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학교/학습법
· ISBN : 9788926867273
· 쪽수 : 270쪽
· 출판일 : 2014-11-20
책 소개
목차
제1장 | 당신은 학교의 고객인 학부모인가
01 학부모는 학교의 ‘고객’ 중의 ‘고객’이다
02 학부모 포지션과 교육권
03 벌떡 학부모와 얌전한 학부모
04 과연 학부모 이기주의인가
05 학부모 권리주장은 프로 학부모의 역량
06 학부모가 교육 전문가로 거듭나는 방법
07 자녀의 학교생활 위기는 예방이 최고다
08 교사와 학부모의 인간관계
09 학부모의 민원을 이렇게 대우하도록 주장하라
10 서비스를 향상하도록 가르치고 경종을 울려라
제2장 | 학교 민원, 그 본질을 생각하다
01 공교육의 질은 학부모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
02 민원, 교육수요자의 적극적인 의사표시
03 학교 민원은 학교의 윤활유이면서 행운의 열쇠이다
04 교직원의 경각심과 책임을 높여 교육을 완성한다
05 학부모는 학습하고 교육은 변화한다
06 학교와 친해지고 자녀와의 관계가 개선된다
07 민원관계는 사실 대립관계 또는 인식 차이
08 학교 민원의 발생 원인은 학교의 불만사항
09 바람직한 학부모상을 실천해야 착한 민원인이 된다
제3장 | 학교 방문 요령과 대화하는 방법
01 학교 방문으로 대화하라
02 학교 방문 요령은?
03 효과적인 민원접수를 위한 올바른 대화 요령
04 비협조적인 교직원과의 대화 요령
05 민원 대화를 효과적으로 하는 협상 노하우
06 인터넷 학부모서비스와 정보공시제 활용
07 이런 학부모는 교권침해 가능성이 있다
제4장 | 학교 민원 처음부터 끝까지
01 학교 민원 제출 시 체크포인트
02 민원인과 민원의 기초
03 이런 문제는 학교 민원 종류 중 어디에 해당할까
04 학교 민원서 작성 요령
05 학교 민원의 제출과 처리 흐름
06 학교에 요구할 수 있는 것들
07 학교 민원 사안 조사 절차
08 학교에 제도개선을 요구하다
09 학교의 민원회신
10 국가의 다른 제도를 함께 활용하는 방법
제5장 | 학교 답변에 대한 학부모 대응전략
01 학교 측 답변의 불완전성
02 학교 측의 민원회신에 대한 태도
03 학교가 보내준 답변의 유형을 나눠라
04 학교가 민원요구를 거절하는 이유와 대응
05 특정 사건에 대해서 사안 조사를 요구
06 1차에서 2차 민원으로 달려가는 방법
07 학부모 단체, 인터넷, 언론을 이용하기
08 만족스러운 처리에는 응답하는 습관을 지녀라
제6장 | 학부모의 만족과 학교의 책임
01 학부모가 만족해야 민원이 끝난 것이다
02 학교 민원서비스 불만 유형
03 학교와 학부모가 신뢰를 구축하는 구체적 방안
04 학부모의 요청과 책임의 원칙
05 학교 민원 승리를 홍보하고 싶다
06 학교에 교직원의 신분상 조치를 요구
07 학교 민원 만족도를 제고하는 교직원의 책임
제7장 | 곤란한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기술
01 민원을 내면 꼬리표가 생길까
02 민원보다는 참는 것이 편한가
03 학부모로서 민원인이 되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데
04 학부모로서 민원을 계속 끌고 나가는 것이 힘들다
05 교사가 교권침해라는 말을 쓰는데
06 대화로 할 것인가, 법에 호소할 것인가
07 학교가 교직원 사기가 우선이라고 주장할 때
08 학부모와 학교장의 의사결정 대립
09 교사 수준의 전결처리 믿을 수 있나
제8장 | 사례별로 찾아보는 학교 민원 백과
01 학생 교육활동 관련 사항
02 교사에 대한 불만 사항
03 학교 운영 문제와 제도
저자소개
책속에서
학교 교감 선생님을 민원 창구로 볼 수 있는지?
학부모가 학교장에게 직접 전화하여 통화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교장 선생님과 통화를 하는 것이 속이 시원하다. 그렇지만 일상적인 민원은 대개 학교 교감 선생님과 연락하여 민원을 해결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학부모들은 소소한 일은 학교 교사와 직접 연락을 하게 된다. 그런데 학교에는 학급운영에 관한 민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인근 주민이 ‘운동장 체육활동이 시끄럽다’고 하는 민원을 제기할 경우 이것을 처리해야 하는 등 여러 가지 민원을 처리해야 하므로 각종 민원에 대해서 주로 학교 교감 선생님이 민원창구가 된다.
학교 교감은 근무 중에 학부모나 학생, 교사들이 제기하는 각종 학교운영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거나 개선하는 역할을 해야 하고, 전화 등으로 제출하는 학부모의 민원사항을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학부모는 학교 민원을 위해서 학교 교감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PART 2. 모든 문제의 답은 결국 학교에 있다」 중에서
자녀의 학급교체를 요구할 수 있는지, 아니면 담임이나 담당 교사를 교체해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지?
학교현장에서 민원 등과 관련하여 학부모가 학급담임 교체를 요구하는 경우가 왕왕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학교운영과 인사관리 측면에서 제도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이다. 학생과 교사가 문제가 발생하면 학부모 입장에서는 반을 바꾸어달라고 요구할 수 있다. 부부간에도 성격이 너무 맞지 않으면 따로 사는 사람이 있는 것처럼 자녀와 학급이 사건·사고 다발 등 이런저런 이유로 특별하게 맞지 않으면 안전한 학교생활을 위해 학급교체를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학급교체의 경우 학교폭력사안의 경우 법령에 명시된 대로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가 이러한 심의를 하는 경우도 있다.
학부모가 담임교사에게만 문의하면 담임교사가 행정적으로 잘 몰라서 학생의 학급교체가 불가능하다고 답변할지도 모를 일이다. 담임교사에게 부탁할 경우 모든 것을 다 알지 못하는 교사 한 명의 판단으로 처리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학교조직 전체가 고민하여 입장이나 답변을 정리하도록 내용증명 등 서면으로 민원을 제출하여 공문으로 답변을 받거나 상급 교육청에도 문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PART 3. 학교 민원, 이럴 때 이렇게 하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