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병중사색

병중사색

(아플 때 깨닫는 삶의 가치)

강민구 (지은이), 이희중 (그림), 오준호 (감수)
한국고전번역원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000원 -0% 2,500원
600원
13,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병중사색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병중사색 (아플 때 깨닫는 삶의 가치)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28409129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6-12-23

책 소개

고전작품선집 시리즈. 옛 선인들이 병을 앓으며 사색한 내용을 담은 책이다. 고려 시대의 이규보와 이색에서부터 조선 시대의 권근, 서거정, 김종직, 이식, 신흠에 이르기까지 전통 시대 대표적인 문인 7명의 한시 작품이 실려 있다.

목차

책머리에 4

제1장 이규보李奎報의 병중사색
들어가며 15
누룩 귀신, 시 마귀에 들려 •술병, 시병詩病 16
꽃은 피우면서 내 눈은 왜 못 띄우나 •눈병 30
병든 다리라도 지팡이를 짚으면 갈 수가 있네 •다릿병, 손앓이 36
긁고 나면 배나 더 쓰라리다 •피부병 40
나는 자연으로 뭉쳐진 몸 44
나오며 55

제2장 이색李穡의 병중사색
들어가며 61
여종 아이 짜증나게 오래 안마시키네 •요통 62
통째로 삼키는 것이 가장 좋네 •치통 66
눈병은 해마다 발작하고 미친 마음은 날로 새롭다 •눈병 70
오래 앉고 눕는 데서 온갖 병이 생기네 •종기, 다릿병 72
숨이 붙어 있는 한 조금인들 게으를쏜가 76
가련하도다, 이내 몸이여! 95
나오며 98

제3장 권근權近의 병중사색
들어가며 103
이 책이 백성에게 큰 혜택 주리 •『향약제생집성방』 104
마음만은 봉사가 아니라네 •눈병 108
아내와 자식이라도 외국 사람과 같네 •귓병 118
모진 고통을 견디기 힘듭니다 •임질淋疾 122
나오며 125

제4장 서거정徐居正의 병중사색
들어가며 131
녹만 훔치니 좋은 벼슬이 부끄럽네 •소갈증, 두풍 133
절름발 자라처럼 절름절름 가는 꼴이 가련해라 •다릿병 140
동료는 잦은 병가에 짜증내고 144
늙음과 병이 서로 시샘하느라 애쓰네 156
병을 두려워하면 도리어 병이 많아지고 168
어젯밤 가을바람 불어 병을 다 쓸어 버리고 173
나오며 180

제5장 김종직金宗直의 병중사색
들어가며 185
헛소리해 대니 처자식도 두려워하고 •열병, 소갈증 186
밤새 구경하고 노는 것도 다 끝난 일이로세 •눈병 192
얼음 같은 한기와 타는 듯한 열이 번갈아드네 •한질寒疾 193
살결이 온통 나쁜 풍기뿐이로다 •풍비風痹201
그림자만 문안하는 나를 누가 불쌍타 하리 204
나오며 209

제6장 이식李植의 병중사색
들어가며 215
병을 안고 숨어 사니 절간과 흡사한데 215
나에게 달린 일이라면 내가 할 수 있나니 222
나오며 240

제7장 신흠申欽의 병중사색
들어가며 245
어두운 곳도 봐야지, 밝은 곳만 보려 하나 •시력・청력 상실 247
관을 벗지 않으니 머리에 병이 나지 •학질瘧疾, 뇌종腦腫 259
푸른 산은 나를 몹시 사랑해 푸른빛이 뜨락 가까이 다가오네 263
나오며 274

참고 문헌 277
그림 정보 278

저자소개

강민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한문학과에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연청 오대영 선생에게 사사하였다. 파리13대학 초빙교수를 지냈으며 2021년 현재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한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와 역서로 『조선후기 문학 비평의 이론』과 『교감 국역 송남잡지』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희중 (그림)    정보 더보기
서울 북촌에서 태어나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독일로 유학을 가서 뒤셀도르프 쿤스트아카데미를 졸업했다. 독일에서 연 12번의 개인전을 포함하여 총38번의 개인전을 가졌다. 그밖에 베이징, 홍콩, 도쿄, 싱가포르, 마이애미, 칼스루에 등지에서 아트페어에 참가했다. 현재는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 회화학과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펼치기
오준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한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의사학으로 석·박사를 마쳤다. 현재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한국 전통의학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옛날 한의학 서적들을 뒤적이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침구경험방》, 《식의심감》, 《상한경험방》, 《경보신편》(이상 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옛사람의 시에 차운하여 그냥 짓다 漫成次古人韻

묵은 병으로 노승의 처소에 누워 지내면서 臥?聊寄老禪居
머리 위로 지나가는 세월에 부질없이 놀라네 頭上空驚歲月?
도잠이 앓던 것처럼 다리 아파 가마를 타고 脚待?籃陶令病
심약처럼 야위어 허리는 띠를 감당하기 어렵네 腰難勝帶沈郞?
……

위의 시는 이규보가 병으로 산사에서 요양을 하고 있을 때 지은 작품으로 보인다. 그는 산사에서 상당한 시간을 보낸 듯하다. 동진東晉 시대의 시인인 도잠陶潛은 각기병을 앓아 가마를 타고 다녔다고 하는데, 이때 이규보 또한 도잠과 같은 병을 앓고 있었다고 하였다. 가마를 탄다고 한 것이 정말 실제로 있었던 일인지, 그저 도잠의 고사를 인용한 표현인지 단정할 수는 없지만, 그가 보행이 자유롭지 못하여 고생했던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허리는 띠를 감당하기 어렵네.’라는 표현은 남조 시대 양梁나라의 심약沈約이 그의 친구인 서면徐勉에게 보낸 편지에서 “병이 더욱 심해져서 몸이 야위어 허리띠 구멍을 옮겨 매야 한다.”고 한 말에서 유래한 것이다.
- 제1장「이규보李奎報의 병중사색」 중에서


밤에 읊다 夜詠

온 집안이 곤히 다 잠들었는데 渾家政?夢
긴 밤에 홀로 깨어 조용히 읊조리네 長夜獨沈吟
치통 때문에 머리까지 아프고 齒病連頭痛
요통이 뼛속까지 파고드네 腰酸入骨深
단과 산 같은 좋은 약도 많고 帖多丹復散
쑥뜸과 침 같은 좋은 시술도 있네 術妙艾仍針
베개 위의 무궁한 내 생각을 枕上無窮意
상제께서는 밝게 굽어보시리 明明上帝臨

온 집안이 모두 잠든 고요한 밤에 이색은 고통으로 잠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그는 치통을 앓았는데 너무 아파 두통까지 유발할 정도였다. 그뿐만 아니라 허리의 통증은 뼛속 깊이까지 파고드는 듯 고통스러웠다.
이때 그가 복용한 약은 단丹과 산散이었다. 단은 큰 알약을, 산은 가루약을 말하는데, 여기에서는 효과 좋은 약을 의미한다. 그는 치통과 요통에 좋은 약도 있고 쑥뜸과 침 같은 치료법도 있으니, 치료를 잘 받으면 나을 수 있으리라 스스로를 위로한다.
이 시의 말미에서는 병을 앓느라 잠 못 이루고 있는 중에도 생각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 구체적인 언급을 하고 있지 않기에 무슨 생각을 했는지는 알 수 없다. 상제께서 굽어보고 밝게 알아 주시기를 바란 그의 생각은 어떤 것이었을까? 하늘이 도와 병이 낫는 것이었을까, 아니면 아픈 중에도 떨치기 어려운 나라와 백성에 대한 걱정이었을까?
- 제2장「이색李穡의 병중사색」 중에서


스스로 위로하다 自遣

글로 쓰지 않고는 말로 소통이 어려우니 言非書字欲通難
아내와 자식이라도 외국 사람과 같네 妻子眞同貊與蠻
외롭게 병이 든 몸은 낱알인 양 보잘것없고 兀兀病身微一粒
기나긴 근심은 천 갈래로 어지럽기만 하네 悠悠愁緖亂千端
지천명의 나이 넘었건만 어찌 천명을 알며 年踰知命豈知命
관료의 지위에 있지만 어찌 관료라고 하랴 位在服官焉服官
귀로 듣지 못하게 됨은 하늘이 내린 벌이니 滅耳不?天降罰
벼슬과 녹봉을 편안히 여길 수 있겠나 封君厚祿可能安

귀가 나빠졌기에 의사소통은 글로 써서 해야 하고, 가장 가까운 가족이 하는 말도 오랑캐 말이나 다름없어 도통 알아들을 수가 없다고 탄식하였다. 병든 몸에 누구와도 대화를 할 수가 없으니 외롭기만 하고 근심은 여러 갈래로 늘어나 끝이 없다.
권근은 지천명知天命의 나이를 넘겼는데도 아직도 천명天命을 알지 못한다고 했다. 또 『예기』「내칙內則」에서 “50세에 대부大夫에 임명되어 정사政事를 행한다.五十命爲大夫, 服官政.”라고 하였는데, 정작 자신은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노라면서 지식인으로서, 정치가로서 무능력하기 때문에 하늘이 벌을 내려 귀가 나빠진 것이라고까지 자책한다. 그는 또 자신의 몸이 온전하지 못하기에 높은 지위를 누리고 후한 녹봉을 받는다고 해도 편치 않다고 불편한 심정을 드러낸다.
권근은 청각을 상실한 원인을 자신에게 돌리고 있다. 난치병이나 불치병 등 중대 질환에 걸린 환자들은 통상적으로 자신이 병에 걸렸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고 분노하거나 병의 원인을 외부로 돌리다가 여러 단계의 심리적 변화 과정을 거쳐 병에 걸린 것을 받아들이게 된다. 그런데 더러는 병의 원인을 자신에게서 찾고 과도하게 스스로를 원망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권근도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자신의 병을 받아들여 갔을 것이다.
- 제3장「권근權近의 병중사색」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