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유럽사 > 러시아사
· ISBN : 9788928509256
· 쪽수 : 334쪽
· 출판일 : 2016-06-25
책 소개
목차
총설
제1부 러시아제국과 북카프카스:제국의 이념과 정복
1장 “압 임페리오”-러시아제국과 민족의 관계에 새롭게 접근하다_ 기계형
1. 제국을 새로운 시선으로
2. ‘구제국사’에서 ‘신제국사’로
3. 러시아의 “신제국사” 연구의 새로운 토대를 위하여
4. 러시아 “신제국사”에 대한 몇 가지 단상들
5. 다양한 역사를 향하여
2장 19세기 카프카스 전쟁과 체르케스 민족의 이주 문제_ 신동혁
1. 머리말
2. 19세기 중반 체르케스인의 오스만제국으로의 이주 배경, 과정, 성격 66
3. 맺음말
3장 크림전쟁 직후 러시아제국의 캅카스 경략_ 이정하
:A.I. 바랴틴스키의 구상과 그 영향
1. 머리말
2. 본론
3. 맺음말
제2부 북카프카스 지정학:민족 정체성과 역사적 분쟁
4장 체첸 민족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소고_ 정세진
1. 서론
2. 체첸 민족 정체성 요소:역사의 해석학
3. 체첸 전통 사회와 민족 정체성 형성-타이프(씨족) 구조를 중심으로126
4. 소비에트 시기 집단 기억:강제이주를 통해서 본 민족 정체성132
5. 결론을 대신하여:체첸 전쟁과 민족 정체성
5장 체첸화_ 김태연
:필요와 탐욕의 공동 프로젝트
1. 서론
2. 체첸화의 과정과 현실
3. 체첸화의 주요 행위자와 동인
4. 결론:평가와 전망
6장 인구셰티야의 위기_ 현승수
:러시아 연방 정부의 북카프카스 정책의 딜레마
1. 들어가는 말
2. 러시아 연방 정부의 북카프카스 정책의 변화
3. ‘인구셰티야 위기’의 배경과 초기 경과
4. ‘인구셰티야 위기’의 심화와 연방정부의 대응
5. 맺는말
제3부 남카프카스의 역사와 지정학
7장 주변부 이슬람 사회에서의 진보적 민족주의_ 정재원
:아제르바이잔의 역사적 경험과 현재적 의의
1. 서론
2. 주변부 민족주의의 급진성과 진보성,
그리고 민족국가건설 이후의 퇴행
3. 러시아 제국 시기 아제르바이잔 민족 정체성 형성과 민족주의의 발전
4. 현대 아제르바이잔에서의 민족주의와 민주주의의 발전과 한계248
5. 결론
8장 아르메니아 민족정체성 확립과 아르메니아 교회의 역할_ 김정훈
1. 서론
2. 아르메니아 국가, 민족정체성과 교회
3. 아르메니아 교회의 현실과 미래를 위한 문제점
4. 맺음말
9장 조지아의 갈등구조와 러시아의 지정전략_ 이영형
1. 들어가는 말
2. 연구 공간에 대한 인식과 분석 방법론
3. 조지아의 내부 갈등과 러시아의 개입
4. 러시아의 지정전략이 갖는 의미
5. 끝맺는 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