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유럽사 > 러시아사
· ISBN : 9788928520718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4-12-31
책 소개
목차
총설
찾아보기
제1부 유라시아 문화지형도에서 본북한과 소련 문학의 접변과 의미장
1장 ‘홍범도’ 트러블_ 공임순
:카자흐스탄ㆍ북한ㆍ남한의 홍범도에 대한 서사적 재현과 곤경
1. 현재 ‘홍범도 논란’과 네 가지 쟁점-들어가며
2. 「홍범도 일지」의 화소별 분류와 침묵의 지점
3. 홍범도에 대한 서사적 재현과 전형의 재창조
4. 서사적 재현의 곤경과 ‘홍범도 트레블’의 현행화-나오며
2장 북한 초창기 이기영의 『조쏘문화』 쏘련기행문 연재본 재고_ 조영추
1. 서론
2. 1947년 『조쏘문화』 문헌 고증과 소련기행문의 게재
3. 이기영의 「나의 蘇聯紀行」 연재본 재고
4. 결론을 대신하여 : 「나의 蘇聯紀行(三)」과 미완으로서의 ‘여旅/餘정’
*부록 : 『조쏘문화』 목차 : 1947년 제 5~7집 및 1948년 제3권 제1~3호
3장 탈북 망명인 한진의 예술세계에 투사된 유라시아적 특성과 문화접변_ 박영은
1. 서론 : 모스크바 8진의 망명과 한진의 유라시아적인 삶의 궤적
2. 소비에트 이데올로기 찬양 및 반미의식 표출
3. ‘어머니’ 테마의 변주를 통한 새 조국 카자흐스탄에 대한 인식 표출
4. 강제이주 참상에 대한 묘사 및 한국의 고전에 접목된디아스포라의 애환 표출
5. 결론
제2부 북한 대중예술에 반영된 소련 및 포스트소비에트 문화의 영향과 명암(明暗)
4장 그로테스크 캐리커처_ 홍성후
:1950년대 북한 풍자만화에서 소련의 영향
1. 서론
2. 『호랑이』와 『활살』의 등장과 초기 풍자만화
3. 전후의 풍자만화와 그로테스크 캐리커처
4. 결론
5장 소비에트 해체와 북한의 영화 교류 양상_ 함충범ㆍ정태수
:소련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정세 변화로 인한 영화 합작 및 협약의 단절
3. 영화 상영 행사 감소에 따른 상호 왕래의 축소
4. 영화제 참가에서 개최로, 그리고 영화 담론의 전환
5. 나오며
제3부 소련체제와 유라시아시대 북한의 과학ㆍ외교ㆍ기술ㆍ교육의 지향과 확장
6장 소비에트 과학 외교와 북한의 과학_ 신보람
1. 들어가는 말
2. 소비에트 과학외교와 북한
3. 맺는말
7장 시베리아횡단철도 건설을 둘러싼 역사적 쟁점 소고_ 정세진
:군사ㆍ전략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와의 대립적 관점과 한반도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1. 서론
2. 횡단철도 부설 목적에 관련된 선행 연구
3. 시베리아횡단철도 건설 과정과 그 역사적 함의
4. 시베리아횡단철도 건설의 군사ㆍ전략적 가치
5. 시베리아횡단철도 건설의 목적 : 경제적, 산업적 가치
6. 시베리아횡단철도와 한반도와의 관련성
7. 결론
8장 김정은 시대 전민과학 기술을 통한 인재화의 꿈_ 김은정
1. 들어가기
2. 북한의 교육과 과학기술 중시
3. 과학기술과 전인민의 인재화의 구상
4. 교육정보화 실태
5. 나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