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몽오집 2

몽오집 2

김종수 (지은이), 홍기은 (옮긴이)
한국고전번역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20,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00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몽오집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몽오집 2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28408702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21-10-13

책 소개

조선 후기의 문신 김종수의 시문집. 김종수는 노론 청명당의 영수이다. 정조의 세손 시절 세손 사부로서 정조에게 학문적으로 큰 영향을 주었으며 임오화변 이후 노론 벽파의 당론에 반하여 세손인 정조를 적극적으로 옹호하였다.

목차

일러두기∙4

몽오집 제4권


서書
임직중 경주 에게 보내려고 했던 편지 을해년 擬與任直中 敬周○乙亥∙15
족숙부 치양 께 올림 정묘년 上族叔父 致讓○丁卯∙20
이윤지에게 답함 答李胤之∙23
이원령에게 보냄 與李元靈∙25
숙부 이최중에게 보냄 신묘년 與李叔 最中○辛卯∙28
이사심에게 보냄 與李士深∙31

서序
문의현에 부임하는 송사행 어른을 전송하는 서문 送宋丈士行之任文義縣序∙32
낭천에 부임하는 김계윤을 전송하는 서문 送金季潤宰狼川序∙35
안동 부사로 부임하는 이심원을 전송하는 서문 送李深遠出宰安東府序∙37
《완암집》 서문 浣巖集序∙39
영남 관찰사로 떠나는 정대수를 전송하는 서문 送鄭大受觀察嶺南序∙41
제주 목사로 부임하는 윤백상 시동 을 전송하는 서문 送尹伯常 蓍東 之任濟州序∙44
연경으로 사신 가는 외사촌 형 홍 상공 낙성 을 전송하는 서문 送內兄洪相公 樂性 使燕序∙46
《해광집》 서문 海狂集序∙48

기記
바다 유람기 浮海記∙51
수정루기 水晶樓記∙57
관기실기 觀寄室記∙59
규장각기 奎章閣記∙61
야인실기 野人室記∙63
내사한 둥근 옥으로 된 권자에 대한 소기 內賜圓玉圈子小記∙65
명륜당의 식당에 친림하신 데 대한 기문 明倫堂親臨食堂記∙66
생소려기 生巢廬記∙68
진장각의 어제 어필을 규장각에 옮겨 봉안한 일에 대한 실기 珍藏閣御製御筆移奉奎章閣事實記∙71

제발題跋
미음 이 처사 정엽 의 시권 뒤에 쓰다 題薇陰李處士 鼎燁 詩卷後∙74
청담시권에 쓰다 題淸潭詩卷∙76
이심원의 영화시 뒤에 쓰다 題李深遠詠畫詩後∙78
이용강 유년 이 지은 〈영서〉라는 절구의 뒤에 쓰다 題李用康 惟䄵 詠書絶句後∙81
백우의 초창시권에 쓰다 題伯愚樵唱詩卷∙82
영남의 유생 이우가 입시했을 때 내린 연본 요점 뒤에 쓰다 書嶺儒李㙖入侍筵本要語後∙84
이심원의 유고의 권수에 쓰다 題李深遠遺稿卷首∙89
《신원록》 발문 伸冤錄跋∙91
동궁에게 〈무일〉과 〈억〉 시를 써서 올려 만든 병풍에 대한 발문 東宮書進無逸抑屛風跋∙94
왕세손이 귤을 반사하고 수창(酬唱)한 시첩의 발문 王世孫頒柑賡和帖跋∙96
녹색 비단을 하사한 어필첩의 발문 賜綠紬御筆帖跋∙98
친림관예도 병풍의 발문 親臨觀刈圖屛風跋∙101
《단릉집》 발문 丹陵集跋∙103
《능호집》 발문 凌壺集跋∙105
《문신강제절목》 발문 文臣講製節目跋∙106
《열조보감》 발문 列朝寶鑑跋∙108
《역대명신주의요략》 발문 歷代名臣奏議要略跋∙112
《홍문관지》 발문 弘文館志跋∙114
〈규장각고사〉의 비지에 대한 발문 奎章閣故事批旨跋∙117
이생 지경 정재 의 화련첩에 대한 발문 李生止卿 定載 畫蓮帖跋∙119
《논사록》에 대한 발문 論思錄跋∙121
조사문 신 의 《경의집설》에 대한 발문 趙斯文 愼 經義集說跋∙123

잡저雜著
솔옹문답 率翁問答∙124

몽오집 제5권

제문祭文
내제 홍자유 낙삼 에 대한 제문 祭內弟洪子有 樂三 文∙129
이 봉조하 병상 에 대한 제문 祭李奉朝賀 秉常 文∙131
현옹 정 찰방 내교 에 대한 제문 祭玄翁鄭察訪 來僑 文∙137
이윤지에 대한 두 번째 제문 再祭李胤之文∙141
이원령에 대한 제문 祭李元靈文∙149
외삼촌에 대한 제문 祭舅氏文∙153
이심원에 대한 제문 祭李深遠文∙157
서사의 형수 에 대한 제문 祭徐士毅 逈修 文∙159

애사哀辭
임직중 경주 에 대한 애사 병서 任直中 敬周 哀辭 幷序∙162
오경보 찬 에 대한 애사 병서 吳敬父 瓚 哀辭 幷序∙167
이용강에 대한 애사 병서 李用康哀辭 幷序∙172
숙부 이공보 양천 에 대한 애사 병서 李叔功父 亮天 哀辭 幷序∙177
홍자선에 대한 애사 병서 洪子善哀辭 幷序∙181
서생 유항 에 대한 애사 병서 徐生 有恒 哀辭 幷序∙185
이좌백 언보 에 대한 애사 병서 李佐伯 彥輔 哀辭 幷序∙188

몽오집 제6권

비碑
이조 판서 권공의 신도비명 병서 吏曹判書權公神道碑銘 竝序∙193
평안도 병마절도사 증 호조 판서 시 충장 백공의 신도비명 병서 平安道兵馬節度使贈戶曹判書諡忠莊白公神道碑銘 幷序∙207
박삼가 선생 수량 정효비음기 朴三可先生 遂良 旌孝碑陰記∙219
공조 판서 신공의 신도비명 工曹判書申公神道碑銘∙221

묘갈墓碣
형조 좌랑 심공의 묘갈명 병서 刑曹佐郞沈公墓碣銘 幷序∙237
호조 좌랑 정공의 묘갈명 병서 戶曹佐郞鄭公墓碣銘 竝序∙241
김백우의 묘갈명 병서 金伯愚墓碣銘 幷序∙246
익위 유공의 묘갈명 병서 翊衛柳公墓碣銘 竝序∙253
족증조 집의공 묘갈명 병서 族曾祖執義公墓碣銘 幷序∙258

묘표墓表
고려 예의 판서 민공 묘표 高麗禮儀判書閔公墓表∙266
후릉 참봉 정공 묘표 厚陵參奉鄭公墓表∙269
고려 좨주 이공 묘표 高麗祭酒李公墓表∙272
지평 증 이조 판서 충민 김공 묘표 持平贈吏曹判書忠愍金公墓表∙275
백씨의 묘표 伯氏墓表∙280
자표 自表∙282
증 사간원 대사간 유곡 박공 묘표 贈司諫院大司諫楡谷朴公墓表∙285
창의사 박공 묘표 倡義使朴公墓表∙290
이조 판서로 치사한 조공의 묘표 吏曹判書致仕趙公墓表∙295
김중회의 묘표 金仲晦墓表∙300
사간원 대사간 김공 묘표 司諫院大司諫金公墓表∙302
종부시 주부 증 이조 참판 유공 묘표 宗簿寺主簿贈吏曹參判柳公墓表∙307

몽오집 제7권

묘지墓誌
문효세자 지문 文孝世子誌文∙311
사위 서 서방의 묘지명 병서 徐壻墓誌銘 竝序∙317
종숙부 고고정 부군 묘지명 병서 從叔父古古亭府君墓誌銘 幷序∙320
이조 판서 송공 묘지명 병서 吏曹判書宋公墓誌銘 幷序∙332

행장行狀
아이 만호 조공 행장 阿耳萬戶趙公行狀∙339

시장諡狀
충주 목사 증 병조 판서 홍평군 이공 시장 忠州牧使贈兵曹判書洪平君李公諡狀∙343
홍양군 증 좌찬성 이공 시장 洪陽君贈左贊成李公諡狀∙348
지중추부사 송공 시장 知中樞府事宋公諡狀∙359

발문 跋|김윤식 金允植∙366
발문 跋|이재곤 李載崐∙369

몽오집 연보 제1권

몽오 김공 연보 夢梧金公年譜∙373

몽오집 연보 제2권

몽오 김공 연보 夢梧金公年譜∙441

저자소개

김종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하동 출신.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졸업. (구)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과정 수료.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국철학과에서 철학 박사학위 취득. 강릉대·인천교대·청주교대·한국교원대·한국교통대·한양대·성균관대·세명대 등에서 강의. 현재 충북대학교 우암연구소 객원연구원. 2010년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우수저작상[학술부문] 및 2011년 제5회 선리연구원 학술상 수상. 2018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 학술도서 선정. 저서: 『서계 박세당의 연행록 연구』(2010), 『조선시대 유학자 불교와의 교섭양상』(2017), 『재실의 사회사』(2019). 역주서: 『국역 서계연록』(2010), 『의당 박세화의 단식 순도일기: 『창동일기(昌東日記)』(2014), 『국역 함인재유고』(2019). 공저: 『의림지 유산과 농경문화』(2013), 『제천의 누정과 의림지』(2016), 『갈천 임훈의 학문과 사상』(2017).
펼치기
홍기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남 나주에서 태어났다. 송담(松潭) 이백순(李栢淳) 선생에게 한학을 수학하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사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 상임연구부를 졸업하였고, 한국고전번역원에 재직 중이다. 번역서로 《갈암집》, 《홍재전서》, 《기언》, 《명재유고》, 《대산집》, 《성호전집》, 《번암집》, 《일성록》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