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88926881071
· 쪽수 : 492쪽
· 출판일 : 2017-08-2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일러두기
프롤로그
제1장 그러므로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라
대우받는(?) ‘주의 기도’∣오해받는 ‘주의 기도’∣“그러므로 너희는”∣과시적 기도: 종교적 뮌하우젠증후군∣엔 토 크륍토: 천국의 은밀함∣기복적 기도: ‘비난수’를 경계하라∣주기도문의 복음∣“이렇게 기도하라”: 신앙과 삶의 대(大)원리
제2장 하늘들에 계신
절망과 믿음∣절망에서 시작되는 생의 호흡∣4단계 영생 솔루션∣영생으로 이어지는 절망∣절망: 구원과 창조의 카이로스∣십자가(1): 절망과 구원의 크로스∣십자가(2): 공의와 사랑의 크로스∣절망 휴머니즘: 소망의 묘상(苗床)∣‘코람 데오’의 절망: 계시와 구원의 카이로스
제3장 우리 아버지
예수의 새 가족: 메시아닉 패밀리∣신의이행자: 심판의 증인∣메시아의 천부관: 은밀성∣식음의(食飮衣): Want? Need?∣식음의 DNA: 실낙원의 유전자∣천부의 은밀성: 복낙원의 원리∣천부의 가족공동체
제4장 (첫 번째 기도) 아버지의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소서
천부의 이름∣천부의 명예 고양과 훼손∣우상숭배와 명예훼손∣예배와 예배자∣주인에게 합당한 예우∣창조주에 합당한 예우∣창조주의 아바타∣창조주에 대한 예우(1): 사람과 자연을 통한 예우∣창조주에 대한 예우(2): 음식물을 통한 예우
제5장 (두 번째 기도) 아버지의 나라가 임하소서
땅에 임하는 하늘나라: 이미? 아직?∣하늘나라의 표징∣땅에 임한 하늘나라(1): 땅의 부정과 하늘의 구원∣땅에 임한 하늘나라(2): 땅의 긍정과 하늘의 심판
제6장 (세 번째 기도) 아버지의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제1반제와 제2반제의 신의(神意)∣구약성서의 신의(神意) vs. 인의(人意)∣실낙원의 진짜 이유: 남 탓 vs. 내 탓∣‘내 탓’: 대속 휴머니즘∣제5반제와 제6반제의 신의(神意)∣신의와 심판∣인의에 의한 신의의 왜곡∣천국비유의 신의 vs. 인의∣1 vs. 99∣신의(神意)의 아이콘: 은밀 휴머니즘
제7장 (네 번째 기도) 오늘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옵소서
재물 쌓기∣공중의 새, 들의 백합화∣은혜 휴머니즘∣오늘의 양식: 고난 중 은혜∣은혜와 행위의 역학 관계∣은혜의 배타적 가치∣은혜 사모곡(思母曲)
제8장 (다섯 번째 기도) 우리가 우리에게 죄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우리의 죄를 사하여 주소서
‘do ut des’(쌍무계약) 기도∣‘their debts’, 왜 없을까?∣속죄 은총의 본질∣인간은 ‘빚진 자’∣빚진 자 휴머니즘: 삶의 대칙∣광야발 개혁의 신호탄∣천국비유의 빚진 자 휴머니즘
제9장 (여섯 번째 기도) 우리를 시험에 들지 않게 하시고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전반부: “우리를 시험에 들지 않게 하소서”∣첫 번째 시험∣두 번째 시험∣세 번째 시험∣후반부: “우리를 악에서 구하소서”
에필로그
감사의 글
참고문헌
색인
저자소개
책속에서
지난 2,000년 동안 제도권 기독교는 성서를 보존하겠다는 충정(?)으로 성서를 지켜줄 수많은 교리, 전통, 관습들(도그마)을 생성해왔다.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기독교 도그마는 성서를 튼튼하게 에워싸기 시작했다. 냉혹한 속성의 도그마는 곧바로 두꺼운 얼음층을 형성하였고 얼음층은 이내 얼음성이 되었다. 기독교는 도그마의 얼음성 안에 안주하여 거대한 종교 헤게모니를 구축해나갔고 도그마의 빙벽에 갇힌 성서는 점차 제 목소리를 잃어버렸다.
프롤로그 中
국가는 왜 사회적 약자들, 기본생활권을 위협받는 소외계층에게 복지 혜택을 주어야 하는가? 왜 한국 교회는, 화려하고 웅장한 교회당의 문턱을 들어서지 못해 좌절하고 방황하는 한 마리 양을 위해, 돌 위에 돌 하나도 남기지 않겠다는 결연한 각오로 환골탈태해야만 하는가? 이유는 자명하다. 그 한 사람이 창조주의 형상을 가진 창조주의 아바타이기 때문이다.
제4장 中
그들은 신의 마음과 뜻을 헤아리려 하기 보다는 자기들의 노력으로 신을 움직여서 복을 끌어내려 한다. 그들은 순복의 대상으로서의 신보다는 강복의 주체로서의 신을 원한다. 경청의 대상으로서의 신보다는 인간의 섬김을 받고 군림하는 군주와 같은 신을 상정(想定)한다. 인간들의 ‘신 만들기’는 이렇게 이뤄진다. 인간의 정성과 예물을 받고 그에 대한 보상으로 복을 내리는 신은 그렇게 인조(人造) 된다.
제6장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