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27804802
· 쪽수 : 351쪽
· 출판일 : 2013-09-25
책 소개
목차
서문1_ 북한을 보는 중국의 본심 _정덕구
서문2_ 북중관계는 임계점에 도달했는가? _추수롱
I. 변하고 있는 북중관계
1장 새로운 북중관계의 시대,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 _김흥규
2장 중국의 대 한반도 정책은 변화하고 있는가? _자오밍하오
3장 북중관계에 대한 미국의 시각과 전략은 무엇인가? _이상현
4장 북중관계에 대한 일본의 시각과 전략은 무엇인가? _박영준
II. 애증의 북중관계
5장 북한의 대중정책에 영향을 미친 내부적?역사적 요인은 무엇인가? _이호령
6장 북중관계의 특수성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_박병광
7장 북한에게 중국은 어떤 존재인가? _최용환
8장 북한의 자주외교에 중국은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 _임수호
9장 중국 내 대북정책 논쟁, 핵심은 무엇인가? _최명해
10장 북한 정권의 구원자는 누구인가? _최진욱
III. 딜레마에 빠진 중국의 북핵 정책
11장 북한의 핵실험에 대한 중국의 입장은 어떻게 변화해왔는가? _이기현
12장 중국은 UN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안을 충실히 이행했는가? _이영학
13장 북핵 문제에 대한 중국의 출구전략은 무엇인가? _박동훈
14장 3차 핵실험 이후 중국의 대북제재와 북한의 대응은 어떠했는가? _황지환
15장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서 한국과 중국은 어떻게 협력해야 할 것인가? _이창형
IV. 동상이몽의 북중 경제관계
16장 북한과 중국은 왜 경제협력을 강화하고 있는가? _김중호
17장 중국은 북한의 개혁과 개방을 유도할 수 있는가? _조봉현
18장 북중 접경지역의 경제협력, 어디까지 왔는가? _린진수
19장 중국은 창지투 개발을 통해서 무엇을 얻으려 하는가? _리종린
20장 핵개발이 북한의 재정 상태와 정권 안정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 _장형수
V. 북중관계의 미래
21장 북한은 중국의 전략적 자산이 될 것인가, 전략적 부담이 될 것인가? _신상진
22장 북중관계, 어디로 가고 있는가? _뤼차오
23장 북한의 사태가 급격히 변할 시 중국은 개입할 것인가? _신종호
24장 중국의 대북정책, 어떻게 변해야 하는가? _진창이
맺음말_ 한국의 전략적 선택 _장달중 / 김흥규
책속에서
이제 중국은 열쇠 구멍으로 보던 세계관에서 지구본을 돌리며 넓은 시야와 긴 안목으로 국가의 안위와 생존을 도모해야 하는 단계에 접어들었다. 대륙 세력에서 본격적인 해양 세력의 일부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국내 문제를 해결하고 미국과 적절히 타협해야 한다. 크기만 커진 배추의 속을 채울 때까지는 미국의 도움과 협력이 절실하다. 이런 새로운 시각으로 본다면 북한에 대한 중국의 비중과 존재감은 크게 달라진다. 국제사회 거의 모든 국가가 극렬히 반대하고 있으며 중국에 간접적인 위해 요인이 되는 북한의 핵무장을 묵인할 경우 중국이 치러야 할 전략적 손실이 더욱 크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 17쪽, ‘서문1_ 북한을 보는 중국의 본심’ 중에서
중국 신 지도부의 대한반도 정책에 있어서 또 하나의 특징은 미국, 한국과의 전략적 소통 증진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는 것이다. 즉 대북정책을 결정함에 있어 중미관계, 중한관계를 더 많이 고려하게 된 것이다. 시진핑 등 지도자들은 고도의 강한 실무주의 정신을 가지고 있으며, 넓은 국제적 시야와 먼 미래를 내다보는 안목을 가지고 있다. 이에 그들은 한반도 정세와 비핵화 문제가 비록 사소한 일일지라도 그것이 중국의 외교와 국익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매우 잘 이해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 신 지도부는 보다 적극적인 태도와 전략적인 방식으로 위기를 관리하고 한반도 국면을 완화하고자 한다.
― 55쪽, ‘2장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은 변화하고 있는가’ 중에서
북중관계가 보여온 곡절과 전환의 역사는 양국관계를 보는 우리의 인식과 접근법이 보다 냉철하고 객관적이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아울러 북중관계에 대한 평가와 전망이 신빙성을 담보하려면 보다 장기적인 호흡과 관점으로 양국관계를 들여다보는 노력이 요구된다. 즉 북중관계의 특수성을 대표하는 일회적 사건들에 대한 단순한 평가나 기술보다는 북중 양자관계의 배경과 형성 과정, 그리고 구조에 대한 장기적이고 역사적인 관점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북중관계의 특수성과 복잡성은 단순히 어느 한 시점의 사건에서 연유하는 것이 아니라 베일에 가려진 양국관계의 독특한 관계발전사 속에서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북한의 핵실험으로 북중 양국의 일시적 긴장관계가 반복될 때마다 이로 인해 중국의 대북정책이 전환되고 북한에 대한 전략적 노선 변화가 있으리라고 기대하거나 예측하는 것은 순진한 발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109~110쪽, ‘6장 북중관계의 특수성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