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25573823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25-03-10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말 | 추천사 | 들어가는 말
1장. 날 떠나지 마: 버림받는 두려움을 이해하기
2장. 내게 어떤 믿음이 있는가?: 나의 핵심신념 알아보기
3장. 나를 방해하는 것은 무엇일까?: 마음과 관계의 함정
4장. 어떻게 습관적인 반응을 멈출까?: 마음챙김으로 현재에 머무르기
5장. 나는 무엇에 가치를 두는가?: 변화를 위한 동기부여
6장. 무슨 생각을 하고 있었지?: 관계를 방해하는 부정적인 생각 다루기
7장. 왜 이런 기분이 드는 걸까?: 고통스러운 상황과 감정에 대처하기
8장. 내가 뭐 하는 거지?: 나의 행동 바꾸기
9장. 어떻게 말해야 할까?: 친밀한 관계를 만드는 의사소통 기술
10장. 연애 시작! 이제 어떻게 하지?: 새로운 관계를 위한 모든 것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건강하고 지속 가능하며 사랑이 가득한 관계를 맺고 싶은 바람이 도달할 수 없는 목표처럼 느껴지거나 시간과 에너지가 너무 많이 들 거라 생각될 수 있다. 이해한다. 특히 상처받거나 실망할까 봐 항상 두려워하는 마음이 든다면, 동기와 결단력을 높이느니 차라리 기대와 희망을 낮추는 편이 쉽다고 느끼는 것이 오히려 정상이다. 이미 평생토록 많은 감정적 고통을 겪었는데 또다시 고통받을지도 모를 위험을 감수할 가치가 있냐고 묻고 싶어질지도 모른다. 슬프고, 외롭고, 오해받고, 사랑받을 수 없고, 안전하지 않으며, 더 많은 것을 갈망하게 만드는(그러면서도 내가 더 나은 대접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는 믿어지지 않는) 관계에서 느끼는 고통이 어떤 것인지 우리는 모두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사랑, 이해, 존중이 가득하고, 자신의 가치를 느끼게 하며, 결점을 포함한 있는 모습 그대로 인정해 주는 건강한 관계가 어떤 것인지는 잘 알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양육자에 대한 아이의 애착이 나중에 다른 사람들에게 거는 기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영향을 주는 건 당연한 일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앞으로 자세히 다루겠지만, 안정애착이 형성된 아이들은 사고가 유연해서 불안정애착(회피애착과 양가애착)이 형성된 아이들보다 충동과 욕구를 조절하는 능력이 더 뛰어나다. 안정애착을 경험하지 못한 아이들은 평소 안전하다고 느끼지 못하며, 두려움과 부정적인 감정에 압도되어 충동과 욕구를 조절하는 능력이 약화된다. 이 아이들은 생존을 위해 싸우는 상태에 있다. 적어도 그들이 느끼기에는 말이다.
핵심신념이 우리의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또 다른 방법은 삶의 경험을 하나의 이야기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 이야기에는 마음속에서 끊임없이 재생되는 독백이 담겨 있는데, 이 독백은 경험을 해석하고, 타인을 판단하고, 결과를 예측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데 유용하다. 하지만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신념으로 인해 독백에 부정적인 자기 대화가 포함되는 순간 문제가 발생한다. 부정적인 신념이 행동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렇게 우리는 핵심신념으로 인해 해로운 행동-반응의 순환에 빠지고 그 상태에 머물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