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88979446227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17-07-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대중문화와 예술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1. 문화란 무엇인가
2. 미디어와 대중문화의 관계
3. 대중문화의 수용
4. 예술의 보편성
5. 기술복제시대의 예술 작품
제2장 대중문화와 예술을 둘러싼 다양한 관점들
1. 예술의 본질
2. 예술로서의 건축
3. 예술로서의 사진 붐
4. 대량예술
제3장 광고산업이란 무엇인가?
1. 광고의 어제와 오늘
2. 광고의 기능
3. 광고 속의 섹슈얼리티
4. 섹슈얼리티 광고의 장단점
제4장 디지털 스토리텔링
1. 개념 정의와 여러 관점들
2. 이야기 예술의 진화와 상상력의 구성 요소
3.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전략
4. 나오며
제5장 텍스트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1. 들어가며
2. 회화를 활용한 텍스트 수업 동향 및 학습자 분석 단계
3. 회화예술 텍스트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모형
4. 회화예술 텍스트를 활용한 교수모형 및 적용 사례
5. 나오며
제6장 영화와 서사구조
1. 들어가며
2. 〈나쁜 남자〉-시각쾌락증
3. 〈처녀들의 저녁식사〉-성에 대한 담화들
4. 〈나쁜 남자〉 내용-사랑:남자 주인공들과의 관계에 대해
5. 나오며
제7장 페미니즘-프로이트와 융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페미니즘의 기본 정의
3. 4대 페미니즘 이론
4. 정신분석과 프로이트
5. 융과 페미니즘에 관하여
6. 융의 이론과 페미니즘-프로이트의 무의식을 경험적으로 확장시킨 아니마/아니무스론
제8장 디지털시대, 한국 TV 드라마의 미학
1. TV 드라마의 특성
2. 디지털 환경의 변화
3. 현실에 대한 반응-TV 드라마의 현재성
4. 디지털 스토리텔링-남성상의 왜곡
5. TV 드라마의 상호작용성
6. 나오며
부록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대중문화는 대기처럼 우리의 일상에 스며들어 있다. 미처 의식도 하지 못한 채 우리는 아침에 일어나서 저녁에 잠들 때까지 무수한 대중문화의 세례를 받고 있다. 대중문화는 수많은 대중문화적 현상(text) 안에 도사리고 있다가 밖으로 튀어나와 대중과 하나가 된다. 그리하여 대중문화는 대중을 둘러싼 사회적 현상 안에도 있고, 어느덧 대중 안에 들어와 대중 자신이 되었다가 대중의 의식으로, 관습으로, 행동양식으로 나타난다. 대중문화는 때로 대중을 주체로 호명하여 물질적 행위를 낳기도 하고, 때로는 대중들의 억압된 욕망을 풀어주어 그토록 견고한 사회적 지배 체제에 틈을 낸다. 대중문화에는 이 사회적 지배 체제의 이데올로기들이 마치 피부처럼 둘려 있다. 대중문화는 비단 대중의 의식 안에만 머물러 있지 않는다. 대중문화에 깃든 지배 체제의 이데올로기적 장치들은 대중의 다양한 행동양식으로 나타나곤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