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직업교육/사회교육
· ISBN : 9788926881453
· 쪽수 : 314쪽
· 출판일 : 2017-12-04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PART 01 진로는 나를 찾는 여정이다
1. 진로교육 소개
- 하고 싶은 것도 되고 싶은 것도 없어요.
2. 진로교육의 목표
- 전공이 적성과 맞지 않아요.
3. 자기이해의 중요성
- 문과로 가야 할까요? 이과로 가야 할까요?
4. 다중지능이론
- 남들보다 잘하는 게 있다면 좋을 텐데, 전 잘하는 게 없어요.
PART 02 진로코칭에는 전문성이 필요하다.
5. 중학교에서의 진로지도
- 매일매일 꿈이 변해요.
6. 고등학교에서의 진로지도
- 선생님, 저는 백댄서가 되고 싶어요.
7. 학생부종합전형을 대비한 진로교육
- 외과의사에게 무엇이 필요할까요?
8. 취업 준비와 진로 의사결정
- 제 스펙이 문제인가요?
PART 03 진로 고민은 계속된다
9. 진로교육에서 학부모의 역할
- 헬리콥터 맘을 아시나요?
10. 진로 가치관
- 하고 싶은 일이 있지만,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일은 아닌 것 같아요.
11.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 저에게 딱 맞는 직업을 갖고 싶어요.
12. 생애설계로서의 진로설계
- 다시 시작하고 싶어요.
부록(부모, 진로코치를 위한 제언)
에필로그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무조건 S대 입학만을 꿈꾸던 범이는 수능을 치르고 S대 풍물놀이학과에 진학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토록 꿈꾸던 S대에 들어왔건만 1학기를 마칠 즈음 범이는 진로 고민에 휩싸이고 말았다.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은 범이의 관심사가 아니었고 앞으로 어떻게 진로를 개척해 나가야 할지 막막하기만 했으며 자기가 원하는 공부가 무엇인지 알 수 없어졌기 때문이다. 대학에 오면 모든 것이 해결될 줄 알았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암담하기만 하다.
- <진로교육의 목표> 상담 사례 中
개인이 직업적으로 어떻게 발달할 수 있는가를 이해하는 이론적 기초는 상담자에게 문제를 해결하고 난관을 피하며 효율적으로 발전시키도록 돕는 지침이 된다. 진로발달이론은 비교적 새로운 학문 분야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산적이고 창조적인 연구와 이론들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 이유는 이론이 실제 활동을 위한 기본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진로발달이론 학자 중에서 수퍼(D. Super)는 직업선택이론에서 직업선택 발달이 인생의 전 생애에 걸쳐서 발달·변화한다고 주장하였다.
- <중학교에서의 진로지도> 中
꼭 박태환이나 김연아 선수처럼 어떤 영역에서 뛰어난 기록을 세워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학생들이 다소 오해하는 부분이 있는데 학생부종합전형을 통해 대입을 준비할 때 올림픽과 같은 큰 시합에서 우승을 하거나 장관 표창 정도의 큰 상을 받지 않으면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하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대외적으로 뛰어난 성과 없이도 학생부종합전형을 통해 얼마든지 입시를 준비할 수 있다. 여기에 한 가지 사례를 들어 보도록 하자.
- <학생부종합전형을 대비한 진로교육>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