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26833711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2-06-08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제1편 역사란 무엇인가?
Ⅰ. 역사의 의미와 성격
1. 역사의 의미
2. 역사학의 성격
Ⅱ. 사관(史觀)이란 무엇인가?
1. 식민사관(植民史觀)
2. 민족사관(民族史觀)
3. 유물사관(唯物史觀)
4. 실증사학(實證史學)
제2편 고조선(古朝鮮)은 어떤 나라인가?
Ⅰ. 단군(檀君)?기자(箕子)?위만(衛滿)과 조선
1. <삼국유사(三國遺事)>와 단군조선
2. 기자동래설(箕子東來說)과 기자조선(箕子朝鮮)
3. <사기(史記)>와 위만조선(衛滿朝鮮)
Ⅱ. 고조선 사회의 성격과 위치 문제
1. 삼조금법(三條禁法)과 고조선 사회의 성격
2. 고조선의 위치 문제
Ⅲ. 고조선의 역사 공간(空間) 평양(平壤)
1. 평양의 유래와 지리적 조건
2. 고조선 시대의 평양
제3편 삼국시대(三國時代)
Ⅰ. 고구려의 발전 방향
1. 삼국 중 고구려가 가장 강했나?
2. 광개토호태왕의 위대한 업적은 영토 확장인가?
3. 고구려 시대의 평양(平壤)
Ⅱ. 백제(百濟)의 흥망(興亡)
1. 한성(漢城)시대의 백제
2. 웅진(熊津)시대의 백제
3. 사비(泗?)시대의 백제
Ⅲ. 천년 왕국 신라(新羅)
1. 신라의 삼국통일
2. 신라 천년의 고도(古都) 경주(慶州)
Ⅳ. 해동성국(海東盛國) 발해(渤海)
1. 대조영과 발해의 건국
2. 발해의 사회구조와 정치제도
제4편 새로운 시대의 서막, 후삼국시대의 영웅들
Ⅰ. 호족들의 등장과 그 유형
1. 신라 골품(骨品)체제의 모순과 호족(豪族)의 대두
2. 호족(豪族)의 유형과 성격
3. 호족과 선종(禪宗)
Ⅱ. 장보고의 해상왕국
1. 신라인의 황해교역(黃海交易)과 대당진출(對唐進出)
2. 장보고의 출신과 세력 형성과정
3. 장보고 세력의 정치?사회적 성향
Ⅲ. 견훤(甄萱)과 후백제(後百濟)
1. 견훤의 출생과 성장
2. 견훤 정권의 정치적 추이
3. 견훤의 외척(外戚)세력
4. 신검계(神劒系)와 금강계(金剛系)의 대립
Ⅳ. 궁예-신라의 왕자, 후고구려를 세우다
1. 궁예, 출생의 비밀
2. 궁예의 인물됨과 한계
3. 궁예와 불교
V. 왕건-고구려 계승에서 후삼국 통일로
1. 후삼국관계의 전개
2. 조물성(曹物城) 회전(會戰)과 그 이후의 상황
3. 공산(公山) 회전(會戰)과 그 전후사정
4. 고창(古昌) 회전(會戰)과 후삼국통일
5. 고려 태조 왕건의 대내정책과 정치사상
제5편 고려시대사에 대한 이해
Ⅰ. 고려시대사의 특징적 성격
1. 중세적(中世的) 성격(性格)
2. 귀족적(貴族的) 성격(性格)
3. 불교적(佛敎的) 성격(性格)
4. 대외적(對外的) 성격(性格)
Ⅱ. 무신정권(武臣政權)과 고려 말의 대외관계
1. 무신정권(武臣政權)
2. 고려와 원(元)?명(明) 관계
3. 대일관계(對日關係)
Ⅲ. 고려의 황도(皇都) 개경(開京)
1. 고려 수도 개경의 형성과 도시기능
2. 개경의 도시형태
3. 도시 공간의 확대
4. 개경의 도시화
5. 개경의 인구집중과 도시문제
제6편 조선시대
Ⅰ. 조선의 정치: 이념(理念)과 정책(政策)
1. 통치이념으로서의 성리학
2. 조선시대 지방행정제도의 정비와 수령제(守令制)
3. 노비(奴婢)의 신분 및 소유권 귀속
4. 실학(實學)과 북학(北學)
5. 탕평책(蕩平策)
Ⅱ. 조선의 경제사상과 수취체제(收取體制)
1. 조선의 경제사상(經濟思想)
2. 조선의 수취체제(收取體制)
3. 대동법(大同法)과 균역법(均役法)
Ⅲ. 조선의 수도(首都) 한양(漢陽)과 지방(地方)
1. 조선의 수도 한양
2. 조선시대 지방도시
3. 조선시대의 도시사회의 특징
4. 조선의 계획도시 수원(水原)화성(華城)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