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생산/품질/물류관리
· ISBN : 9788926864715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14-08-1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본 책의 구성
Ⅰ FMEA의 개요
1. FMEA의 탄생
1.1. FMEA 탄생의 시간대별 고찰
1.2. FMEA와 관련된 ‘표준’ 고찰
1.3. FMEA와 APQP
2. FMEA의 활용
2.1. FMEA와 연동되는 기법(Tools)들
2.1.1. FTA(Fault Tree Analysis)와의 연계
2.1.2.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와의 연계
2.1.3. DR(Design Review)과의 연계
2.1.4. 6시그마(Six Sigma)와의 연계
2.2. ‘개발 프로세스’에서의 FMEA 위치와 유형
2.3. FMEA 유형별 특징 및 사례
Ⅱ. FMEA 기본의 이해
1. 공통 사항
2. 기본 정보
2.1. FMEA 정의
2.2. FMEA 목적
2.3. FMEA 활용의 혜택
2.4. ‘고장 모드’ 회피를 위한 정보 흐름과 FMEA 역할
2.5. FMEA 작성 절차
2.6. FMEA 작성 전 준비와 사전 지식
2.7. FMEA 유형별 혜택과 산출물
2.7.1. Concept FMEA의 혜택과 산출물
2.7.2. Design FMEA의 혜택과 산출물
2.7.3. Process FMEA의 혜택과 산출물
Ⅲ. Design FMEA
1. 기본 정보
1.1. 목적
1.2. 고객 정의
1.3. 팀 구성
1.4. 범위(Scope) 설정
1.5. 분석 접근(Analysis Approach)
1.6. Design FMEA 수행을 위한 ‘선행 작업(Prerequisites)’
1.7. ‘선행 작업’을 위한 기법(Tools)들 재검토
1.8. Design FMEA 양식 / ‘Header’ 작성
1.9. Design FMEA 양식 / ‘Body’ 구조
1.10. Design FMEA 양식 / Ford사의 ‘Working Model’
1.10.1. Working Model ‘Step-1’
1.10.2. Working Model ‘Step-2’
1.10.3. Working Model ‘Step-3’
1.11. 「Design FMEA 양식」 각 열의 용법
1.11.1. 아이템 / 기능 / 요구사항 Item / Function / Requirement
1.11.2. 잠재적 고장 모드 Potential Failure Mode
1.11.3. 잠재적 고장의 영향 Potential Eect(s) of Failure
1.11.4. 심각도 Severity
1.11.5. 분류 Classication
1.11.6. 잠재적 고장의 원인 / 메커니즘
Potential Cause(s) / Mechanism(s) of Failure
1.11.7. 발생도 Occurrence
1.11.8. 현 (설계)관리(예방/검출) Current Design Controls
1.11.9. 검출도 Detection
1.11.10. RPN(Risk Priority Number)
1.11.11. 권고 조치 사항 Recommended Action(s)
1.11.12. 책임자 및 목표완료 예정일
Responsibility & Target Completion Date
1.11.13. 조치 내용 Actions Taken
1.11.14. 심각도 / 발생도 / 검출도 / RPN Resulting RPN
1.12. Design FMEA 작성 예
2. 사후 관리
2.1. Design FMEA의 유지
2.2. 기존 Design FMEA의 이용
Ⅳ.Process FMEA
1. 기본 정보
1.1. 개요
1.2. Process Flow Diagram(프로세스 흐름도)
1.3. Process FMEA 양식 / ‘Header’ 작성
1.4. Process FMEA 양식 / ‘Body’ 구조
1.5. Process FMEA 양식 / Ford사의 ‘Working Model’
1.5.1. Working Model ‘Step-1’
1.5.2. Working Model ‘Step-2’
1.5.3. Working Model ‘Step-3’
1.6. 「Process FMEA 양식」 각 열의 용법
1.6.1. 프로세스 기능 / 요구사항
Process Step-Function / Requirement
1.6.2. 잠재적 고장 모드 Potential Failure Mode
1.6.3. 잠재적 고장의 영향 Potential Eect(s) of Failure
1.6.4. 심각도 Severity
1.6.5. 분류 Classication
1.6.6. 잠재적 고장의 원인 / 메커니즘
Potential Cause(s) / Mechanism(s) of Failure
1.6.7. 발생도 Occurrence
1.6.8. 현 프로세스 관리(예방/검출) Current Process Controls
1.6.9. 검출도 Detection
1.6.10. RPN(Risk Priority Number)
1.6.11. 권고 조치 사항 Recommended Action(s)
1.6.12. 책임자 및 목표완료 예정일
Responsibility & Target Completion Date
1.6.13. 조치 내용 Actions Taken
1.6.14. 심각도 / 발생도 / 검출도 / RPN Resulting RPN
1.7. Process FMEA 작성 예
2. 사후 관리
2.1. Process FMEA의 유지
2.2. 기존 Process FMEA의 이용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