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저항과 지향

저항과 지향

(한국민족운동의 역사적 전개)

박진철 (지은이)
한국학술정보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7개 1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8,000원 -10% 900원 15,300원 >

책 이미지

저항과 지향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저항과 지향 (한국민족운동의 역사적 전개)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26819784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1-03-07

책 소개

'내일을 여는 지식 역사' 27권. 우리나라 근.현대사를 민족운동의 역사적 전개라는 관점에서 살펴본다. 한국 근현대 민족운동의 장기적 흐름을 폭넓게 이해하고 그 저변의 사상사적 배경과 정신사적 전통도 확인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1부 '반외세 민족운동과 근대화운동'부터 4부 '해방 후 민족운동'까지, 총 4부로 구성되었다.

목차

들어가는 글

Ⅰ. 반외세 민족운동과 근대화운동

1. 위정척사운동(衛正斥邪運動)
(1) 위정척사운동의 역사적 배경
(2) 위정척사사상(衛正斥邪思想)과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3) 고종(高宗)의 친정(親政)
(4) 개항(開港)과 수교(修交)
<보충자료>
1.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 영인사진
2. 「高宗實錄」, 高宗 13년 2월 3일(乙丑)
2. 고종(高宗)의 자강정책(自强政策)
(1) 고종의 자강정책 추진(推進)
(2) 자강정책 추진기구(推進機構)의 설치(設置)와 운영(運營)
3. 개화운동
(1) 1882년 임오군변(壬午軍變)
(2) 청의 내정 간섭과 고종의 자강정책 재추진
(3) 조(朝)ㆍ청(淸) 관계의 변화와 개화세력의 분화
(4) 1884년 갑신정변(甲申政變)
(5) 고종의 반청자주정책(反淸自主政策)
<보충자료>
갑신정변 14개조 정강
4. 갑오농민전쟁(甲午農民戰爭)
(1) 1894년 갑오농민전쟁
(2) 갑오농민전쟁에 대한 용어(用語)와 해석의 논점
(3) 갑오농민전쟁의 성격
<보충자료>
1. 東學史(草稿本)
2. 동학농민혁명 자료총서-東學史(草稿本) 이미지 자료 중「집강소의 행정」
3. 續陰晴史 卷七 高宗 31年 甲午 正月~12月
4. 농민군의 4개 약속
5. 갑오개혁과 을미사변
(1) 제1차 개혁(1894. 7.~1894. 12.)
(2) 제2차 개혁(1894. 12. 17.~1895. 7.)과 삼국간섭
(3) 을미사변과 제3차 개혁
<보충자료>
1. 「高宗實錄」 ?고종 34년 11월 22일(陽曆)/세상을 떠난 황후의 묘지문의 행록을 짓다?
2. 갑오 7월 29일 군국기무처 회의를 통과 시행된 제1안의 전문23조
3. 홍범 14조(洪範十四條)
6. 대한제국(大韓帝國)과 독립협회운동
(1) 고종(高宗)의 아관이어(俄館移御)
(2) 대한제국(大韓帝國)과 광무개혁(光武改革)
(3) 독립협회운동
<보충자료>
1. 문서제목 (8) 朝鮮國大君主竝ニ世子宮露國公使館ニ入御顚末報告
2. 「高宗實錄」(고종 34년 10월 11일(陽曆)/현임 대신과 전임 대신 이하의 관리들을 만나 보다.)
3. 大韓國國制
4. 獨立協會

Ⅱ. 구국 민족운동

1. 러일전쟁과 을사늑약(乙巳勒約)
(1) 러일전쟁(Russo-Japanese Wars)
(2) 을사늑약(乙巳勒約)
<보충자료>
1. 韓日協商條約
2. 間島에 관한 淸·日協約
3. 고종친서 영인사진
4. 國璽 관련 규정
5. 讓位
2. 항일 의병전쟁(抗日 義兵戰爭)
(1) 전쟁과정
(2) 전쟁의 성격
(3) 전쟁의 발전
3. 민족자강운동(民族自强運動)
(1) 민족자강운동의 두 흐름과 운동세력
(2) 민족자강운동의 사상적(思想的) 기반(基盤)
(3) 민족자강운동의 구체적 방법
(4) 민족자강운동의 성격

Ⅲ. 민족해방운동

1. 1910년대 민족해방운동
(1) 일제의 강제병합
(2) 1910년대 일제의 식민통치[무단통치(武斷統治)]
(3) 1910년대 민족운동
<보충자료>
日韓倂合條約
2. 1919년 3ㆍ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1) 1919년 3ㆍ1운동
(2) 대한민국임시정부
<보충자료>
1. 「3ㆍ1운동기 입감자 수」
2. 公約三章(공약 3장)
3. 己未 獨立 宣言書(기미독립선언서)
4.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임시헌장
5. 대한민국 임시헌법
3. 1920년대 민족해방운동
(1) 일제의 식민통치 강화와 문화통치(文化統治)
(2) 1920년대 민족운동의 발전(發展)과 분화(分化)
4. 1930∼40년대 초 민족해방운동
(1) 전시체제기 일제의 식민통치
(2) 1930~40년대 초 민족운동

Ⅳ. 해방 후 민족운동

1. 해방과 분단
(1) 해방의 의미와 과제
(2) 분단, 어떻게 볼 것인가
2. 신탁통치문제와 통일정부수립운동
(1) 신탁통치문제(信託統治問題)
(2) 통일정부수립운동(統一政府樹立運動)
<보충자료>
1. 좌우합작(左右合作) 7원칙(原則)
2. 남북한 단독정부 수립 과정
3. 한국전쟁(韓國戰爭)
(1) 한국전쟁의 기원(起源)과 배경(背景)
(2) 한국전쟁의 전개과정과 성격(性格)
(3) 한국전쟁의 영향(影響)
<보충자료>
이승만 정권의 농지개혁
4. 제1공화국과 4월혁명(四月革命)
(1) 제1공화국: 이승만 정권
(2) 4월혁명(革命)
(3) 제2공화국의 붕괴요인
<보충자료>
大韓民國 行政府
5. 군사정권(軍事政權)
(1) 5ㆍ16군사쿠데타와 제3공화국
(2) 유신체제(維新體制)
(3) 유신체제의 붕괴와 신군부(新軍部)의 등장
<보충자료>
1. 경비사관학교(육사) 졸업생
2. 5ㆍ16군사쿠데타 세력의 ‘혁명공약’
6. 민주화운동(民主化運動)
(1) YH사건과 부마항쟁(釜馬抗爭)
(2) 민주화운동의 전개와 좌절
(3) 5ㆍ18 광주항쟁
(4) 6월시민항쟁

나오는 글
참고문헌

저자소개

박진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원광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대, 원광대, 광주대, 동신대, 열린사이버대학교 등에서 강의하였으며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조선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朝鮮 末期 ‘重記’ 資料를 통해 본 安東鎭과 그 屬邑의 軍備 實態(2017), <朝鮮時代 科擧 合格者를 통해 본 在地士族의 實態(2015), <조선후기 재지사족의 존재 실태와 청원 활동(2015), <鄕校 文書를 通해 본 朝鮮後期 在地士族의 實態와 社會的 連帶(2014), <19世紀 朝鮮 在地士族의 位相 變化와 權益 守護 方式(2013), <17世紀 朝鮮 長興 鄕校의 校奴婢 實態(2012), <朝鮮時代 地方 居住 士族의 社會的 地位 維持 努力과 司馬試(2010), <古文書로 본 17世紀 朝鮮 水軍 軍船의 武器體系(2009), <1693년 ‘重記’를 통해 본 全羅道 羅州 牧의 軍備 實態(2009), <日帝下 羅州郡 社會主導層의 實態와 動向(2007), <朝鮮後期 順天 在地士族의 鄕村支配 實態와 動向(2007), <朝鮮後期 鄕校의 靑衿儒生과 在地士族의 動向(2006), <韓末 羅州邑 鄕吏社會의 持續性과 變化(2005), <朝鮮時代 羅州 地方 吏胥의 組織과 擔當 家系(2005), <朝鮮時代 鄕職運營體系의 變化와 羅州의 戶長層(2004) 외에 여러 편이 있다. 저서로는 《朝鮮時代 鄕吏層의 持續性과 變化》(2007), 《저항과 지향》(2011), 《한국사의 시공》(2012) 등이 있고, 공저로 《한말 일제하 나주지역의 사회변동 연구》(2008)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26819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