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88925588988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21-02-28
책 소개
목차
제1장 대중문화와 예술이란 무엇인가
1. 문화의 정의
2. 문화체계론과 문화를 대하는 올바른 태도
3. 대중문화,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4. 극예술이란 무엇인가?
제2장 대중문화는 우리에게 무엇인가
1. 대중문화와 이데올로기의 관계
2. 대중문화의 수용
제3장 대중문화와 예술을 둘러싼 다양한 관점들
1. 예술의 본질
2. 예술로서의 건축
3. 예술로서의 사진 붐
4. 대량예술
제4장 광고산업이란 무엇인가
1. 광고의 어제와 오늘
2. 광고의 기능
3. 광고 속의 섹슈얼리티
4. 섹슈얼리티 광고의 장단점
제5장 디지털 스토리텔링
1. 개념 정의와 여러 관점들
2. 이야기 예술의 진화와 상상력의 구성 요소
3.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전략
4. 나오며
제6장 영화와 서사구조
1. 들어가며
2.〈나쁜 남자〉-시각쾌락증
3.〈처녀들의 저녁식사〉-성에 대한 담화들
4.〈나쁜 남자〉 내용-사랑:남자 주인공들과의 관계에 대해
5. 나오며
제7장 페미니즘-프로이트와 융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페미니즘의 기본 정의
3. 4대 페미니즘 이론
4. 정신분석과 프로이트
5. 융과 페미니즘에 관하여
6. 융의 이론과 페미니즘-프로이트의 무의식을 경험적으로 확장시킨 아니마/아니무스론
제8장 텍스트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1. 들어가며
2. 회화를 활용한 텍스트 수업 동향 및 학습자 분석 단계
3. 회화예술 텍스트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모형
4. 회화예술 텍스트를 활용한 교수모형 및 적용 사례
5. 나오며
제9장 디지털시대, 한국 TV 드라마 시론
1. TV 드라마의 특성
2. 디지털 환경의 변화
3. 현실에 대한 반응-TV 드라마의 현재성
4. 디지털 스토리텔링-남성상의 왜곡
5. TV 드라마의 상호작용성
6. 나오며
제10장 TV 드라마의 미학적 성격
1. 텔레비전 드라마의 미학적 성격
2. 텔레비전 드라마의 장르 관습
3. 텔레비전 드라마, 어떻게 만들고 볼 것인가?
제11장 대중문화와 연극/뮤지컬
1. 대중문화로서의 연극이란 무엇인가?
2. 뮤지컬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처럼 문화를 단순히 자연을 개작함에 있다고만 한다면, 문화는 인간 삶에만 국한되는 어떤 의미라기보다는 생명체 전체의 그것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문화의 본질은 인간이 스스로를 노동으로부터 해방시키고 나아가 다른 생명체에게서는 발견할 수 없는 ‘여분의 삶’을 누리도록 하는 데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그리하여 문화는 인간의 삶을 생존의 차원으로부터 예술과 오락의 영역으로까지 넓혀 놓았다고 볼 수 있다. 나아가 이런 즉물적인 차원에서 문화화된 인간능력은 고등 사고 기능으로 확장된다.
기술은 온 세상을 물화reification시킨다. 기술 복제의 시대에 있어서 아우라는 너무도 평범한 체험이 되었다. 즉, 우리의 세계는 더 이상 순수하지 않다. 모든 상품에 적당히 예술(성)이 반영되어 있고, 대부분의 예술에도 얼마간의 상품(성)이 들어가 있다. 그렇다면 아우라가 사라진 시대의 문화 예술이 지닌 긍정적인 지점은 무엇일까?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이미지, 사운드, 비디오를 이용한 개인적 체험 내러티브의 디지털화를 실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전통적인 구술적 스토리텔링 예술과 사진, 그래픽, 오디오, 비디오 등을 활용하는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결합시킨 것인데, 사용자 중심의 미디어를 지향하며 주제의 민주화와 대중화를 특성으로 하고 전 세계적으로 온라인을 통해 공유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