2015)』, 『대학평생교육 참여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프로그램 만족도와의 관계: 프로그램 마케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평생교육학연구, 2014)』, 『페미니즘 관점에서의 여성 성인교육프로그램 분석(평생학습사회, 2013)』, 『Towards a learning society: lifelong learning policies and practises of South Korea since the 1997 IMF crisis(Widening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2011)』,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을 활용한 평생학습도시 발전 전략(평생교육연구, 2008)』, 『북미 평생교육 정책 동향(평생교육진흥원, 2008)』, 『평생교육경영론(학지사, 2013)』,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공저, 학지사, 2008)』, 『교육학의 이해(공저, 양서원, 2013)』 외 다수가 있다. 국제학술대회논문은 『Becoming a Lifelong Learning City: Lessons from a Provincial City in South Korea(AAACE, 2015)』, 『Critical Review of Credit Bank System in South Korea: A New Mediator for Lifelong Learning?(AERC, 2014)』, 『Basis of Learning in Urban Communities: CHAT and the Limits of Contemporary Adult Learning Theories(AERC, 2011)』, 『Building Communities into Lifelong Learning Cities: The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AERC, 2009)』, 『From the Margins to the Mainstream and Back Again: A Comparison of Lifelong Learning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AERC, 2008)』 등 10여 편 이상이고, 2008년부터 매년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되었다.
펼치기
정종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교육부 차관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졸업(1994∼1996) ∙ Univ. of Georgia 대학원 성인교육학과 졸업(Ph. D.)(1997∼2001) ∙ New York University Visiting Scholar(2009)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2004) ∙ (전) 미합중국 대한민국대사관 교육관(2014∼2017) ∙ (전) 대구광역시 부교육감(2018∼2019) ∙ (전) 교육부 기획조정실장(2020) ∙ (전) 교육부 차관(2000∼2022)
펼치기
윤선응 (지은이)    정보 더보기
ㆍ(현) 중앙대학교 교육학과 연구원 ㆍ(전) 동아출판 교육연구소장 ㆍ(전) 미래엔, 동아출판 교육출판 사업 부문 근무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