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26824092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1-06-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I장 지중해와 한반도
1. 개요
2. 마티니와 한반도
3. 세 차례 만남
4. 문화상호성
5. 수수께끼 -현상과 사실-
6. 사유의 로드맵
제2장 원형사유(原型思惟)
1. 개요
2. 동굴의 비유
3. 동굴의 비유, 그림읽기
4. 원형과 반복
제3장 보편사유(普遍思惟)
1. 개요
2. 존재론적 사유
3. 개념주의 사유
4. 보편논쟁(普遍論爭)
5. 요약
제4장 사랑이 움직이는 천체(天體)
1. 개요
2. 천체인식의 기본구조
3. 반대천체의 구조
4. 사랑의 현상학
5. 요약
제5장 움직이는 지구
1. 개요
2. 하늘을 쳐다본 과학이론
3. 갈릴레이 소송과정
4. 그래도 도나?
5. 우주의 신비
6. 요약
제6장 문명이동 편중현상
1. 개요
2. 아테네 학당의 재해석
3. 편중실험
4. 문화 상호 길라잡이
5. 위치이동
제7장 문명의 고원지대
1. 개요
2. 도르래 문화철학
3. 상호문화 지각깊이
4. 서신교환
5. 상호문화철학 헤게모니와 하모니
제8장 세계철학
1. 기초개념
2. 잠과 꿈
3. 시지각 상호교환
참고자료
1. 문헌
2. 그림, 도표, 삽화
색인
인명색인
사항색인
저자소개
책속에서
아벨라드는 초기에는 안젤무스가 말하는 보편자를 표현(sermones), 후기에는 언급(voces)이라고 여겼다. 표현은 인간에 의하여 의미가 담지되는 반면에, 언급은 구체적이고 단순한 단어의 물리적 음성이다. 유의미하게 설정된 언급이 보편자라면, 보편자는 여럿으로 서술된다. 인간존재는 유의미한 언급으로 설정된 담론으로 보편자에 공통성을 부과하기 때문이다. 아벨라드의 보편자의 문제의 해결을 보편적 단어의 적절한 사용과 의미를 개념적으로 아는 것에서 찾았다.
셋째 시기의 <중국철학서한>이 탄생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복합적이고 종합적 배경이 작용한다. 지금까지 예수회 중국선교사들과의 편지교환을 바탕으로 연구 활동의 결과물이 나왔다면, 이 저작은 라이프니츠의 말년의 죽기 직전의 연구결과로 그의 <모나드론>에 버금가는 중요도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