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28405725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19-01-04
책 소개
목차
일러두기∙4
해제 포은 정몽주의 생애와 학문|박대현∙23
고려 시중 포은 정 선생 유상 高麗侍中 圃隱鄭先生遺像∙59
포은선생시권 서 圃隱先生詩卷序|권채 權採∙60
포은선생시집 서 圃隱先生詩集序|노수신 盧守愼∙65
포은선생시고 서 圃隱先生詩藁序|변계량 卞季良∙71
포은선생시권 서 圃隱先生詩卷序|하륜 河崙∙75
포은선생시권 서 圃隱先生詩卷序|박신 朴信∙77
포은집 제1권
시詩
3월 19일에 바다를 건너 등주의 공관에 묵었다. 곽 통사와 김 압마가 바람에 배가 막혀 아직 도착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대로 머물며 기다린 것이다 三月十九日 過海宿登州公館 郭通事金押馬 船阻風未至 因留待∙87
봉래역에서 한 서장관에게 보이다 蓬萊驛 示韓書狀∙89
용산역 龍山驛∙90
황산역 길에서 黃山驛路上∙91
제교역 벽에 적다 書諸橋驛壁上∙92
내주 해신묘 萊州海神廟∙93
교수현에서 서 교유 선 와 작별하다 膠水縣別徐敎諭 宣∙94
구서역에서의 나그네 밤 客夜在丘西驛∙95
4월 1일 고밀현에서 꾀꼬리 소리를 듣다 四月初一日 高密縣聞鸎∙96
한 총랑의 압록강 시에 차운하다 次韓摠郞鴨綠江詩韻∙97
일조현 日照縣∙98
술을 마시다 飮酒∙99
공유현에 묵다 宿贛楡縣∙100
산동의 길을 가다 山東途中∙101
종성과 종본 두 아이를 생각하다 憶宗誠宗本兩兒∙102
왕방역에서 요동 정 진무 재 에게 주다 王坊驛贈遼東程鎭撫 載∙103
상장역에서 고 시랑에게 주다 上莊驛贈高侍郞∙106
이도은, 정삼봉, 이둔촌 세 군자를 그리워하다
有懷李陶隱鄭三峯李遁村三君子∙107
산동 노인 山東老人∙108
제성역의 밤비 諸城驛夜雨∙109
금성역에서 송경의 벗들을 그리워하다 金城驛懷松京諸友∙110
동양역의 매와 곰을 그린 벽화를 진 교유의 운을 써서 노래하다
僮陽驛壁畫鷹熊 歌用陳敎諭韻∙111
한신묘 韓信墓∙114
표모의 무덤 漂母塚∙115
4월 14일에 회음수역에서 배에 오르다 四月十四日 淮陰水驛登舟∙116
회음역에서 길이 나뉘어 방 진무를 작별하다 淮陰驛分道 別龎鎭撫∙117
배로 회음을 출발하여 보응현으로 향하다 舟發淮陰 向寶應縣∙118
범광호의 새벽 경치 范光湖曉景∙119
내가 본국에 있을 때 제교 설 선생의 이름을 익히 들었다. 지금 이 역을 지나가면서 밤길이 바빠 찾아뵙는 예를 전혀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길에서 칠언 율시를 읊어 뒷날 만나기를 꾀한다 僕在本國 飽聞諸橋薜先生之名 今過是驛 莫夜悤悤 殊失謁見之禮 路上吟成七言唐律 以圖後會云∙120
꿈 夢∙121
고우호 高郵湖∙122
고우성 高郵城∙123
여행 중에 스스로 위로하다 客中自遣∙124
양주 楊州∙125
함께 가는 젊은이에게 재미 삼아 주다 戲贈偕行年少∙126
진주 眞州∙127
양주 죽서정에서 송경의 벗들을 그리워하다 楊州竹西亭 懷松京諸友∙128
배 안의 미인 舟中美人∙129
4월 19일에 강을 건너 용담역에 이르다 절구 2수
四月十九日渡江 至龍潭驛 二絶∙130
남경에 들어가다 入京∙131
황도 4수 皇都 四首∙132
두 번째 其二∙133
세 번째 其三∙134
네 번째 其四∙135
남경을 나서다 出京∙136
백로주에 배를 대다 舟次白鷺洲∙137
양자도에서 북고산을 바라보며 김약재를 애도하다
楊子渡 望北固山悼金若齋∙138
고우호 배 안에서 高郵湖舟中∙139
배 안의 밤 흥취 舟中夜興∙140
남쪽을 바라보다 南望∙141
요동 방 진무의 부채에 적다 題遼東龎鎭撫扇∙142
단옷날 재미 삼아 적다 端午日戲題∙143
길을 가다 비를 만나다 途中遇雨∙144
호수에서 물고기를 구경하다 절구 2수 湖中觀魚 二絶∙145
제성현에서 퉁소 소리를 듣다 諸城縣聞簫∙146
길가의 버드나무 路傍柳∙147
공 주사에게 주다 贈孔主事∙149
석교포에서 도 포사에게 보이다 石橋鋪 示陶鋪司∙150
즉묵현 卽墨縣∙151
전횡도 田橫島∙152
봉래각 蓬萊閣∙153
사문도 沙門島∙154
철산 鐵山∙155
여순역에서 역을 관장하는 마 진무에게 드리다 旅順驛 呈管驛馬鎭撫∙156
여순역에서 비에 막히다 旅順驛阻雨∙157
금주에서 위 지휘사 댁의 매 그림을 보고 짓다
金州韋指揮宅畫鷹 走筆∙158
화각 소리를 듣다 聞角∙159
안시성에서 옛일을 생각하다 安市城懷古∙160
양자강 楊子江∙161
태평소 太平簫∙162
이적이 싸우던 곳 李勣戰處∙163
야항 野航∙164
복주 관사 안의 우물 復州館中井∙165
사행이 복주에 머물 때 왕 지휘사에게 올리고 겸하여 여러 지휘사 상공에게 드리다 2수 行次復州 呈王指揮 兼簡列位指揮相公 二首∙166
양 지휘사에게 올리다 呈楊指揮∙168
복주역의 밤비 復州驛夜雨∙169
양주에서 비파를 먹다 楊州食枇杷∙170
복주에서 앵두를 먹다 復州食櫻桃∙171
갠 날씨를 기뻐하다 喜晴∙172
경성에서 오이를 먹다 京城食瓜∙173
연뿌리를 먹다 食藕∙174
웅악의 옛 성 熊嶽古城∙175
개주에서 묵다 宿蓋州∙176
요하의 조운 遼河漕運∙177
사탕수수 甘蔗∙178
개주에서 빗속에 머물며 뒤처진 사람을 기다리다
蓋州雨中 留待落後人∙179
회동관의 버드나무 會同館柳∙180
조복을 하사받고 하례를 행하다 蒙賜朝服行賀禮∙181
개주관의 버드나무 蓋州館柳∙182
발해의 옛 성 渤海古城∙183
새벽 북소리를 듣다 聞曉鼓∙184
윤주를 바라보다 望潤州∙185
강남에서 도은을 생각하다 江南憶陶隱∙186
시를 읊다 吟詩∙187
밤 흥취 夜興∙188
더운물에 목욕하다 湯浴∙189
강가에서 주 좌참을 생각하다 절구 2수 江上憶周左參 二絶∙190
강남곡 江南曲∙191
정부의 원망 절구 2수 征婦怨 二絶∙192
발해에서 옛일을 생각하다 渤海懷古∙193
임자년 10월 12일에 남경을 출발하여 진강부 단도역에 묵다
壬子十月十二日發京師 宿鎭江府丹徒驛∙194
금산사 金山寺∙195
상주에서 제야에 여러 서장관에게 주다 常州除夜 呈諸書狀官∙196
태창에서 9월에 공부 주사 호련에게 주다
大倉九月 贈工部主事胡璉∙198
태창의 9월 大倉九月∙199
용강관 龍江關∙201
과주 임자년 4월 瓜州 壬子四月∙202
강남의 버드나무 江南柳∙203
양자강 배 위에서 楊子江船上∙204
등주의 선사 登州仙祠∙205
등주에서 바다를 건너다 登州過海∙206
패란점 길 위에서 孛蘭店路上∙207
양자강 길에서 在楊子江路上∙208
다경루에서 계담에게 주다 多景樓贈季潭∙209
오호도 嗚呼島∙210
양자강 楊子江∙211
고소대 姑蘇臺∙212
급체포 急遞鋪∙213
탕참에서 묵다 宿湯站∙214
의주에 이르러 말을 점검하여 강을 건너보내다 到義州 點馬渡江∙215
홍무 정사년에 사명을 받들고 일본에 갔을 때 지은 시
洪武丁巳 奉使日本作∙216
관음사에서 노닐다 遊觀音寺∙222
다시 이 절에서 노닐다 再遊是寺∙223
포은집 제2권
시詩
계묘년 8월에 한 원수의 동쪽 정벌 길을 따라 함주에 이르렀는데 병마사 나공이 정예병을 거느리고 서북면 정벌을 도우러 떠나다 癸卯八月 從韓元帥東征到咸州 兵馬使羅公率精兵助征西北∙227
화주의 밤비 和州夜雨∙228
함주에 이르러 척약재의 시에 차운하다 至咸州 次惕若齋詩∙229
한림으로서 종군하는 달가에게 부치다 김구용 寄達可翰林從軍 金九容∙229
정주에서 중구일에 한 상공이 짓기를 명하다 定州重九 韓相命賦∙231
안변성루 安邊城樓∙232
갑진년 추석에 감회가 있어 甲辰中秋有懷∙233
홍무 임술년에 이 원수의 동쪽 정벌 길을 따라가다
洪武壬戌 從李元帥東征∙235
단주성 端州城∙236
비를 무릅쓰고 동쪽 함주로 가다 咸州東行冒雨∙237
추석 中秋∙238
여진 지도 女眞地圖∙239
독올관 禿兀關∙240
삼산 三山∙241
함주 咸州∙242
이 시중의 안변루 시에 차운하다 次李侍中安邊樓詩韻∙243
남경으로 돌아가는 도사 서사호를 전송하다 送徐道士師昊還京師∙244
남경으로 돌아가는 예부 주사 임실주를 전송하다
送禮部主事林實週還京師∙245
다시 임 주사에게 주다 重贈林主事∙248
절동으로 돌아가는 조마 호해를 전송하다 送胡照磨海還浙東∙251
항주 사신을 전송하다 送杭州使∙252
을축년 9월에 중국 사신 학록 장보와 전부 주탁을 모시고 서경의 영명루에 올라 판상의 시에 차운하다 乙丑九月 陪天使張學錄溥 周典簿倬 登西京永明樓 次板上韻∙253
홍무 을축년 9월에 칠참으로 가는 말 위에서 강남 사신 장보의 시에 차운하다 洪武乙丑九月 七站馬上 次江南使張溥詩韻∙254
을축년 9월에 중국 사신 주탁에게 주다 乙丑九月 贈天使周倬∙255
요동 사신 상린에게 주다 贈遼東使桑麟∙256
조정으로 돌아가는 학록 장보를 전송하다 送張學錄溥還朝∙258
조정으로 돌아가는 전부 주탁을 전송하다 送周典簿倬還朝∙259
요동 섭 도지휘사께 올리다 上遼東葉都指揮∙260
요동 매 도지휘사께 올리다 上遼東梅都指揮∙261
호송하는 요동 임 진무를 송별하다 送別護送遼東任鎭撫∙262
요동 왕 경력과 왕 도사 두 상공에게 부치다
寄遼東王經歷王都事兩相公∙263
요동으로 돌아가는 백호 정여를 전송하다 送程百戶與還遼東∙264
영 스님이 소매에서 시를 내보이고 화운시를 구하므로 이렇게 써서 책임을 면하다 英枯木袖詩求和 書此塞責∙265
급제하여 고향으로 돌아가는 이 수재를 축하하다 30운
賀李秀才登第還鄕 三十韻∙267
경상도 안렴사로 나가는 장령 전오륜을 전송하다
送全五倫掌令出按慶尙∙271
상주의 김 상국 선치 에게 주다 贈尙州金相國 先致∙272
상주 서 목사에게 주다 贈尙州徐牧使∙273
이 헌납 첨 에게 부치다. 경상도를 안행할 때에 김해 연자루 앞에 손수 매화를 심었기 때문에 말한 것이다 寄李獻納 詹 按行時 金海燕子樓前手種梅花故云∙274
나주 판관으로 부임하는 동년 이양을 전송하다 送同年李陽赴羅判∙275
강 안렴사에게 부치다 寄姜廉使∙276
밀양 박 중서에게 부치다 寄密陽朴中書∙277
익양 김 규정에게 부치다 寄益陽金糾正∙278
장수역에 묵으며 익양 태수 이용에게 부치다 宿長守驛 寄益陽守李容∙279
강남으로 사신 가는 산기 이천기를 전송하다 送李散騎天驥奉使江南∙280
안동 서기로 부임하는 이 수재를 전송하다 절구 5수
送李秀才就赴安東書記 五絶∙281
둔촌의 시에 차운하여 네 군자께 드리다 次遁村韻呈四君子∙283
계묘년 5월 2일에 비가 내려 홀로 앉았더니 이둔촌이 마침 찾아왔다
癸卯五月初二日 有雨獨坐 李遁村適來∙286
또 둔촌의 시에 차운하다 3수 又次遁村韻 三首∙287
둔촌의 권축에 적은 시 遁村卷子詩∙289
의주의 김 병마사 지탁 에게 부치다 寄義州金兵馬使 之鐸∙291
김 판사에게 주다 贈金判事∙292
호연의 권축에 적다 浩然卷子∙293
국간의 권축에 적다 菊磵卷子∙295
백정의 시권에 적다 題柏庭詩卷∙297
안렴사 유향을 전송하다 절구 2수 送柳按廉珦 二絶∙298
이 정언에게 부치다 寄李正言∙299
삼봉에게 부치다 寄三峯∙300
영주의 친구 永州故友∙301
송 판관 인 의 권축에 적다 題宋判官 因 卷子∙302
의순관에 묵으며 공부에게 부치다 宿義順館 寄孔俯∙303
김 소년 자지 에게 주다 贈金少年 自知∙304
사람을 전송하다 送人∙305
조 재상 반 에게 주다 贈趙相 胖∙306
김 정랑 구용 에게 부치다 寄金正郞 九容∙307
윤절간의 권축에 적다 倫絶磵卷子∙308
일본 무 상인이 돌벼루를 선물하므로 시로써 사례하다
日東茂上人惠以石硯 以詩爲謝∙309
목은 선생의 시에 차운하여 일본 무 상인에게 주다
次牧隱先生詩韻 贈日東茂上人∙310
암방의 일본 승려 영무에게 주다 절구 2수 贈嵒房日本僧永茂 二絶∙311
일본 홍 장로에게 주다 贈日本洪長老∙312
백운헌에게 주다 贈白雲軒∙313
무변 승려에게 주다 贈無邊僧∙314
양산의 총 상인에게 주다 贈陽山聦上人∙315
빙산의 주지에게 부치다 寄氷山住持∙316
지리산 지거사의 주지 각경 상인을 전송하다
送智異山智居寺住持覺冏上人∙317
김생사로 돌아가는 승려를 전송하다 送僧歸金生寺∙318
일본을 유람하는 자휴 상인을 전송하다 送自休上人游日本∙319
장성 백암사 쌍계에 시를 지어 부치다 長城白嵒寺雙溪寄題∙320
고암의 권축에 적다 古嵒卷子∙321
환암의 권축에 적다 幻庵卷子∙322
우사 야운헌의 시권에 적다 題牛師野雲軒詩卷∙323
승려에게 주다 贈僧∙324
성은 움직임이 없다 性無動∙325
승려에게 부치다 寄僧∙326
이둔촌의 시에 차운하여 용두 강주를 전송하다
次李遁村韻送龍頭講主∙327
다시 지어 최와 곽 두 선생께 부치다 再賦 因寄崔郭兩先生∙328
첨성대 瞻星臺∙329
취하여 익양 태수의 새 정자에 적다 醉題益陽守新亭∙330
익양의 새 정자에 적다 題益陽新亭∙331
중구일에 익양 태수 이용의 명원루에 적다
重九日 題益陽守李容明遠樓∙332
여흥루에 적다 절구 2수 題驪興樓 二絶∙333
전주 망경대에 오르다 登全州望景臺∙334
예전에 재상 야은 전 선생이 계림 판관이었을 때 김해의 기생 옥섬섬에게 준 시에…… 절구 4수 昔宰相埜隱田先生爲鷄林判官時 有贈金海妓玉纖纖云…… 四絶∙335
정사년 3월 빗속에 의성의 북루에 오르다 丁巳三月 雨中登義城北樓∙337
영주 판상의 시에 차운하다 3수 次榮州板上韻 三首∙338
명원루에 다시 오르다 重登明遠樓∙340
안동 영호루. 일본에서 돌아올 때 짓다 安東映湖樓 回自日本作∙341
평교관에 손수 적다 平郊館手題∙342
이호연을 곡하다 3수 哭李浩然 三首∙343
김 원수 득배 를 제사하다 祭金元帥 得培∙344
이 밀직 종덕 을 곡하다 哭李密直 種德∙345
이 도은의 처에 대한 만사 李陶隱妻氏挽詞∙346
권 밀직의 부인에 대한 만사 權密直夫人挽詞∙347
허 판서의 부인에 대한 만사 許判書夫人挽詞∙348
봄 春∙349
신축년 10월에 뜰 앞의 국화를 탄식하다 辛丑十月 庭前菊花嘆∙350
아침 일찍 길을 나서다 早行∙352
동지를 읊다 2수 冬至吟 二首∙353
중서문하성에 입직했을 때 술에 취하여 짓다 入直中書門下省醉賦∙355
인일 조회 때 눈이 내리다 人日朝會雪∙356
저문 봄 暮春∙357
기러기 소리를 듣다 聞雁∙358
《주역》을 읽고 자안과 대림 두 선생에게 부치다. 세도에 느낌이 있어 말한 것이다 절구 2수 讀易寄子安大臨兩先生 有感世道故云 二絶∙359
《주역》을 읽다 절구 2수 讀易 二絶∙361
추석 달 中秋月∙362
돌솥에 차를 달이다 石鼎煎茶∙363
겨울밤에 《춘추》를 읽다 冬夜讀春秋∙364
꿈을 기록하다 記夢∙365
배를 타고 송경을 작별하다 乘舟別京∙367
서쪽 이웃 이 부령을 맞이하여 달을 감상하다 邀西鄰李副令翫月∙368
경지의 시에 차운하여 삼봉에게 주다 次敬之韻贈三峯∙369
둔촌의 시에 차운하다 次遁村韻∙370
반 이상을 하례하다 賀潘二相∙371
성주에서 묵으며 원일에 목욕하다 成州留元日沐浴∙373
재상 유원의 집 벽에 적다 題柳相源宅壁∙374
언양에서 중구일에 회포가 있어 유종원의 시에 차운하다
彦陽九日有懷 次柳宗元韻∙375
목은 선생의 중구일 시에 차운하다 次牧隱先生九日韻∙376
목은 선생의 시에 차운하다. 칠석에 안화사에서 노닐었다 3수
次牧隱先生詩韻 七夕遊安和寺 三首∙377
난파 정원의 소나무, 대나무, 매화, 난초를 읊다. 도은과 양촌의 시에 차운하다 蘭坡四詠 次陶隱陽村∙379
부령 임효선의 시에 차운하다 4수 次林副令孝先韻 四首∙382
삼가 철원부원군이 영덕에 있을 때에 지은 시에 차운하다
奉次鐵原府院君在盈德所著詩韻∙384
글씨 쓰기 寫字∙386
수편 이 공봉의 운자를 쓰다 2수 用首篇李供奉韻 二首∙387
경상도 안렴사로 나가는 송 정랑을 전송하다 送宋正郞按廉慶尙道∙390
포은집 제3권
잡저雜著
송헌 이 시중 화상찬 松軒李侍中畫像讚∙393
척약재명 惕若齋銘∙394
김득배께 올리는 제문 祭金得培文∙396
원조의 권축에 圓照卷子∙398
은계 상죽헌의 권축에 隱溪霜竹軒卷子∙399
절동의 패옥재 협사안에게 부치다 寄浙東佩玉齋郟士安∙400
김해산성기 金海山城記∙401
북원의 사신을 맞아들이지 말기를 청하는 소 請勿迎元使疏∙405
습유拾遺
이 태상의 시에 차운하여 이둔촌의 아들 지직의 급제를 축하하다 절구 3수 次李太常韻 賀李遁村子之直登第 三絶∙409
원주 목사 하담지 윤원의 시축에 있는 천감 스님의 시에 화답하다. 운자를 나누어 내 자를 얻다 原州牧使河允源湛之詩軸 和僧天鑑 分韻得乃字∙411
천감 스님의 시를 붙임 附僧天鑑詩∙411
원증 국사 어록에 적다 題圓証國師語錄∙413
둔촌에게 답한 편지 4수 答遁村書 四∙414
포은집
연보고이年譜攷異
포은 선생 연보고이 圃隱先生年譜攷異∙419
부록附錄
〈강남기행시고〉 뒤에 적다 書江南紀行詩藁後∙459
포은재기 圃隱齋記∙462
사명을 받들고 일본으로 가는 정달가를 전송하는 시의 서문 이숭인
送鄭達可奉使日本詩序 李崇仁∙469
〈포은기〉 뒤에 적다 목은 題圃隱記後 牧隱∙472
정 산기를 생각하다 3수 목은 憶鄭散騎 三首 牧隱∙474
밀직에 제수된 정포은을 삼가 축하하다 목은 奉賀鄭圃隱拜密直 牧隱∙477
포은에게 부치다 둔촌 寄圃隱 遁村∙478
남쪽으로 가며 포은께 드리다 2수 도은 南行 呈圃隱 二首 陶隱∙479
포은 상국의 복직을 축하하다 강호인 賀圃隱相國復職 康好仁∙480
또 권근 又 權近∙481
좌주 포은 상국 댁의 연회석에서 권우 座主圃隱相國宅席上 權遇∙482
포은 선생의 옛집을 찾아갔을 때 지은 소부 유방선
訪圃隱先生舊居小賦 柳方善∙483
포은 선생의 효자비각에 적다 손순효 題圃隱先生孝子碑閣 孫舜孝∙487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488
상서 권근 上書 權近∙493
문묘에 종사하기를 청한 상소의 대략 태학생 권전 등
請從祀文廟疏略 太學生 權磌等∙495
의득 한세환, 유운 등 議得 韓世桓柳雲等∙496
정덕 정축년에 문묘 서무에 종사할 때의 제문 기준
正德丁丑 文廟西廡從祀祭文 奇遵∙497
임고서원 제문 퇴계 臨皐書院祭文 退溪∙500
임고서원 춘추 제향 축문 퇴계 臨皐書院春秋享祝文 退溪∙506
유상을 모사하여 임고서원에 봉안할 때의 제문 자손들
摸遺像將奉安臨皐書院祭文 子孫等∙507
화상을 숭양서원으로 옮겨 모실 때의 조제문 자손들
畫像移安崧陽書院祖祭文 子孫等∙511
만력 을해년 숭양서원 사제문 萬曆乙亥 崧陽書院賜祭文∙513
봉양군 이씨께 드리는 제문 문인 변계량 등
祭鳳陽郡李氏文 門人卞季良等∙516
제가 기술 諸家記述∙518
포은 선생 묘갈 음기 圃隱先生墓碣陰∙525
포은 선생 화상을 배알하고 지은 사 장현광 謁圃隱先生畫像詞 張顯光∙526
임고서원 묘우 상량문 장현광 臨皐書院廟宇上樑文 張顯光∙531
본전本傳
정습명전 鄭襲明傳∙538
포은 선생 본전 圃隱先生本傳∙540
행장 行狀∙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