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성씨 족보 양반

성씨 족보 양반

(한권에 담은)

홍현국 (지은이)
국학자료원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650원 -5% 0원
770원
24,8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7개 9,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성씨 족보 양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성씨 족보 양반 (한권에 담은)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민속학
· ISBN : 9788927908531
· 쪽수 : 505쪽
· 출판일 : 2014-08-31

목차

◆ 추천사 / 序文 一. 성씨(姓氏)

1. 우리나라 성씨(姓氏)의 발생과 시대별 변천 17
가. 삼국(三國) 및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 18
나. 고려시대(高麗時代) 25
다. 조선시대(朝鮮時代) 31
라.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32

2. 본(本) 36
가. 의의(意義) 36
나. 기원(起源) 38

3. 한국성씨(韓國姓氏)의 연원과 특성 42
가. 연원 43
나. 특성 63
다. 같은 성족(姓族)의 집성촌(集姓村) 형성 65

4. 한국성씨의 본관별 현황 76
二. 족보(族譜)
1. 족보(族譜)의 의의(意義) 96
2. 족보(族譜) 편찬의 목적 97
3. 족보(族譜)의 유래 99
4. 우리나라 최초(最初)의 족보(族譜) 102

5. 족보(族譜)의 종류와 명칭 106

6. 족보 구성(構成)의 체계 108
가. 서문(序文)과 발문(跋文) 109
나. 기(記) 또는 지(誌) 109
다. 범례(凡例) 111
라. 전체세계도(全?世系圖) 112
마. 인별계보표(人別系譜表) 114

7. 족보(族譜)의 변천(變遷) 120
가. 조선시대의 사회변화 120
나. 제책(製冊)의 변화(變化) 128
다. 수록자손(收錄子孫) 범위의 변화 128
라. 남녀 수록순서의 변화 130
마. 편제양식의 변화 132

8. 족보의 진정성(眞正性) 137
가. 시조(始祖) 또는 비조(鼻祖)에 대한 과시 138
나. 세계(世系)의 조작(造作) 140
다. 명문가(名文家)에 연접 142
라. 계보(系譜)를 알 수 없는 자의 족보 편입 143

9. 족보(族譜)에 등재된 본인(本人)의 계보(系譜)에 대한검증 149
가. 이전의 족보(族譜)에 본인(本人) 선대(先代)의 누락 150
나. 직계 세별(世別) 차이가 50년이 넘는 경우 150
다. 나이가 많은데도 불구하고 족보상 서열이 아래로 등재된 경우 152
라. 별보(別譜) 또는 별파(別派)로 있다가 합본(合本)된 경우 152
마. 종원(宗員) 중에서 항렬(行列)이 특히 높은 경우 153
바. 족보(族譜)에 기재(記載)된 용어의 차별화 154

10. 족보(族譜)에서 나를 찾는 방법 155

11. 족보(族譜)의 사료(史料)로서의 가치(價値)와 과제 156
가. 족보(族譜)의 가치(價値)와 평가 157
나. 다른 나라의 족보 실태 158
다. 족보에 관련된 과제 160

12. 족보와 관련된 용어해설 162
가. 족보의 여러 가지 명칭 162
나. 씨족(氏族) 관련 명칭 165
다. 족보에 기록되는 용어 183

三. 양반(兩班)
1. 양반이란? (개념정립) 209
2. 양반신분의 획득 213
가. 양반신분의 시원(始原)과 고려시대 지배층의 성격 213
나. 조선시대 양반신분의 획득 217

3. 양반의 종류 218
4. 권세를 기반으로 한 양반 220
가. 벌족(閥族) 가문 220
나. 공신(功臣) 가문 258
다. 왕실(王室)의 종친(宗親)과 외척(外戚) 가문 278
라. 호당(湖堂) 입록 가문 317
마. 문과(文科) 급제 가문 324

5. 덕망을 기반으로 한 양반 346
가. 문묘배향(文廟配享) 가문 346
나. 대제학(大提學 : 文衡) 배출 가문 359
다. 시호(諡號)를 받은 가문(家門) 364
라. 청백리(淸白吏) 가문 372
마. 불천위(不遷位) 제례를 지내는 가문 381
바. 서원배향유현(書院配享儒賢) 가문 387

6. 양반신분의 유지 429
가. 사환(仕宦)을 위한 부단한 노력 432
나. 도학자(道學者)의 배출 및 학맥(學脈) 형성 434
다. 격(格)에 맞는 혼반(婚班) 유지 450
라. 유교문화에 따른 생활규범 471

7. 양반문화의 현주소 482
가. 산업자본주의의 등장 483
나. 정치적 변혁 484
다. 집성반촌의 붕괴 485
라. 새로운 사상의 유입과 교육, 생활환경의 변화 486
마. 현 주소 487

맺음말 495

저자소개

홍현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