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88979445770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16-09-0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대중문화와 예술이란 무엇인가
1. 문화의 정의
2. 문화체계론과 문화를 대하는 올바른 태도
3. 대중문화,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4. 극예술이란 무엇인가?
제2장 대중문화는 우리에게 무엇인가
1. 대중문화와 이데올로기의 관계
2. 대중문화의 수용
제3장 대중문화와 예술을 둘러싼 다양한 관점들
1. 예술의 본질
2. 예술로서의 건축
3. 예술로서의 사진 붐
4. 대량예술
제4장 광고산업이란 무엇인가
1. 광고의 어제와 오늘
2. 광고의 기능
3. 광고 속의 섹슈얼리티
4. 섹슈얼리티 광고의 장단점
제5장 디지털 스토리텔링
1. 개념 정의와 여러 관점들
2. 이야기 예술의 진화와 상상력의 구성 요소
3.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전략
4. 나오며
제6장 영화와 서사구조
1. 들어가며
2. 〈나쁜 남자〉-시각쾌락증
3. 〈처녀들의 저녁식사〉-성에 대한 담화들
4. 〈나쁜 남자〉 내용-사랑:남자 주인공들과의 관계에 대해
5. 나오며
제7장 페미니즘-프로이트와 융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페미니즘의 기본 정의
3. 4대 페미니즘 이론
4. 정신분석과 프로이트
5. 융과 페미니즘에 관하여
6. 융의 이론과 페미니즘-프로이트의 무의식을 경험적으로 확장시킨 아니마/아니무스론
제8장 텍스트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1. 들어가며
2. 회화를 활용한 텍스트 수업 동향 및 학습자 분석 단계
3. 회화예술 텍스트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모형
4. 회화예술 텍스트를 활용한 교수모형 및 적용 사례
5. 나오며
제9장 디지털시대, 한국 TV 드라마 시론
1. TV 드라마의 특성
2. 디지털 환경의 변화
3. 현실에 대한 반응-TV 드라마의 현재성
4. 디지털 스토리텔링-남성상의 왜곡
5. TV 드라마의 상호작용성
6. 나오며
제10장 TV 드라마의 미학적 성격
1. 텔레비전 드라마의 미학적 성격
2. 텔레비전 드라마의 장르 관습
3. 텔레비전 드라마, 어떻게 만들고 볼 것인가?
제11장 대중문화와 연극/뮤지컬
1. 대중문화로서의 연극이란 무엇인가?
2. 뮤지컬
책속에서
현대사회는 그 어느 때보다 대중문화와 예술의 비중과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그럼에도 많은 경우 대중문화(혹은 대중문화적인 것들)에 기반한 대중예술은 창작과 향유에 있어서 그 주역이랄 수 있는 대중들의 주도적 참여가 제한되거나 배제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강좌에서는 대중문화와 예술의 장 안에서 대중예술이라는 장르가 어떤 메커니즘을 갖고 생산ㆍ유통ㆍ소비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전반기에는 대중문화와 대중예술 장르에 대한 정의, 대중문화를 둘러싼 담론의 전개 과정 등을 개관한다. 이어 후반기에는 개별 대중예술 장르들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을 통하여 생산 향유의 메커니즘과 함께 대중문화와 예술의 주체로서 학습자 개인의 안목을 높이도록 이끈다.
구체적인 학습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중문화와 대중예술을 정의하고 표현할 수 있다.
둘째, 대중문화를 둘러싼 여러 관점들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셋째, 대중문화가 어떤 맥락 속에서 전개되어왔는지를 알고 설명할 수 있다.
넷째, 대중문화와 예술의 장 안에서 의미부여와 향유 메커니즘을 알고 설명할 수 있다.
-머리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