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28409570
· 쪽수 : 676쪽
· 출판일 : 2022-12-31
책 소개
목차
일러두기∙4
송자대전 제18권
소차疏箚
종묘의 휘호를 바로잡기를 청하는 차자 계해년 3월 19일 請釐正宗廟徽號箚 癸亥三月十九日∙31
별단 別單∙31
박세채를 만류하기를 청하는 차자 계해년 3월 22일 請留朴世采箚 癸亥三月二十二日∙38
희정당에서 올린 주차 1 계해년 3월 煕政堂奏箚一 癸亥三月∙40
희정당에서 올린 주차 2 煕政堂奏箚二∙43
희정당에서 올린 주차 3 煕政堂奏箚三∙46
병 때문에 소명에 달려가지 못하여 대죄하는 차자 계해년 3월 病未赴召待罪箚 癸亥三月∙50
벼슬을 그만두는 일에 관한 하교 중에 지나친 말씀을 없애 주기를 청하고서 초름 및 상록을 사양하는 차자 계해년 3월 乞删去致仕敎文中過當語仍辭稍廩及常祿箚 癸亥三月∙51
태묘에 휘호를 추상할 것을 청하는 상소 계해년 4월 請追上徽號於太廟疏 癸亥四月∙53
동협에서 여강으로 향할 때 사정을 진달하는 상소 계해년 5월 自東峽向驪江時陳情疏 癸亥五月∙58
사정을 진달하고서 유신일의 일을 논하는 상소 계해년 5월 陳情仍論兪信一事疏 癸亥五月∙62
여강에서 남쪽으로 돌아갈 때 사정을 진달하고 겸하여 월름을 사양하는 상소 계해년 5월 27일 自驪江南歸時陳情兼辭月廩疏 癸亥五月二十七日∙66
《주자대전봉사주차차의(朱子大全封事奏箚箚疑)》를 바치면서 올리는 차자 계해년 6월 28일 進朱子封事奏箚箚疑箚 癸亥六月二十八日∙68
박태유의 상소가 있은 뒤에 대죄하는 상소 계해년 윤6월 19일 朴泰維疏後待罪疏 癸亥閏六月十九日∙73
도성을 나갈 때에 돌아가기를 아뢰는 차자 계해년 11월 9일 出城時告歸箚 癸亥十一月九日∙76
상전을 사양하는 상소 계해년 11월 辭賞典疏 癸亥十一月∙78
명성대비의 지문을 지어 올리는 일을 사양하고 겸하여 하사하신 말을 사양하는 차자 갑자년 1월 辭明聖大妃誌文撰進兼辭錫馬箚 甲子正月∙80
지문을 지어 올리고서 사정을 진달하여 돌아가기를 아뢰는 차자 갑자년 1월 15일 撰進誌文仍陳情告歸箚 甲子正月十五日∙83
송자대전 제19권
소疏
수원에 이르러 올린 사정을 진달하는 상소 갑자년 1월 到水原陳情疏 甲子正月∙87
진위하고서 월름을 사양하는 상소 갑자년 4월 16일 進慰仍辭月廩疏 甲子四月十六日∙89
월름을 거듭 사양하는 상소 갑자년 4월 24일 申辭月廩疏 甲子四月二十四日∙93
상전을 사양하는 상소 갑자년 4월 30일 辭賞典疏 甲子四月三十日∙96
병으로 소명에 나가지 못하고 대죄하는 상소 갑자년 11월 病未赴召待罪疏 甲子十一月∙98
인조조의 시종에 대한 은전을 사양하는 상소 갑자년 12월 辭仁祖朝侍從恩典疏 甲子十二月∙100
사학에서 머물기를 청한 뒤에 남쪽 고향으로 돌아가며 사정을 진달하는 상소 갑자년 12월 四學請留後南歸陳情疏 甲子十二月∙102
문원공의 유고를 올리고서 사우의 무고를 변론하고 또 손자 주석이 전리로 돌아가 글을 읽도록 윤허해 주기를 청하는 상소 을축년 9월 30일 進文元公遺稿仍辨師友之誣又乞許孫疇錫歸田讀書疏 乙丑九月三十日∙105
성덕을 진계하고서 홍수주의 찬벌을 논하는 상소 을축년 12월 陳戒聖德仍論洪受疇竄罰疏 乙丑十二月∙123
봉조하의 칭호를 삭제하고 아울러 물품을 보내는 은례를 환수하기를 빌고서 《차의》를 간행하라는 명을 중지해 주기를 청하는 상소 병인년 4월 乞削奉朝賀之號竝收惠養恩例仍請寢箚疑刊布之命疏 丙寅四月∙129
대죄하면서 다시 《차의》를 간행하지 말기를 청하는 상소 병인년 윤4월 24일 待罪復請勿刊布箚疑疏 丙寅閏四月二十四日∙132
대의를 논하고서 윤증의 일을 진달하는 상소 정묘년 1월 28일 論大義仍陳尹拯事疏 丁卯正月二十八日∙135
만수전 화재에 대해 위로의 말씀을 올리고서 경계를 진달하는 상소 정묘년 9월 進慰萬壽殿火災仍陳戒疏 丁卯九月∙155
정월에 경계를 진달하고 나양좌의 사유를 청하는 상소 무진년 1월 歲正陳戒請宥羅良佐疏 戊辰正月∙157
의소 무진년 7월 擬疏 戊辰七月∙161
산릉에서 돌아갈 때 사정을 진달하는 상소 무진년 12월 自山陵退歸時陳情疏 戊辰十二月∙165
송자대전 제20권
소疏
우계를 헐뜯었다는 비방을 논변하고서 선친이 무함당한 데 대하여 변론하는 상소 기사년 1월 辨訾毀牛溪之謗仍白先誣疏 己巳正月∙171
문원공 김장생이 황종해에게 답한 편지 文元公金長生答黃宗海書∙190
문원공의 만언소를 절략한 한 대목 文元公萬言疏節略一條∙193
소현서원에 성혼을 배향할 때 신 시열이 지은 제문 紹賢書院配享成渾時臣時烈所製祭文∙193
망부의 묘문과 만사 亡父墓文及輓詞∙197
기사년 2월에 올린 상소 1일 己巳二月疏 初一日∙206
효종의 어찰을 올리려던 상소 기사년 2월 擬進孝廟御札疏 己巳二月∙211
당시에 비밀히 내리셨던 교시를 하나하나 기록하여 올리다 當時密勿之敎畫一錄呈∙215
효종의 수찰과 명성왕후의 언찰을 올리는 상소 기사년 2월 進孝廟手札明聖諺札疏 己巳二月∙220
탐라에서 나치되어 육지에 나온 뒤 남기는 상소 기사년 5월 自耽羅就拿出陸後遺疏 己巳五月∙222
죽음에 임하여 남기는 상소 기사년 6월 臨命時遺疏 己巳六月∙227
송자대전 제21권
소疏
양현을 변무하려던 상소 신묘년 擬兩賢辨誣疏 辛卯∙233
연산 돈암서원에 사액을 청하는 상소 連山遯巖書院請額疏∙282
남평 백휴암의 서원에 사액을 청하는 상소 南平白休菴書院請額疏∙286
계사啓辭
배제에 참석하지 못하여 인피하는 계사 기축년 10월 14일 未參陪祭引避啓 己丑十月十四日∙293
다섯 신하를 원찬한 뒤에 인피하는 계사 기축년 10월 25일 五臣遠竄後引避啓 己丑十月二十五日∙295
사헌부에서 다섯 신하를 원찬하도록 한 명을 도로 거둘 것을 청하는 계사 기축년 10월 憲府請還收五臣遠竄啓 己丑十月∙297
사헌부에서 김자점을 원찬할 것을 청하는 계사 기축년 10월 憲府請遠竄金自點啓 己丑十月∙298
사헌부에서 이회, 송흥주 등의 집에서 일어난 간음 사건을 조사할 것을 청하는 계사 憲府請覈治李檜宋興周等家奸變啓∙299
궁노에 관한 일로 인하여 인피하는 계사 기축년 10월 26일 因宮奴事引避啓 己丑十月二十六日∙300
이조 판서 김집이 도성을 떠난 뒤에, 물러나도록 윤허해 줄 것을 청하는 계사 경인년 1월 22일 吏曹判書金集去國後乞退啓 庚寅正月二十二日∙302
이조에서 충훈부 도사 장선징을 태거할 것을 청하는 계사 무술년 吏曹請汰去忠勳府都事張善澂啓 戊戌∙307
송자대전 제22권
서계書啓
검열 유명윤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기해년 6월 24일 檢閱兪命胤傳諭後書啓 己亥六月二十四日∙311
주서 권두추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기해년 7월 18일 注書權斗樞傳諭後書啓 己亥七月十八日∙312
검열 송창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기해년 9월 9일 檢閱宋昌傳諭後書啓 己亥九月九日∙313
가주서 이하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기해년 10월 假注書李夏傳諭後書啓 己亥十月∙315
봉교 송창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기해년 12월 10일 奉敎宋昌傳諭後書啓 己亥十二月十日∙316
승지 오정위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기해년 12월 11일 承旨吳挺緯傳諭後書啓 己亥十二月十一日∙318
승지 오정위가 다시 와서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기해년 12월 承旨吳挺緯再來傳諭後書啓 己亥十二月∙320
주서 박순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기해년 12월 12일 注書朴純傳諭後書啓 己亥十二月十二日∙322
봉교 정중휘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기해년 12월 12일 奉敎鄭重徽傳諭後書啓 己亥十二月十二日∙324
가주서 김석지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경자년 1월 6일 假注書金錫之傳諭後書啓 庚子正月六日∙326
검열 유명윤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경자년 4월 28일 檢閱兪命胤傳諭後書啓 庚子四月二十八日∙331
주서 맹주서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경자년 6월 20일 注書孟胄瑞傳諭後書啓 庚子六月二十日∙334
주서 강석규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축년 2월 11일 注書姜錫圭傳諭後書啓 辛丑二月十一日∙337
가주서 조성보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축년 4월 19일 假注書趙聖輔傳諭後書啓 辛丑四月十九日∙339
대교 윤절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축년 5월 3일 待敎尹晢傳諭後書啓 辛丑五月三日∙340
사관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축년 5월 5일 史官傳諭後書啓 辛丑五月五日∙341
대교 윤절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축년 5월 24일 待敎尹晢傳諭後書啓 辛丑五月二十四日∙342
대교 윤절이 다시 와서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축년 5월 待敎尹晢再來傳諭後書啓 辛丑五月∙343
가주서 조성보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축년 7월 假注書趙聖輔傳諭後書啓 辛丑七月∙344
가주서 윤계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인년 6월 25일 假注書尹堦傳諭後書啓 壬寅六月二十五日∙346
가주서 김환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을사년 4월 28일 假注書金奐傳諭後書啓 乙巳四月二十八日∙350
승지 장선징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을사년 5월 承旨張善澂傳諭後書啓 乙巳五月∙352
가주서 이훤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을사년 7월 28일 假注書李藼傳諭後書啓 乙巳七月二十八日∙353
가주서 윤지완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병오년 4월 5일 假注書尹趾完傳諭後書啓 丙午四月五日∙355
가주서 윤지완이 다시 와서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병오년 4월 13일 假注書尹趾完再來傳諭後書啓 丙午四月十三日∙357
승지 김우석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병오년 4월 20일 承旨金禹錫傳諭後書啓 丙午四月二十日∙358
대교 최후상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병오년 5월 2일 待敎崔後尙傳諭後書啓 丙午五月二日∙360
가주서 이제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병오년 8월 21일 假注書李璾傳諭後書啓 丙午八月二十一日∙362
가주서 홍억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병오년 11월 14일 假注書洪億傳諭後書啓 丙午十一月十四日∙365
송자대전 제23권
서계書啓
가주서 이윤조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정미년 1월 14일 假注書李潤朝傳諭後書啓 丁未正月十四日∙369
가주서 이우정이 온양 행궁에서 와서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정미년 4월 假注書李宇鼎自溫宮傳諭後書啓 丁未四月∙370
가주서 이우정이 다시 와서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정미년 윤4월 3일 假注書李宇鼎再來傳諭後書啓 丁未閏四月三日∙371
승지 오두인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무신년 4월 6일 承旨吳斗寅傳諭後書啓 戊申四月六日∙372
승지 윤비경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무신년 5월 16일 承旨尹飛卿傳諭後書啓 戊申五月十六日∙374
승지 정륜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무신년 6월 3일 承旨鄭錀傳諭後書啓 戊申六月三日∙375
승지 강호가 온양 행궁에서 와서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무신년 8월 25일 承旨姜鎬自溫宮傳諭後書啓 戊申八月二十五日∙377
승지 여성제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무신년 9월 3일 承旨呂聖齊傳諭後書啓 戊申九月三日∙378
주서 강석창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무신년 10월 注書姜碩昌傳諭後書啓 戊申十月∙379
주서 송광연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무신년 11월 28일 注書宋光淵傳諭後書啓 戊申十一月二十八日∙380
도승지 남용익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같은 날 都承旨南龍翼傳諭後書啓 同日∙381
승지 김우형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무신년 11월 29일 承旨金宇亨傳諭後書啓 戊申十一月二十九日∙382
승지 정계주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무신년 12월 1일 承旨鄭繼胄傳諭後書啓 戊申十二月一日∙383
승지 오두인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무신년 12월 3일 承旨吳斗寅傳諭後書啓 戊申十二月三日∙384
가주서 정적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무신년 12월 14일 假注書鄭樍傳諭後書啓 戊申十二月十四日∙385
승지 이익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기유년 2월 16일 承旨李翊傳諭後書啓 己酉二月十六日∙386
승지 박세성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기유년 2월 18일 承旨朴世城傳諭後書啓 己酉二月十八日∙387
승지 강호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기유년 2월 承旨姜鎬傳諭後書啓 己酉二月∙389
가주서 이일정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기유년 2월 26일 假注書李日井傳諭後書啓 己酉二月二十六日∙390
주서 강석창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기유년 3월 19일 注書姜碩昌傳諭後書啓 己酉三月十九日∙391
승지 홍만용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기유년 4월 3일 承旨洪萬容傳諭後書啓 己酉四月三日∙392
가주서 유장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기유년 4월 15일 假注書兪樟傳諭後書啓 己酉四月十五日∙393
가주서 이유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기유년 8월 10일 假注書李濡傳諭後書啓 己酉八月十日∙394
가주서 심남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경술년 2월 17일 假注書沈枏傳諭後書啓 庚戌二月十七日∙396
가주서 안후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경술년 윤2월 假注書安垕傳諭後書啓 庚戌閏二月∙397
승지 권상구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경술년 9월 16일 承旨權尙矩傳諭後書啓 庚戌九月十六日∙399
검열 이수언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경술년 10월 9일 檢閱李秀彥傳諭後書啓 庚戌十月九日∙400
주서 안후태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해년 1월 10일 注書安後泰傳諭後書啓 辛亥正月十日∙401
가주서 손만웅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해년 5월 19일 假注書孫萬雄傳諭後書啓 辛亥五月十九日∙402
승지 이단하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해년 7월 13일 承旨李端夏傳諭後書啓 辛亥七月十三日∙403
승지 이숙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해년 9월 13일 承旨李䎘傳諭後書啓 辛亥九月十三日∙404
가주서 박치도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해년 12월 3일 假注書朴致道傳諭後書啓 辛亥十二月三日∙405
사관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자년 1월 6일 史官傳諭後書啓 壬子正月六日∙406
가주서 남궁후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자년 6월 10일 假注書南宮垕傳諭後書啓 壬子六月十日∙407
가주서 김시중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자년 6월 假注書金始重傳諭後書啓 壬子六月∙408
가주서 목창명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자년 6월 假注書睦昌明傳諭後書啓 壬子六月∙410
가주서 정징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자년 6월 24일 假注書鄭徵傳諭後書啓 壬子六月二十四日∙411
승지 최일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자년 8월 7일 承旨崔逸傳諭後書啓 壬子八月七日∙412
승지 김익경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자년 9월 5일 承旨金益炅傳諭後書啓 壬子九月五日∙413
가주서 심극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자년 10월 17일 假注書沈極傳諭後書啓 壬子十月十七日∙414
사관 유하겸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축년 5월 10일 史官兪夏謙傳諭後書啓 癸丑五月十日∙415
예조 좌랑 이영갑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축년 6월 28일 禮曹佐郞李英甲傳諭後書啓 癸丑六月二十八日∙417
승지 이규령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축년 6월 29일 承旨李奎齡傳諭後書啓 癸丑六月二十九日∙418
가주서 신완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축년 7월 3일 假注書申琓傳諭後書啓 癸丑七月三日∙419
가주서 유수방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축년 7월 8일 假注書柳秀芳傳諭後書啓 癸丑七月八日∙420
승지 정륜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축년 9월 13일 承旨鄭錀傳諭後書啓 癸丑九月十三日∙421
승지 윤심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축년 9월 29일 承旨尹深傳諭後書啓 癸丑九月二十九日∙423
가주서 이선부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축년 11월 5일 假注書李善溥傳諭後書啓 癸丑十一月五日∙424
궁관이 세자의 영을 전한 뒤에 올리는 서달 기유년 2월 17일 宮官諭令後書達 己酉二月十七日∙425
설서 심수량이 세자의 영을 전한 뒤에 올리는 서달 계축년 9월 說書沈壽亮諭令後書達 癸丑九月∙426
송자대전 제24권
서계書啓
가주서 이홍적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달 갑인년 8월 假注書李弘迪傳諭後書達 甲寅八月∙429
가주서 이륜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달 갑인년 8월 假注書李綸傳諭後書達 甲寅八月∙430
가주서 이륜이 다시 와서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인년 8월 假注書李綸再來傳諭後書啓 甲寅八月∙431
사관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인년 8월 史官傳諭後書啓 甲寅八月∙432
가주서 김속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인년 9월 2일 假注書金涑傳諭後書啓 甲寅九月二日∙434
가주서 이담명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인년 9월 假注書李聃命傳諭後書啓 甲寅九月∙435
대교 목창명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인년 9월 待敎睦昌明傳諭後書啓 甲寅九月∙436
사관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인년 10월 2일 史官傳諭後書啓 甲寅十月二日∙437
가주서 심사홍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경신년 10월 假注書沈思泓傳諭後書啓 庚申十月∙438
도승지 홍만용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경신년 10월 都承旨洪萬容傳諭後書啓 庚申十月∙439
대교 신엽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경신년 10월 待敎申曅傳諭後書啓 庚申十月∙440
승지 정재희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경신년 10월 承旨鄭載禧傳諭後書啓 庚申十月∙441
인경왕후 승하 때 대왕대비의 복제로 예관이 문의할 때 올리는 서계 경신년 10월 仁敬王后昇遐時以大王大妃服制禮官問議時書啓 庚申十月∙442
예관이 다시 와서 문의할 때 올리는 서계 경신년 10월 禮官再來問議時書啓 庚申十月∙443
승지 박순이 문의할 때 올리는 서계 경신년 10월 承旨朴純問議時書啓 庚申十月∙444
가주서 윤지익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경신년 11월 假注書尹之翊傳諭後書啓 庚申十一月∙445
도승지 홍만용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경신년 11월 都承旨洪萬容傳諭後書啓 庚申十一月∙446
승지 윤지선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경신년 12월 9일 承旨尹趾善傳諭後書啓 庚申十二月九日∙447
승지 윤지선이 다시 와서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같은 날 承旨尹趾善再來傳諭後書啓 同日∙448
도승지 홍만용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경신년 12월 10일 都承旨洪萬容傳諭後書啓 庚申十二月十日∙449
가주서 정추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경신년 12월 假注書鄭推傳諭後書啓 庚申十二月∙450
승지 송창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유년 2월 承旨宋昌傳諭後書啓 辛酉二月∙451
가주서 유귀징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유년 假注書柳龜徵傳諭後書啓 辛酉∙454
기주관 조하경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유년 2월 記注官曺夏卿傳諭後書啓 辛酉二月∙457
승지 송창이 다시 와서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유년 2월 承旨宋昌再來傳諭後書啓 辛酉二月∙458
가주서 유귀징이 다시 와서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유년 2월 假注書柳龜徵再來傳諭後書啓 辛酉二月∙460
형조 판서 이숙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유년 2월 刑曹判書李䎘傳諭後書啓 辛酉二月∙462
가주서 이형상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유년 3월 8일 假注書李衡祥傳諭後書啓 辛酉三月八日∙465
기주관 윤협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유년 3월 9일 記注官尹悏傳諭後書啓 辛酉三月九日∙467
가주서 신명원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유년 4월 1일 假注書申命元傳諭後書啓 辛酉四月一日∙468
기주관 조정선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유년 5월 記注官曺廷善傳諭後書啓 辛酉五月∙470
사관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유년 6월 30일 史官傳諭後書啓 辛酉六月三十日∙472
기주관 장세량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유년 6월 記注官張世良傳諭後書啓 辛酉六月∙474
예조 정랑 김속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유년 8월 11일 禮曹正郞金涑傳諭後書啓 辛酉八月十一日∙475
사관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유년 8월 史官傳諭後書啓 辛酉八月∙476
사관 윤지익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유년 9월 23일 史官尹之翊傳諭後書啓 辛酉九月二十三日∙478
가주서 이이명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유년 9월 28일 假注書李頤命傳諭後書啓 辛酉九月二十八日∙479
사관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유년 史官傳諭後書啓 辛酉∙481
사관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유년 史官傳諭後書啓 辛酉∙482
가주서 신계화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신유년 10월 7일 假注書申啓華傳諭後書啓 辛酉十月七日∙483
승지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술년 2월 11일 承旨傳諭後書啓 壬戌二月十一日∙485
가주서 조석주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술년 3월 11일 假注書趙錫周傳諭後書啓 壬戌三月十一日∙489
승지 윤경교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술년 8월 6일 承旨尹敬敎傳諭後書啓 壬戌八月六日∙490
승지 윤경교가 다시 와서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술년 8월 17일 承旨尹敬敎再來傳諭後書啓 壬戌八月十七日∙492
승지 윤경교가 세 번째 와서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술년 8월 承旨尹敬敎三來傳諭後書啓 壬戌八月∙493
주서 윤지익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술년 9월 27일 注書尹之翊傳諭後書啓 壬戌九月二十七日∙494
가주서 유명웅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술년 10월 3일 假注書兪命雄傳諭後書啓 壬戌十月三日∙495
승지 조지겸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술년 10월 承旨趙持謙傳諭後書啓 壬戌十月∙496
승지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술년 10월 16일 承旨傳諭後書啓 壬戌十月十六日∙497
예조 판서 남용익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술년 10월 16일 禮曹判書南龍翼傳諭後書啓 壬戌十月十六日∙498
예조 판서 남용익이 다시 와서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술년 10월 禮曹判書南龍翼再來傳諭後書啓 壬戌十月∙499
예조 판서 남용익이 세 번째 와서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술년 10월 禮曹判書南龍翼三來傳諭後書啓 壬戌十月∙500
주서 윤지익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술년 10월 注書尹之翊傳諭後書啓 壬戌十月∙501
기주관 한광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술년 10월 記注官韓洸傳諭後書啓 壬戌十月∙502
대교 최석항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술년 10월 30일 待敎崔錫恒傳諭後書啓 壬戌十月三十日∙503
승지 이수언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술년 11월 7일 承旨李秀彥傳諭後書啓 壬戌十一月七日∙504
승지 이수언이 다시 와서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술년 11월 7일 承旨李秀彥再來傳諭後書啓 壬戌十一月七日∙507
승지 윤경교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술년 11월 10일 承旨尹敬敎傳諭後書啓 壬戌十一月十日∙508
승지 윤경교가 다시 와서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술년 11월 13일 承旨尹敬敎再來傳諭後書啓 壬戌十一月十三日∙509
승지 조지겸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술년 11월 20일 承旨趙持謙傳諭後書啓 壬戌十一月二十日∙510
가주서 김우항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술년 11월 假注書金宇杭傳諭後書啓 壬戌十一月∙511
승지 어진익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임술년 12월 27일 承旨魚震翼傳諭後書啓 壬戌十二月二十七日∙512
송자대전 제25권
서계書啓
가주서 김홍복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해년 1월 2일 假注書金洪福傳諭後書啓 癸亥正月二日∙517
승지 이동명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해년 3월 承旨李東溟傳諭後書啓 癸亥三月∙518
승지 이언강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해년 3월 6일 承旨李彥綱傳諭後書啓 癸亥三月六日∙519
승지 어진익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해년 3월 7일 承旨魚震翼傳諭後書啓 癸亥三月七日∙520
승지 서문중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해년 3월 8일 承旨徐文重傳諭後書啓 癸亥三月八日∙521
이조 판서 이숙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해년 3월 10일 吏曹判書李䎘傳諭後書啓 癸亥三月十日∙522
승지 이언강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해년 3월 承旨李彥綱傳諭後書啓 癸亥三月∙524
예조 판서 남용익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해년 3월 禮曹判書南龍翼傳諭後書啓 癸亥三月∙526
예조 판서 남용익이 다시 와서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해년 3월 禮曹判書南龍翼再來傳諭後書啓 癸亥三月∙527
가주서 이정겸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해년 5월 假注書李廷謙傳諭後書啓 癸亥五月∙528
이조 판서 이숙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해년 5월 吏曹判書李䎘傳諭後書啓 癸亥五月∙529
가주서 김덕기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해년 5월 假注書金德基傳諭後書啓 癸亥五月∙530
가주서 성관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해년 윤6월 4일 假注書成瓘傳諭後書啓 癸亥閏六月四日∙531
가주서 심권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해년 윤6월 假注書沈權傳諭後書啓 癸亥閏六月∙532
가주서 김우항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해년 7월 3일 假注書金宇杭傳諭後書啓 癸亥七月三日∙533
가주서 조의징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해년 7월 假注書趙儀徵傳諭後書啓 癸亥七月∙534
가주서 김령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해년 8월 6일 假注書金坽傳諭後書啓 癸亥八月六日∙536
가주서 김령이 다시 와서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해년 8월 假注書金坽再來傳諭後書啓 癸亥八月∙538
승지 신양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해년 11월 10일 承旨申懹傳諭後書啓 癸亥十一月十日∙539
승지 이륜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해년 11월 12일 承旨李綸傳諭後書啓 癸亥十一月十二日∙541
가주서 이인석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해년 12월 假注書李寅錫傳諭後書啓 癸亥十二月∙542
가주서 심권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계해년 12월 19일 假注書沈權傳諭後書啓 癸亥十二月十九日∙543
승지 송광연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자년 1월 承旨宋光淵傳諭後書啓 甲子正月∙544
승지 이세백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자년 1월 15일 承旨李世白傳諭後書啓 甲子正月十五日∙545
승지 이세백이 다시 와서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자년 1월 承旨李世白再來傳諭後書啓 甲子正月∙546
가주서 이형상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자년 1월 假注書李衡祥傳諭後書啓 甲子正月∙549
승지 이세백이 세 번째 와서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자년 1월 承旨李世白三來傳諭後書啓 甲子正月∙550
가주서 이의창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자년 1월 假注書李宜昌傳諭後書啓 甲子正月∙551
가주서 남지훈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자년 4월 假注書南至熏傳諭後書啓 甲子四月∙553
가주서 이우진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자년 5월 4일 假注書李宇晉傳諭後書啓 甲子五月四日∙554
가주서 임익원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자년 5월 假注書任翊元傳諭後書啓 甲子五月∙555
가주서 원성유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자년 7월 假注書元聖兪傳諭後書啓 甲子七月∙556
주서 강현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자년 8월 注書姜鋧傳諭後書啓 甲子八月∙559
승지 윤반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자년 11월 1일 承旨尹攀傳諭後書啓 甲子十一月一日∙560
승지 정면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자년 11월 4일 承旨鄭勔傳諭後書啓 甲子十一月四日∙561
가주서 이의창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자년 11월 假注書李宜昌傳諭後書啓 甲子十一月∙562
검열 심권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자년 12월 檢閱沈權傳諭後書啓 甲子十二月∙564
검열 송주석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자년 12월 7일 檢閱宋疇錫傳諭後書啓 甲子十二月七日∙565
검열 송주석이 다시 와서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자년 12월 檢閱宋疇錫再來傳諭後書啓 甲子十二月∙567
승지 한구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자년 12월 承旨韓構傳諭後書啓 甲子十二月∙569
검열 송주석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갑자년 12월 檢閱宋疇錫傳諭後書啓 甲子十二月∙571
주서 유성운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을축년 7월 9일 注書柳成運傳諭後書啓 乙丑七月九日∙573
사관 유성운이 다시 와서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을축년 7월 史官柳成運再來傳諭後書啓 乙丑七月∙577
가주서 김이수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을축년 10월 假注書金以壽傳諭後書啓 乙丑十月∙579
가주서 성준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을축년 12월 假注書成儁傳諭後書啓 乙丑十二月∙583
가주서 민진형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병인년 4월 17일 假注書閔震炯傳諭後書啓 丙寅四月十七日∙584
가주서 민진형이 다시 와서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병인년 4월 假注書閔震炯再來傳諭後書啓 丙寅四月∙586
가주서 송상기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병인년 4월 假注書宋相琦傳諭後書啓 丙寅四月∙587
가주서 윤흥적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병인년 5월 2일 假注書尹興績傳諭後書啓 丙寅五月二日∙591
주서 임익원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병인년 11월 注書任翊元傳諭後書啓 丙寅十一月∙593
가주서 최중태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정묘년 1월 18일 假注書崔重泰傳諭後書啓 丁卯正月十八日∙594
가주서 최중태가 다시 와서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정묘년 1월 假注書崔重泰再來傳諭後書啓 丁卯正月∙595
사관이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정묘년 2월 8일 史官傳諭後書啓 丁卯二月八日∙596
가주서 조태채가 전유한 뒤에 올리는 서계 정묘년 2월 8일 假注書趙泰采傳諭後書啓 丁卯二月八日∙597
송자대전 제26권
헌의獻議
자의전이 입을 복제에 관한 논의 기해년 5월 慈懿殿服制議 己亥五月∙601
군신이 입을 복제에 관한 논의 기해년 5월 群臣服制議 己亥五月∙602
대행 대왕의 능호에 관한 논의 기해년 6월 大行大王陵號議 己亥六月∙603
혼전에 조석으로 문안하는 일에 관한 논의 기해년 10월 魂殿朝夕問安議 己亥十月∙604
혼전을 옮길 때 입을 복색에 관한 논의 기해년 12월 魂殿移御時服色議 己亥十二月∙605
대왕대비가 입을 복제에 관한 논의 경자년 3월 23일 大王大妃服制議 庚子三月二十三日∙606
연복의 변개와 허목이 올린 도설을 변파하는 논의 경자년 4월 練服變改及許穆圖說辨破議 庚子四月∙615
영릉을 고쳐 조성하는 것에 관한 논의 경자년 7월 30일 寧陵改造議 庚子七月三十日∙619
구황에 관한 논의 경자년 9월 20일 救荒議 庚子九月二十日∙622
부묘 때의 친제 절목에 관한 논의 신축년 7월 1일 祔廟時親祭節目議 辛丑七月一日∙623
연평의 종사에 관한 논의 계묘년 4월 11일 延平從祀議 癸卯四月十一日∙624
비희의 옥사에 관한 논의 무신년 10월 3일 非喜事議 戊申十月三日∙625
성묘의 손익에 관한 논의 무신년 10월 30일 聖廟損益議 戊申十月三十日∙627
파방에 관한 논의 기유년 1월 2일 罷榜議 己酉正月二日∙629
왕세자가 묘에 배알하는 것에 관한 논의 기유년 1월 10일 王世子謁廟議 己酉正月十日∙630
권두추의 일에 관한 논의 기유년 1월 權斗樞事議 己酉正月∙631
성묘에 종향하는 명호와 위차를 상고하여 정하는 것에 관한 논의 기유년 3월 聖廟從享名號位次考定議 己酉三月∙632
지문을 추기하여 새겨 넣는 것에 관한 논의 계축년 6월 17일 誌文追刻議 癸丑六月十七日∙633
능을 옮길 때 입을 복제에 관한 논의 계축년 8월 24일 遷陵時服制議 癸丑八月二十四日∙634
재궁을 여는 것에 관한 논의 계축년 10월 1일 啓梓宮議 癸丑十月一日∙636
공정대왕의 존호에 관한 논의 신유년 9월 3일 恭靖大王尊號議 辛酉九月三日∙637
문묘 종사 때의 의절에 관한 논의 신유년 10월 14일 文廟從祀時儀節議 辛酉十月十四日∙640
영소전의 연제와 담제에 관한 논의 신유년 7월 23일 永昭殿練禫議 辛酉七月二十三日∙641
영소전의 상일을 지낸 뒤 상식을 할지 여부 및 능침에 곡제를 할지 여부에 관한 논의 신유년 10월 25일 永昭殿祥後上食及陵寢哭祭與否議 辛酉十月二十五日∙643
하번 등의 사당을 세우는 데 관한 논의 계해년 1월 何蕃等立祠議 癸亥正月∙644
기년에 관한 논의 계해년 1월 祈年議 癸亥正月∙648
인묘를 세실로 하는 것을 종묘에 고하는 것에 관한 논의 계해년 2월 仁廟世室告廟議 癸亥二月∙649
태묘의 위판을 고쳐 쓰는 것에 관한 논의 계해년 5월 太廟位版改題議 癸亥五月∙650
의정부에서 진향을 정지할지 여부 및 가례 때의 폐단을 증례에 쓰는 것이 타당한지 여부에 관한 논의 계해년 12월 22일 政府進香停否及嘉禮時幣段用於贈禮當否議 癸亥十二月二十二日∙653
숭릉의 전알 및 행제의 당부에 관한 논의 갑자년 8월 崇陵展謁及行祭當否議 甲子八月∙655
대왕대비전의 주갑에 행할 경축례에 관한 논의 갑자년 11월 大王大妃殿周甲慶禮議 甲子十一月∙658
경연에서 진강하는 차례에 관한 논의 을축년 4월 經筵進講次第議 乙丑四月∙660
영소전에 음악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논의 을축년 6월 永昭殿用樂議 乙丑六月∙662
충의위의 대수를 한정하는 것에 관한 논의 병인년 6월 忠義代數定限議 丙寅六月∙665
종묘의 제수를 참작하여 줄이는 것에 관한 논의 병인년 12월 廟享裁省議 丙寅十二月∙667
장릉을 이장하는 것에 관한 논의 정묘년 9월 長陵遷改議 丁卯九月∙6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