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88925553429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14-07-30
책 소개
목차
1장 인류의 바다 이용과 선박의 기원
01 바다의 역사가 곧 인류의 역사다
02 문명 발달에 원동력이 된 고대의 배
2장 노선 시대의 바다의 사건들
01 해적을 물리치기 위해 해군을 조직한 페니키아인들
02 노선 시대의 대표적인 군함 갤리선
03 포에니 해전의 승리로 패권 국가가 된 로마
04 영국의 해양 사상에 영향을 준 바이킹의 활동
05 배가 산으로 간 콘스탄티노플 전투
06 노선 시대 최후의 해전인 레판토 해전
07 지중해를 장악하기 위해 패권 경쟁을 벌이다
3장 대항해 시대의 해양 활동
01 대항해 시대를 연 포르투갈
02 지중해를 벗어나 세계로 향하게 한 다우해전
03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
04 중국 명나라 정화의 남해 대원정
4장 범선 시대의 식민지 확보 경쟁
01 식민지 개척사의 상징이 된 범선
02 스페인의 해양 패권 경쟁의 계기가 된 아조레스 해전
03 해양 패권 쟁탈을 위한 영국과 스페인의 격돌
04 영국 정부에서 허가한 사략선의 활약
05 스페인 무적함대의 몰락
06 해군력의 열세로 인해 영국에게 패한 네덜란드
07 미국의 독립전쟁에 결정적 역할을 한 체서피크 해전
08 트리팔가르 해전으로 최강의 해양 국가로 도약한 영국
09 범선의 종말과 증기선의 출현
10 근대 국가 전략의 핵심 요인이 된 해양력
5장 철선 시대의 바다의 사건들
01 군함들이 철선으로 바뀌다
02 해군력 경쟁 양상의 변화
03 수에즈 운하의 개통에 따른 열강의 아프리카 진출
04 청일전쟁의 승리로 세계무대에 부상한 일본의 해양력
05 쓰시마 해전의 승리로 아시아에서 패권을 차지한 일본
06 독일이 영국 해양 패권에 도전한 전쟁, 제1차 세계대전
07 영국 해군력의 쇠퇴와 미국 해군력의 급성장
08 제2차 세계대전 후 초강대국으로 부상한 미국
09 강력한 해양력을 국가 전략으로 표방하다
6장 현대의 해양력 경쟁 양상
01 전후 냉전 시기의 해군력 경쟁
02 핵무기 경쟁의 서막이 된 노틸러스함의 북극 항해
03 핵 시대 전쟁에서 해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 6.25전쟁
04 쿠바 사태를 극복하는 데 큰 역할을 한 해군력
05 영국 재건의 발판이 된 포클랜드 해전의 승리
06 현대전에서도 결정적인 역할을 제공한 해군력
07 현대의 해양 전략 개념과 발전 방향
08 미래의 세계 해군의 모습
7장 한국의 해양 이용 역사
01 한국인의 해양 사상
02 통일신라시대 장보고 대사의 해양 경영
03 고려시대의 해양력
04 임진왜란을 승리로 이끈 이순신 장군의 거북선과 판옥선
05 구한말 주권 상실과 해양력의 부재
06 대한민국 해군의 창설
07 백두산함의 대한해협 해전 승리의 의미
08 대한민국 해군의 성장 역사
09 미래 대한민국 해군의 모습
10 세계 해양력의 역사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저자소개
책속에서
로마 시대 이전까지 세계는 이렇다 할 패권 세력이 등장하지 않았다. 마케도니아와 페르시아 등이 세계 재패를 시도했으나 그 뜻을 이루지 못했고 국부적인 세력 팽창에 그쳤다. 카르타고와 패권 다툼을 하던 도시국가인 로마는 카르타고를 물리치고 지중해를 제패한 것을 계기로, 200년 동안 지중해 연안과 유럽 대륙, 아시아 지역 일부와 아프리카 북부 지역을 세력권에 둔 거대 로마제국을 건설하고, 그들 중심의 평화, 즉 ‘팍스로마나’를 이룩한다.
바다는 육지와 육지를 가로막는 장애물인 동시에, 대륙과 대륙을 연결시켜 주는 통로로 사용된다. 그렇지만 고대 유럽 국가들 중에서 바다가 대륙을 연결시켜 주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 국가들은 많지 않았다. 그런 가운데 지중해를 중심으로 유럽 국가들의 해양 제패 경쟁은 계속되었다. 특히 이베리아반도의 국가들은 먼 대륙에 이르는 새로운 통로가 있음을 인식하고 그 통로를 개척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정화 함대의 원정으로 중국인들은 남방 해역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갖게 되었으며, 동남아시아 각지의 화교의 수적인 증가에도 크게 기여했다. 정화가 지휘한 명나라 해상 세력의 인도양 진출은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 바스쿠 다가마의 인도양 항로 개척보다 80~90년이나 앞서는 것이었다. 하지만 영락제가 죽은 후 정치적 이유로 인해 해상 원정에 대한 강력한 견제에 부딪혀 원정 선단의 함선들이 불태워지고, 해외 교역이 금지되면서 더 이상 해외 원정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정화는 1433년 마지막 원정을 끝낸 이듬해 병으로 사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