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추강집

추강집

(시대정신을 외치다)

남효온 (지은이), 정출헌 (옮긴이), 박대현 (감수)
한국고전번역원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000원 -0% 2,500원
600원
13,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추강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추강집 (시대정신을 외치다)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전기(개국~임진왜란 이전)
· ISBN : 9788928402632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4-10-20

책 소개

한국고전선집 3권. 서른아홉 살에 삶을 마감한 젊은 이상주의자 남효온의 꿈과 좌절의 여정이 『추강집』에 고스란히 남았다. 부산대의 정출헌 교수는 『추강집』 중에서 남효온의 삶과 생각의 궤적을 읽을 수 있는 작품을 고르고 평설을 붙였다.

목차

남효온은 누구인가
제1장 소릉복위 상소로 조정을 뒤흔들다
친구들과 압도에서의 하룻밤|성종대왕께 올리는 글

제2장 길 떠나는 벗이여 우리 언제 다시
구영안에게|안자정을 그리며|이천으로 귀양 가는 백연을 보내며|술을 경계하는 글|송도 유람을 나서며|영남으로 돌아가는 풍애 우덕보를 보내며

제3장 글은 으뜸이나 과거는 멀어라
관가에 환곡을 청했으나 얻지 못하다|성상의 옥체가 상하였다는 소식을 듣고|비가 조금 내리고 개다|어머님 꿈을 꾸고|영현암에서 공부하다가|장단의 객사에서 한 해를 보내며|종지의 시에 화답하다|관동으로 돌아가는 동봉 열경을 전송하다|벗의 충고에 답하다|소를 타고 밭 사이로 압도에 들어가다

제4장 전원에서 씨 뿌리고 명승지를 유람하다
입춘|동봉 선생을 송별하며|남산에 올라|유금강산기|송경록|스스로 읊다|또 스스로 읊다|병든 아들을 생각하며

제5장 가족의 시련, 길 없는 방랑
춘첩자|쌀을 보내 준 정중에게 사례하다|화숙과 광나루에서 이별하며|내 아들 종손에게|겸지와 계운의 급제를 축하하며|정미년 정월 초하루|차현에서|은진에서|낮잠 자다가 어머님 꿈을 꾸다|예양강 동정에서 경회에게 시를 남기고 작별하다|고향 의령에서|지리산 일과

제6장 스승 점필재에게 편지를 쓰다
두륜산에서 감사 김점필재 시에 삼가 화답하다|사위의 영구를 맞이하다|자신의 만사 네 수를 지어 점필재 선생께 올리다|이날 밤 술에 취해 느낀 바를 짓다|기자의 묘를 참배하다|아버님의 친구를 뵙다|덕우를 송별하고 항아 노랑에게 보내다|자정 시집 발문

제7장 천유를 품고 저 먼곳으로
부여 회고|조대기|장흥에서 우연히 읊다|월호에서 여름날 밤비 내릴 때 술을 마시다|밀양 영남루에서 점필재를 뵙다|득지락부

제8장 불의의 시대, 증언의 기록
충절 그리고 고발
육신전|박팽년|성삼문|이개|하위지|유성원|유응부

서늘한 정신의 기록, 추강냉화
시대의 아픔을 함께한 벗들|음악으로 풀어낸 벗들의 울분|죽은 벗의 가르침|꿈같은 꿈속 만남|세상에 버려진 인재들|저잣거리의 현자|미친병에 감춘 진심|간절한 효행 실천의 표상|새로운 시대를 꿈꾸던 젊은 스승|신진 사류의 아픔|험난한 벼슬길|잘 살다가 가는 것|압구정 주인의 허위의식|어긋난 효심|삶과 글의 일치|기심을 아는 새|정자 마루에서 싹 틔운 볍씨에 대한 단상|성리학에 관한 문답|이와 기에 대한 논란|시학과 도학의 두 길|버려진 기록의 한 단면

미완의 추억, 사우 명행록
김굉필|권안|정여창|이정은|김시습|홍유손|우선언|고순|신영희|이종준|이총|이심원|강응정|안응세

제9장 평가
『연산군일기』 1498년 8월 16일|추강집 뒤에 적다|남효온론|남추강 사적 뒤에 쓰다|묘갈명

연보

저자소개

남효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생육신의 한 사람이다.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백공伯恭, 호는 추강秋江?행우杏雨이다. 1478년 성균관 유생 신분으로 소릉의 복위를 포함한 당시의 정치 문제를 비판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훈구 대신들에게 ‘미친 선비’ 취급을 받았다. 그 이후 현실 참여의 길을 포기하고, 은둔과 방랑의 삶을 살다가 생을 마쳤다. 1504년 갑자사화 때 소릉복위 상소를 이유로 부관참시를 당했다. 1513년 소릉이 복위되면서 좌승지에 추증되고, 1782년 다시 이조 판서에 추증되었다. 1510년 문장가 조신이 흩어진 시문을 수습하여 『추강집』을 엮었는데, 현재는 전하지 않는다. 현재 남아 있는 『추강집』은 남효온의 시문과 관련 자료를 망라하여 1921년 후손 남상규가 간행한 판본이다.
펼치기
정출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고전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장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부산밀양분원을 맡고 있다. 조선 전기 유교 지식인의 시대정신과 동국 문명의 변화 과정, 일제강점기 유교 지식인의 대응 양상과 만주 망명의 여정을 탐색하는 데 관심을 갖고 있다. 저역서로 『조선 후기 우화소설 연구』 『고전소설사의 구도와 시각』 『조선 최고의 예술 판소리』 『고전문학사의 라이벌』(공저) 『김부식과 일연은 왜』 『추강집』 『남효온 평전』 등이 있다.
펼치기
박대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1년 경북 청도에서 태어났다. 영남대학교 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한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 상임연구부를 졸업하였고, 민족문화추진회 전문위원과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고전번역교육원 교수를 역임하였다. 역서로는 《추강집(秋江集)》, 《대산집(大山集)2》, 《도산제현유묵(陶山諸賢遺墨)》, 《구사당집(九思堂集)1》, 《포은집(圃隱集)》 등이 있고, 저서로는 《한문서찰의 격식과 용어》(아세아문화사)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제1장 소릉 복위 상소로 조정을 뒤흔들다 18~25세
성균관 유생 신분으로 상소를 올리기 이전인 열여덟 살에 지은 시 한 편과 성종대왕에게 올려 화제를 불러일으킨 소릉 복위 관련 상소문을 실었다.

제2장 길 떠나는 벗이여 우리 언제 다시 27~28세
남효온은 소릉 복위 상소를 올려 곤욕을 치렀지만, 스물일곱 살 때 진사과에 합격한 것을 보면 새 시대에 대한 꿈을 포기하기 어려웠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훈구 대신과 신진 사류가 첨예하게 대립하던 상황에서 친구들은 조금씩 그의 곁을 떠났다. 갈등과 울분의 시절을 폭음으로 달래던 시절에 남긴 그의 슬픔이 밴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

제3장 글은 으뜸이나 과거는 멀어라 29~30세
현실의 장벽에 막혀 과거를 포기하고 행주 전원으로 돌아가 생활할 때 쓴 글들이다. 남효온은 문장공부와 마음공부 사이에서 끝없이 방황하였다. 갈등 끝에 과거에 응시하지만, 훈구 대신이 불법적인 농간을 하는 바람에 떨어졌다. 결국 명리와 현달을 포기하고, 행주 전원으로 돌아가 새로운 삶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제4장 전원에서 씨 뿌리고 명승지를 유람하다 21~32세
한강 부근 행주에 거처를 정하고 추강거사로 자호를 붙이고 전원생활을 할 때의 기록이다. 직접 농사도 짓고 비교적 평온하게 지냈다. 뿐만 아니라 성리학 관련 논설을 활발하게 저술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 당시 가뭄으로 인한 극심한 궁핍과 김종직을 둘러싼 벗들 간의 불화를 지켜봐야 했다.

제5장 가족의 시련, 길 없는 방랑 33~34세
본격적인 방랑의 길로 들어선 시절이다. 둘째 아들과 고모가 죽고, 큰 기대를 걸었던 맏사위가 과거 공부를 중단하고 김해로 내려간다. 결국 남효온도 전원생활을 뒤로한 채 호남과 영남으로 방랑의 길을 떠났다.

제6장 스승 점필재에게 편지를 쓰다 35~37세
방랑 끝에 서울로 돌아왔지만 우환이 끊이지 않았다. 맏사위가 죽고 그는 병을 앓았다. 자신의 죽음을 예견한 남효온은 스승 김종직에게 자신의 만사를 지어 올리고는 다시 방랑의 길을 떠났다.

제7장 천유를 품고 저 먼 곳으로 38~39세
자유로운 정신세계를 추구하기 위해 전국을 떠돌았지만 끝내 자유는 찾지 못했다. 그러다가 자유는 작은 내 마음속에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가족들이 있는 고향으로 돌아왔지만, 죽음도 가까이 와 있었다.

제8장 불의의 시대, 증언의 기록
단종복위 운동을 펼치다 죽은 인물 가운데 여섯 명을 선별하여 그들의 충절을 증언하는 기록인 [육신전]과 더불어 시대정신의 궤적을 함께하는 [추강냉화], 자신과 절친했던 벗들과의 일화를 기록한 [사우명행록] 가운데 선별한 내용을 실었다.

제9장 평가
남효온 사후, 후대인이 기록한 다섯 편의 글을 실었다. 김종직의 문인이라는 이유로 난신 취급을 받던 연산군 시대로부터 생육신으로 추숭된 정조 시대까지 남효온에 대한 평가가 300여 년 동안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가늠해 볼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