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88925568737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0-03-15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평생을 읽어도 다는 모르겠는 시 - 나태주(시인)
1장 그립다 말을 할까 하니 그리워
잊었던 맘 | 진달래꽃 | 님의 노래 | 못잊어 |맘에 속의 사람 |개여울 |그를 꿈꾼 밤 |꿈꾼 그 옛날 | 세월은 지나가고 | 맘 켱기는 날 | 눈오는 저녁 | 고적한 날 | 자나깨나 앉으나서나 | 꿈으로 오는 한사람 | 해가 산마루에 저물어도 | 바리운 몸 | 먼 후일 |님의 말씀 | 예전에 미처 몰랐어요 | 님에게 | 가는 길 | 구름
2장 허공 중에 헤어진 이름이여
초혼 | 등불과 마주 앉았으려면 | 황촉불 | 접동새 | 담배 | 신앙 | 옛이야기 | 설움의 덩이 | 맘에 있는 말이라고 다 할까 보냐 | 바다가 변하야 뽕나무밭 된다고 | 봄비 | 불운에 우는 그대여 | 마음의 눈물 | 비단안개 | 첫치마 | 하다못해 죽어달래가 옳나 | 가을 아침에
3장 우리는 말하며 걸었어라, 바람은 부는대로
동경하는 애인 |만리성 | 개여울의 노래 | 산위에 | 꽃촉불 켜는 밤 | 님과 벗 | 밭고랑 위에서 | 합장 | 드리는 노래 | 부부 |자주 구름 |두 사람 |춘향과 이도령
4장 산에는 꽃 피네 꽃이 피네
산유화 | 달맞이 |박넝쿨 타령 |우리집 | 바다 | 여름의 달밤 | 저녁때 | 상쾌한 아침 | 엄마야 누나야 | 제이, 엠, 에쓰 | 팔벼개 노래 | 산 |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섭대일 땅이 있었더면 |여수旅愁 |장별리將別里 | 삭주구성 | 닭은 꼬꾸요
5장 나는 세상 모르고 살았노라
반달 | 부모 | 흘러가는 물이라 맘이 물이면 | 나는 세상 모르고 살았노라 | 새벽 | 묵념 | 꿈2 | 나의 집 | 엄숙 | 전망 | 금잔디 |수아樹芽 | 건강한 잠 | 귀뚜라미 | 고락| 희망 | 사노라면 사람은 죽는 것을 | 꿈길 | 추회 | 길
리뷰
책속에서
우선 김소월 시 읽기의 첫 장면은 그의 시를 연애시로 보는 견해이다. 김소월의 시는 연애시이다. 틀린 말이 아니다. 그러나 시의 시작이 연애시이고 또 화려한 꽃이 연애시가 아니었던가. 시의 재료가 감정이란 것은 누구나 인정하는 것이다. 인간의 감정 가운데 사랑하는 마음, 그리워하는 마음보다 좋은 마음은 없다. 사랑의 대상이나 그리움의 대상으로는 인간만이 아니라 자연이나 사물이 될 수도 있다. 이 사랑하는 마음과 그리워하는 마음을 아름다운 말, 예쁜 말, 착한 말로 정성껏 다듬어 쓰는 시가 바로 연애시이다. (여는 글)
소월 시의 그다음 특성은 철저한 구어체 문장의 사용이다. 문어체는 간결하고 경제적일 수는 있지만 구어체보다 자연스럽지는 못하다. 삶에 맞닿아 있지도 않다. 신문학 초기에 이토록 구어체에 철저한 시를 썼다는 것만으로도 하나의 선각이요 놀라운 문학적 성취요 승리다. (여는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