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28514519
· 쪽수 : 476쪽
· 출판일 : 2020-06-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4
1부|전통과 원천
공동체문화 재생의 역사적 원천과 특이성∥이영배
1. 민속이라는 입구 전략
2. 민속과 공동체문화의 상관성
3. 실천의 영역과 전통의 재현
4. 역사적 원천과 민속의 변환
5. 연구 과제와 향후 전망
고창녕 전설의 구성과 기층 공동체의 정치 윤리∥한정훈
1. 기층 공동체의 인물 선택과 전설
2. 기록된 인물의 행적과 이야기의 구성
3. 나열된 이야기와 만들어진 이름
4. 수령 고창녕과 정치 윤리의 한계
2부|재현과 변환
이주민 공동체, 광주 고려인마을에 얽히는 시선들∥한정훈
1. 광주 고려인마을에 따라붙는 질문들
2. 광주의 공간사空間史와 고려인마을이 지닌 장소의 의미
3. 고려인 이주민 공동체의 정착 노력과 지자체의 이해 관계
4. 한국인 선주민의 다중적 시선과 목소리
광주 주변부 공간의 변화와 이주민의 장소성 연구∥한정훈
1. 도시 공간 광주와 주변부의 형성
2. 식민 지배의 흔적과 이주의 계기들
3. 정착의 고착과 시선의 포획
4. 탈출과 회귀의 장소, 균열된 토포필리아
5. 새로운 장소성 출현과 의미
투쟁 공동체에서 풀뿌리 공동체로∥이진교
1. 영양지역 한 귀농·귀촌 모임에 주목하는 이유
2. 공동체적 경험의 지속과 재생산
3. 사회 참여와 문화적 실천
4. 논의와 전망
웹툰의 참여적 성격을 통해 본 민속의 현대적 변환∥공다해
1. 풀뿌리 컨버전스와 웹툰문화의 민속적 함의
2. <며느라기>의 민속 재현과 젠더 규범의 교란
3. <며느라기>의 젠더 수행과 여성민속의 변환
4. 풀뿌리 민속문화로서 ‘웹툰-민속’의 불/가능성
3부|대안과 실천
홍성통의 지역 거버넌스와 민관 협치의 제문제∥진필수
1. 협치의 이상과 자치의 딜레마
2. 홍성통의 구성과 운영 양상
3. 중간지원조직 내지 지역유지의 역할
4. 중간지원조직과 주민자치위원회의 연계 노력
5. 주민자치의 새로운 전망
홍동면 주민자치회의 실험과 마을 연구의 성찰∥진필수
1. ‘마을’ 단위 공동체운동과 지방사회의 변화
2. 마을의 자치와 읍면동 주민자치회
3. 민관 협치의 요구와 관제적 자치의 문제
4. 귀농귀촌자들의 시민성과 원주민들의 농민적 공동체성
5. 마을의 자치에서 ‘고을’의 자치로
옥천 ‘안남어머니학교’의 한글교육과 공동체적 결사체의 의미∥박선미
1. 농촌 여성노인문화와 한글교육
2. ‘안남어머니학교’의 참여주체 및 운영 내용
3. 한글실력 향상과 주체성 확립 과정
4. ‘안남어머니학교’의 사회적 가치와 지역사회의 변화
5. ‘안남어머니학교’의 공동체적 결사체의 의미
홍동 ‘자연재배논모임’으로 본 현대 공동체문화∥박선미
1. 유기농업과 공동체에 주목하는 이유
2. ‘자연재배논모임’의 결성과 모임의 성격
3. ‘자연재배논모임’의 운영과 활동의 의의
4. 자연재배 기술실천과 현대 대안공동체
4부|이론과 전망
공동체문화 연구의 패러다임 모색∥이영배
1. 개념의 안출과 문제계의 구성
2. 종획 개념의 전유와 실천 양식의 절합
3. 인식의 전환과 구성적 실천 이론의 정립
4. 프레임의 재설정과 색다른 세계의 구성 가능성
공동체문화 연구의 패러다임 정립을 위한 기초 연구∥이영배
1. 제도로의 편입과 전망의 상실
2. 모순의 심화 혹은 실천의 토대
3. 수탈과 전유 또는 대안의 각축
4. 차이들의 매듭과 연계의 고리
참고문헌
찾아보기
글쓴이 소개