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커리큘럼
· ISBN : 9788926833612
· 쪽수 : 206쪽
· 출판일 : 2012-07-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면서
계면 및 콜로이드 화학
1. 계면화학(Interface chemistry)
1) 계면상태 및 현상
2) 계면흡착 및 계면활성
2. 콜로이드 화학(Colloid chemistry)
1) 콜로이드계(Colloid system)
2) 콜로이드계의 특성(Characteristic of Colloid system)
3) 콜로이드 상태(Colloid condition)
계면활성제 이론
1. 기본이론(Basic theory of surfactant)
1) 계면활성제의 분자구조
2) 친수성-친유성(Hydrophile property-Oleophilic property)
2. 계면활성제의 성질(Properties of surfactant)
1) 미셀(Micell)
2) 에멀션과 서스펜션(Emulsion and Suspension)
3) 가용화(可溶化, Solubilization)
4) 용해성(溶解性, Solubility)
5) 기포성(起泡性, Foamability)
3. 계면활성제의 작용(Function of surfactant)
계면활성제 종류
1. 수용성 계면활성제(Water-soluble surfactant)
1) 이온성 계면활성제(Ion surfactant)
2) 보조 계면활성제(Support surfactant)
2. 샴푸제 배합물(Shampoo agent combination)
1) 클린징제(Cleansing agents)
2) 거품 촉진제(Foam booster)
3) 샴푸 컨디셔닝제(Conditioning agents of shampoo)
4) 농축제(Thickening agents)
5) 방부제(Preservatoves)
6) 그 외 첨가물(Other additives)
두개피 세정이론
1. 두개피 이물질(Scalp foreign subject)
1) 피지성분(Sebum component)
2) 피지 분비량(Amount of producted sebum)
3) 모발 바디감(Hail texture)
2. 세정(Detergency)
1) 세정제 역사(Detergency history)
2) 세정이론(Detergency theory)
3) 세정제(Cleansing agent)
4) 세정제 유형(Shampoo agent types)
3. 세정 미학(Aesthetics of detergent)
두개피 컨디셔닝제
1. 모발손상 원인(Hair damage cause)
2. 컨디셔닝제(Hair conditioning agent)
1) 컨디셔너 종류(Conditioner sort)
2) 컨디셔닝제 역할 및 개발(Conditioner role and development)
3) 컨디셔닝 배합물(Conditioning combination)
4) 그 외 컨디셔닝 첨가물(Other conditioing addition)
3. 린스제(Rinsing agent)
1) 린스 종류와 성분(Rinse type and component)
2) 린스의 일반적 성분(General companent of rinse)
4. 트리트먼트제(Treatment agent)
1) 트리트먼트제의 종류(Type of treatment agent)
2) 트리트먼트제의 유형(Type of treatment agent)
두개피 육모요법 및 처치
1. 두개피 육모요법 및 관리(Scalp hair growth and care)
1) 두개피 관리 요법
2) 육모 및 탈모 방지제
2. 두개피 유형 탈모 및 처치(Typical hair loss of scalp and treatment)
1) 두개피부 유형
2) 의료계에서의 두개피 처치
3) 미용실에서의 두개피 처치
두개피 클렌징 이론 및 실제
1. 두개피 클렌징(Scalp cleansing)
1) 샴푸의 목적(Objective of shampoo)
2) 샴푸의 세정작용(Cleansing function of shampoo agent)
3) 샴푸제와 pH 관계(Relationship between shampoo agent and pH)
4) 물과 샴푸제(Water and shampoo agent)
5) 샴푸제의 평가(Evaluation of shampoo agent)
6) 샴푸시술의 일반적 사항(General fact of performing shampoo)
2. 세발의 실제를 위한 이론(Theory for action of shamppoing)
1) 두개피 상태별 세정방법(Shampooing method according to scalp type)
2) 두부경혈 마사지 기술(Massage technique of head)
3) 경혈 마사지 기술
3. 세발의 실제방법(True method of shampooing)
두발 컨디셔너
1. 린스(Rinse)
1) 린스의 목적(Objective of rinse)
2) 린스제의 조건과 종류(A condition and kind of rinse)
3) 린스 시술의 실제방법(True method of performing rinse)
2. 트리트먼트(Treatment)
1) 트리트먼트의 목적(Objective of treatment)
2) 트리트먼트제의 종류(A sort of treatment agent)
3) 트리트먼트제의 사용법(How to use treatment agent)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