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해체와 노스탤지어 (포스트소비에트 문화와 소비에트 유산)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유럽사 > 러시아사
· ISBN : 9788926833780
· 쪽수 : 504쪽
· 출판일 : 2012-02-29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유럽사 > 러시아사
· ISBN : 9788926833780
· 쪽수 : 504쪽
· 출판일 : 2012-02-29
책 소개
'러시아.유라시아 연구시리즈' 12/9권. 담론, 미디어, 문학, 영화, 건축, 뮤지컬 등의 다양한 분야에 걸친 포스트소비에트 문화의 현재적 흐름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이자, 이에 근거한 현대 러시아 문화의 미래적 향방에 대한 총체적인 전망이다. 제1부 '담론', 제2부 '문학', 제3부 '예술'로 구성되었다.
목차
서문
제1부 담론
I. 김현택, 포스트소비에트 러시아 문화와 민족정체성
II. 오원교, 포스트소비에트 시대의 유라시아주의와 동양
III. 이문영, 지구지역적 현상으로서 노스탤지어
- 포스트소비에트 러시아의 과거 활용
제2부 문학
IV. 박미령, 타티야나 톨스타야의『키시(Kblcb)』의 시노하적 상상력
-프로메테우스와 판도라 신화를 중심으로
V. 윤영순, 우리 시대의 고전, 복제와 재생의 미학
- 소로킨의 창작을 중심으로
VI. 이은경, 빅토르 펠레빈의『P세대(Generation)에 나타난』
문화영웅으로서의 '신러시아인'과 민족정체성
VII. 이항재, 현대 러시아 여성소설의 '체르누하'
- L. 페트루셰프스카야의 중·단편을 중심으로
제3부 예술
VIII. 기계형, 포스트소비에트 시대의 러시아영화에 나타난 역사적 재현의 문제들
IX. 김성일, 포스트소비에트 시대 러시아 전쟁영화의 특징
X. 김수환, 알렉세이 우치텔의 영화 [우주를 꿈꾸며]
- 해빙기를 향한 향수 혹은 쓰디쓴 냉소
XI. 박영은, 디지털 게임 서사 모드로 구축된 현대 러시아의 정체성 모색
- 티무르 베크맘베토프의 워치 시리즈를 중심으로
XII. 이지연, 포스트소비에트 문화정체성과 새로운 모스크바 공간의 탄생
XIII. 조유선,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서구 뮤지컬의 수용과 그 명암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